풍경화

연구분야 : G030200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391

한자 : 風景畵
영어 : landscape painting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a03-01 동물 동물

동물 () [ 動物 ]

hasSubject (주제)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인물 () [ 人物 ]

hasSubject (주제)

 

A03 자연물 자연물

풍경 () [ 風景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자연화 (그림) [ 自然畫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산수화 [ 山水畵 ]

RT_Y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의경 (작가) [ 意境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크로키 [croquis]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담채화 [ 淡彩畵 ]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바르비종파

백두산: 만들어진 전통과 표상

Baekdu Mountain: The Invention of Tradition and the emblems

미술사학보 | 36 | 2011 | 미술

디드로의 『1767년 살롱』에 나타난 상상력 기법으로 글쓰기 - Promenade Vernet 를 중심으로 -

L’Imagination dans la "Promenade Vernet"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40 | 2012 | 프랑스문화학

한국 근·현대 구상회화에 나타난 재현경관의 탐색 I: 서울의 공간 표상을 중심으로

Reading Landscapes Represented in Korean Contemporary Figurative Paintings I: Spatial Portrayals of Seoul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4 | 3 | 2011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