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수화

연구분야 : G030203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 동양화/한국화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024

STNet ID : 9003248

한자 : 山水畵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산수도(산수화) [ 山水圖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동양화 [ 東洋畵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산수인물화 [ 山水人物畵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진경산수화 [ 眞景山水畵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실경 산수화 [ 實景 山水畵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A03 자연물 자연물
A03 자연물 /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산수 [ 山水 ]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풍경화 () [ 風景畵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제화시 [ 題畵詩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고원법 [ 高遠法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소상팔경도 [ 瀟湘八景圖 ]

북송 거비파 산수화에 대한 유가적 고찰

Confucian consideration about Monumental Landscape of North Song

동양예술 | 19 | 2012 | 기타미술

高麗時代 山水畵의 動向과 儒家的 審美觀

Trends and Confucius Aesthetic Views on Landscape Paintings in the Koryŏ Dynasty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9 | 2011 | 유교학

性理學과 山水畵의 발전에 관한 연구 - 송대를 중심으로-

Research of the Neo-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painting in Song Dynasty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韓國 傳統 山水畵의 自然觀과 그 現代的 意義

The Perception of Nature in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and Its Contemporary Significance

한국학논집 | 41 | 2010 | 기타인문학

산수화에 반영된 자연관과 집의 의미

Definition of home and attitude towards Nature reflected in landscape paintings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산수화에 반영된 자연관과 집의 의미

Definition of home and attitude towards Nature reflected in landscape paintings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산수화와 산수시조에서 자아와 세계의 갈등구도와 그 형상화 방식

Conflict Structure between Ego and World and its Imaginary Manner in Landscape and Landscape Si-Jo

시조학논총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산수화와 산수시조에서 자아와 세계의 갈등구도와 그 형상화 방식

Conflict Structure between Ego and World and its Imaginary Manner in Landscape and Landscape Si-Jo

시조학논총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