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화시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91

STNet ID : 1000818

한자 : 題畵詩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화제시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詩) () [ 詩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동양화 [ 東洋畵 ]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산수화 [ 山水畵 ]

元好問 七絶 連作詩 硏究

중국학논총 | 35 | 2012 | 중국어와문학

長吟亭 羅湜의 詩世界 硏究

Jangeumjeong Nasik's Poetic View of the World

동방한문학 | 52 | 2012 | 한국어와문학

明代 女性作家의 美人圖 題畵詩 硏究 ― 미인도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

중국어문학지 | 39 | 2012 | 중국어와문학

朴齊家의 繪畵와 題畵詩에 나타난 ‘際’와 ‘感通’의 미학 -작품의 상호텍스트성과 결속성을 중심으로 하여-

Aesthetics of ‘Je’[際] and ‘Gamtong’[感通] in Park Je-ga’s Paintings and Poems on Paintings -focused on their intertextuality and coherence-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A Study on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of Goryeo: Focusing on Yi Gyu-bo's Poems on Paintings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A Study on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of Goryeo: Focusing on Yi Gyu-bo's Poems on Paintings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A Study on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of Goryeo: Focusing on Yi Gyu-bo's Poems on Paintings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A Study on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of Goryeo: Focusing on Yi Gyu-bo's Poems on Paintings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題畵詩의 미학적 특징과 구현 원리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hwasi[題畵詩, Sino-Korean Poetry about Painting] and its Realization Principles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화가의 자작 제화시와 화면상의 이미지의 재산출 방향(2) -강세황의 <칠탄정십육경>시를 대상으로-

The Painter's Poems about his own Pictures and the Direction of Reproducing the Poetic Image from the Pictorial Image(2) -With reference to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三灘 李承召 題畵詩의 形象化 양상 - 畵意의 표현방법을 중심으로 -

The Aspect of Configuration in the Titled Paintings by Yi Seung-so with the Pen Name of Samtan

인문학연구 | 39 | 1 | 2012 | 기타인문학

화가의 자작 제화시와 화면상의 이미지의 재산출 방향(1) - 강세황의 <칠탄정십육경도시>를 대상으로 -

The Painter's Poems about his own Pictures and the Direction of Reproducing the Poetic Image from the Pictorial Image(1) - With reference to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 which were composed by Kang, Se-hwang -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화가의 자작 제화시와 화면상의 이미지의 재산출 방향(1) - 강세황의 <칠탄정십육경도시>를 대상으로 -

The Painter's Poems about his own Pictures and the Direction of Reproducing the Poetic Image from the Pictorial Image(1) - With reference to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 which were composed by Kang, Se-hwang -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題畵詩의 미학적 특징과 구현 원리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hwasi[題畵詩, Sino-Korean Poetry about Painting] and its Realization Principles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