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화

연구분야 : G030203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 동양화/한국화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602

한자 : 東洋畵
영어 : oriental paintings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대응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서양화 [ 西洋畵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회화 () [ 繪畵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동양 예술 [ 東洋藝術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일본화 () [ 日本畵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수묵화 [ 水墨畵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화조화 [ 花鳥畫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한국화 [ 韓國畵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묵란화 [ 墨蘭畵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산수화 [ 山水畵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묵림회 [ 墨林會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제화시 [ 題畵詩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동양화가 [ 東洋畫家 ]

양화단의 추상: 1960년대 묵림회를 중심으로

Abstractionism of Korean Ink Painting Tradition: On the Role of “Mukrimhoe” in 1960s

미술사학 | 24 | 2010 | 미술

양화단의 추상: 1960년대 묵림회를 중심으로

Abstractionism of Korean Ink Painting Tradition: On the Role of “Mukrimhoe” in 1960s

미술사학 | 24 | | 2010 | 미술

이인성의 동양화와 그 시대성

In-sung Lee’s Oriental Paintings and their Reflection of the Era

한국문화연구 | 22 | 2012 | 기타인문학

동아시아적 삼위일체론 서설

An East Asian Interpretation of the Trinity

종교연구 | 65 | 2011 | 종교학

한국 현대 동양화에서의 그림과 문자의 관계 - 문자추상과 제발의 패러디를 중심으로 -

Relations between Pictures and Characters in Contemporary Oriental Painting of Korea

한민족문화연구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현대 동양화에서의 그림과 문자의 관계 - 문자추상과 제발의 패러디를 중심으로 -

Relations between Pictures and Characters in Contemporary Oriental Painting of Korea

한민족문화연구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양화의 근대적 모색: 한국적 기법과 일본적 기법의 경계

Modern Seeking of Oriental Paintings: the Boundary between Korean Painting Techniques and Japanese Painting Techniques

미술사학 | 24 | 2010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