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묵화

연구분야 : G030203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 동양화/한국화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821

STNet ID : 9003265

한자 : 水墨畵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동양화 [ 東洋畵 ]

isKindOf (상위 유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미술 재료 기법 [ 美術材料技法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묵란화 [ 墨蘭畵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문인화 () [ 文人畵 ]

RT_X (관련어►)

관련인물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장승업 [ 張承業 ]

禪宗의 公案과 水墨畫 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earance of Ink & Water Painting in relation to Chan Gong-an

종교교육학연구 | 34 | 2010 | 종교학

禪宗의 公案과 水墨畫 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earance of Ink & Water Painting in relation to Chan Gong-an

종교교육학연구 | 34 | | 2010 | 종교학

도석인물화의 조형성에 기초한 인물화 지도 방안 연구

A Study on Figure Painting Teaching Based on the Plasticity of Taoist and Buddhist Figure Painting

미술교육연구논총 | 28 | 0 | 2010 | 예술교육학

도석인물화의 조형성에 기초한 인물화 지도 방안 연구

A Study on Figure Painting Teaching Based on the Plasticity of Taoist and Buddhist Figure Painting

미술교육연구논총 | 28 | 0 | 2010 | 예술교육학

양화단의 추상: 1960년대 묵림회를 중심으로

Abstractionism of Korean Ink Painting Tradition: On the Role of “Mukrimhoe” in 1960s

미술사학 | 24 | 2010 | 미술

양화단의 추상: 1960년대 묵림회를 중심으로

Abstractionism of Korean Ink Painting Tradition: On the Role of “Mukrimhoe” in 1960s

미술사학 | 24 | | 2010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