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조화

연구분야 : G030203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 동양화/한국화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610

STNet ID : 9003329

한자 : 花鳥畫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hasSubject (주제)

 

a03-01 동물 동물

새鳥 () [ 鳥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일본화 () [ 日本畵 ]

isKindOf (상위 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동양화 [ 東洋畵 ]

N1:종류

hasKind (종류)

 

 

초충화

hasKind (종류)

 

 

화훼화

R1:개념적

affects (영향)

 

 

공예 의장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사군자 [ 四君子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서씨체

hasMethod (방법/기법)

 

 

황씨체

이암(李巖)의 가응도(架鷹圖): 해청도의 전통과 새로운 상징

Yi Am’s Falcon on a Perch: The Tradition and Symbolic Visualization

미술사와 시각문화 | 11 | 2012 | 미술

전통회화의 이해를 위한 우의(寓意)와 상징(象徵)체계 연구 - 동식물 그림을 중심으로

A Study on Allegorical and Symbolic System fo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Painting: Focused on Animals & Plants paintings

미술교육연구논총 | 29 | 0 | 2011 | 예술교육학

조선시대 화조화의 담채법(淡彩法)에 관한 고찰 - 신사임당의 8폭 초충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k Wash Painting technique used in flower-and-bird paintings of Chosun Dynasty

미술교육논총 | 26 | 1 | 2012 | 미술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A Study on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of Goryeo: Focusing on Yi Gyu-bo's Poems on Paintings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A Study on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of Goryeo: Focusing on Yi Gyu-bo's Poems on Paintings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화조화와 에도시대 伊藤若冲화풍과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Bird and Flower Paintings during Late Joseon and Ito Jakuchu’s Painting Style during the Edo Period

동양예술 | 18 | 2012 | 기타미술

17세기 宗親 李建(1614-1662)과 李涵(1633-?)의 花鳥畵 硏究

A Study on the Kindred of the King Lee Geon(李健, 1614-1662) and Lee Ham(李涵, 1633-?)’s Flower-and-Bird Paintings(花鳥畵) in the 17th Century

미술사학 | 26 | 2012 | 미술

화조화 모티프를 응용한 현대 의상 연구 -꽃, 새, 나비 모티프를 중심으로-

A Study on Modern Clothing with Applied Motif from Flowers and Birds -Focus on motif of flowers, birds and butterflies-

한복문화 | 14 | 2 | 2011 | 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