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군자

연구분야 :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4746

STNet ID : 9003245

한자 : 四君子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문인화 () [ 文人畵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a03-02 식물 식물

국화 [ 菊花 ]

hasComponent (구성요소)

 

a03-02 식물 식물

대나무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국화 [ 國花 ]

hasComponent (구성요소)

 

a03-02 식물 식물

난초 () [ 蘭草 ]

hasComponent (구성요소)

 

a03-02 식물 식물

매화 (식물) [ 梅花 ]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서예가 [ 書藝家 ]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화조화 [ 花鳥畫 ]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남종화 [ 南宗畵 ]

일제강점기 詩社활동과 書畵合璧圖 연구

The Cultural Activities of Poetic Societi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Seohwahapbyeokdo Seohwahapbyeokdo by the Sanbyeok Poetic Society

미술사학연구 | 268 | 268 | 2010 | 미술

일제강점기 詩社활동과 書畵合璧圖 연구

The Cultural Activities of Poetic Societi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Seohwahapbyeokdo Seohwahapbyeokdo by the Sanbyeok Poetic Society

미술사학연구 | 268 | 268 | 2010 | 미술

전통회화의 이해를 위한 우의(寓意)와 상징(象徵)체계 연구 - 동식물 그림을 중심으로

A Study on Allegorical and Symbolic System fo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Painting: Focused on Animals & Plants paintings

미술교육연구논총 | 29 | 0 | 2011 | 예술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