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지」를 읽는 몇 가지 독법 - 남정현의 소설 「분지」와 1960년대 중반의 이데올로기들에 대하여
A Few Reading of Bun-Ji(Land of Excrement) - About the novel Bun-Ji of Nam Jung-Hyun and Ideologies of 1960s
상허학보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통이 된 혁명, 혁명이 된 전통
Traditionalized Revolution, Revolutionized Tradition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통이 된 혁명, 혁명이 된 전통
Traditionalized Revolution, Revolutionized Tradition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통이 된 혁명, 혁명이 된 전통
Traditionalized Revolution, Revolutionized Tradition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통이 된 혁명, 혁명이 된 전통
Traditionalized Revolution, Revolutionized Tradition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4·19혁명의 유산과 궁핍한 시대의 리얼리즘 ―1960~70년대 백낙청의 비평과 역사의식
The Legacy of Revolution and Realism of the Age of Poverty(dürftige Zeit) ―Criticism of Paik Nak-chung in 1960~1970's
상허학보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4·19혁명의 유산과 궁핍한 시대의 리얼리즘 ―1960~70년대 백낙청의 비평과 역사의식
The Legacy of Revolution and Realism of the Age of Poverty(dürftige Zeit) ―Criticism of Paik Nak-chung in 1960~1970's
상허학보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후반 시단의 재편과 현대시 개념의 논리 -<한국시인협회>(1957~1962)를 중심으로
The Reorganization of Poetical Circles in the late 1950s And the Logic of Modern Poetry's Conception - Focused on the Korean Poets Association between 1957 and 1962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시단과 W.H.Auden
The Korean poetry world and W.H.Auden
세계문학비교연구 |
35 |
2011 |
문학
혁명, 시, 여성(성) —1960년대 참여시에 나타난 여성
Revolution, Poetry, and Women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혁명, 시, 여성(성) —1960년대 참여시에 나타난 여성
Revolution, Poetry, and Women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후반 시단의 재편과 현대시 개념의 논리 -<한국시인협회>(1957~1962)를 중심으로
The Reorganization of Poetical Circles in the late 1950s And the Logic of Modern Poetry's Conception - Focused on the Korean Poets Association between 1957 and 1962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실존주의 시에 대한 박영근의 수용과 변용
Park YoungKeun's Reception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Existential Poems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실존주의 시에 대한 박영근의 수용과 변용
Park YoungKeun's Reception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Existential Poems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과 김수영의 시에 있어서 근대 도시의 표상성 -‘지도’와 ‘유리’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Representation of Modernurbanism in the poetry of Jung, Ji-yong and Kim, Su-young -with a focus on the image of map and glass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의 치유시학적 연구 - 김춘수·김수영·천상병의 시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Poetic Healing-care of the modern poems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오장환과 김수영 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Oh Jang-whan's poetry and Kim Su-young's poetry.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의 치유시학적 연구 - 김춘수·김수영·천상병의 시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Poetic Healing-care of the modern poems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오장환과 김수영 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Oh Jang-whan's poetry and Kim Su-young's poetry.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과 김수영의 시에 있어서 근대 도시의 표상성 -‘지도’와 ‘유리’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Representation of Modernurbanism in the poetry of Jung, Ji-yong and Kim, Su-young -with a focus on the image of map and glass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인지어’ 연구 1
A Study on the Cognitive Word in Kim, Soo Young’s Poetry 1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인지어’ 연구 1
A Study on the Cognitive Word in Kim, Soo Young’s Poetry 1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숭고 특성 연구
A Study on Sublime in Kim Soo Young's Poetry
한국민족문화 |
42 |
2012 |
기타인문학
‘전후’의 중층적 의미와 김수영의 문학적 정체성 —1950년대 후반기 지식인 담론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The Superimposed Meaning of ‘postwar’ and Literary Identity of Kim soo-Young —Focused on the Discourse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1950s and the Poetry of Kim soo-young—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의 중층적 의미와 김수영의 문학적 정체성 —1950년대 후반기 지식인 담론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The Superimposed Meaning of ‘postwar’ and Literary Identity of Kim soo-Young —Focused on the Discourse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1950s and the Poetry of Kim soo-young—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시선 연구
A study of seeing on women in kim, soo-young's poet
겨레어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시선 연구
A study of seeing on women in kim, soo-young's poet
겨레어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의 전통 인식과 자유주의 재론 -「거대한 뿌리」(1964)를 중심으로-
Rethinking Kim-Sooyoung's concept of Tradition and liberalism -Focused on The Great Root(1964)
상허학보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과 긴스버그 시의 비교 고찰 -부정의식의 구현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Kim Soo-Young and Ginsberg’ Poetry - Centered on the Realized Aspect of Negative Consciousness -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과 긴스버그 시의 비교 고찰 -부정의식의 구현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Kim Soo-Young and Ginsberg’ Poetry - Centered on the Realized Aspect of Negative Consciousness -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시간의식 연구
The Study on Kim Sooyoung’s concept of the time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2 |
기타국문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돈’의 양상 연구
A Study on Money of Kim Sooyoung's Poetry
어문논집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돈’의 양상 연구
A Study on Money of Kim Sooyoung's Poetry
어문논집 |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자유와 설움의 상관성 연구 - 탈식민주의 관점으로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Freedom and Sorrow in Kim Sooyoung’s poetry - focused on postcolonial perspective -
한민족문화연구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자유와 설움의 상관성 연구 - 탈식민주의 관점으로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Freedom and Sorrow in Kim Sooyoung’s poetry - focused on postcolonial perspective -
한민족문화연구 |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인지어’ 연구 2
A Study on the Cognitive Word in Kim, Su Yeong’s Poetry 2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생활인식과 시적 대응―1950년대 시를 중심으로
Poetic Corresponding Ways and recognition of Life in Kim Sooyoung’s Poems
비평문학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오염된 시인과 시 - 김수영 시의 아이러니와 현대성
The Poet and Poetry contaminated by the world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론의 담론적 의미-‘참여시’ 논의를 중심으로-
The Discoursing Meaning for Kim Soo Yeong's Criticism of Poetry -Focused on Discussion for Participation Poetry-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초기시의 난해성과 ‘불가능성의 가능성’으로서의 시적 전략 ― 「토끼」 「공자의 생활난」에 대한 주석
The difficulty to understanding Kim, soo-young’s early poems and poetic strategy as the possibility of impossibility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화자 연구
A Study of the Speaker in Kim Su-young's Poet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19 |
2012 |
현대시(국문학)
김수영 시와 산문에 나타난 ‘시뮬라크르’의 정치학
A Study on Politics of ‘Simulacre’ in Kim, Soo-Yung's Poetry and Prose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론의 숭고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lime in Kim Su-Yeong's Poetics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의 시와 근대 극복의 한 방식 - ‘책’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Kim Soo-Young’ Poetry and A Way of Overcoming Modernity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얼굴’의 의미
The meaning of ‘Face’ appearing in Soo Young, Kim's poems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오염된 시인과 시 - 김수영 시의 아이러니와 현대성
The Poet and Poetry contaminated by the world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 연구
A Study on the Death Problem in Kim Su‐yeong’s Poems
인문과학연구 |
32 |
2012 |
기타인문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돈’의 양상 연구
A Study on Money of Kim Sooyoung's Poetry
어문논집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돈’의 양상 연구
A Study on Money of Kim Sooyoung's Poetry
어문논집 |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화자 연구
A Study of the Speaker in Kim Su-young's Poet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19 |
2012 |
현대시(국문학)
김수영의 전통 인식과 자유주의 재론 -「거대한 뿌리」(1964)를 중심으로-
Rethinking Kim-Sooyoung's concept of Tradition and liberalism -Focused on The Great Root(1964)
상허학보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인지어’ 연구 1
A Study on the Cognitive Word in Kim, Soo Young’s Poetry 1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인지어’ 연구 1
A Study on the Cognitive Word in Kim, Soo Young’s Poetry 1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시간의식 연구
The Study on Kim Sooyoung’s concept of the time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2 |
기타국문학
김수영의 「꽃잎」에 나타난 수사학적 특성
A Study on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 of Kim Soo-young's 「A Petal」
현대문학이론연구 |
42 |
2010 |
문학이론
김수영의 「꽃잎」에 나타난 수사학적 특성
A Study on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 of Kim Soo-young's 「A Petal」
현대문학이론연구 |
|
42 |
2010 |
문학이론
김수영 시의 자유와 설움의 상관성 연구 - 탈식민주의 관점으로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Freedom and Sorrow in Kim Sooyoung’s poetry - focused on postcolonial perspective -
한민족문화연구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자유와 설움의 상관성 연구 - 탈식민주의 관점으로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Freedom and Sorrow in Kim Sooyoung’s poetry - focused on postcolonial perspective -
한민족문화연구 |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의 시 「눈」의 해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Kim Soo-young's "Snow"
아시아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전후’의 중층적 의미와 김수영의 문학적 정체성 —1950년대 후반기 지식인 담론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The Superimposed Meaning of ‘postwar’ and Literary Identity of Kim soo-Young —Focused on the Discourse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1950s and the Poetry of Kim soo-young—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의 중층적 의미와 김수영의 문학적 정체성 —1950년대 후반기 지식인 담론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The Superimposed Meaning of ‘postwar’ and Literary Identity of Kim soo-Young —Focused on the Discourse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1950s and the Poetry of Kim soo-young—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생활인식과 시적 대응―1950년대 시를 중심으로
Poetic Corresponding Ways and recognition of Life in Kim Sooyoung’s Poems
비평문학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의 언어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 Kim Soo-Young's Poetry
개신어문연구 |
31 |
2010 |
현대시(국문학)
김수영의 언어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 Kim Soo-Young's Poetry
개신어문연구 |
|
31 |
2010 |
현대시(국문학)
‘너’를 통해 드러나는 김수영의 정신적 지향 연구
Spiritual tendency of Kim, Soo-Young which is exposed by ‘You’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너’를 통해 드러나는 김수영의 정신적 지향 연구
Spiritual tendency of Kim, Soo-Young which is exposed by ‘You’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너’를 통해 드러나는 김수영의 정신적 지향 연구
Spiritual tendency of Kim, Soo-Young which is exposed by ‘You’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너’를 통해 드러나는 김수영의 정신적 지향 연구
Spiritual tendency of Kim, Soo-Young which is exposed by ‘You’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문학의 미학적 정치성에 대하여 -불화의 미학과 탈경계적 정치학-
On the Aesthetic Politics of Kim Su Young’s literature -Aesthetics of Disagreement and Politics of Trans-border-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문학의 미학적 정치성에 대하여 -불화의 미학과 탈경계적 정치학-
On the Aesthetic Politics of Kim Su Young’s literature -Aesthetics of Disagreement and Politics of Trans-border-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의 매체의식과 감각적 주체의 전환
Kim soo-young’s media consciousness and the conversion of sensory subject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의 매체의식과 감각적 주체의 전환
Kim soo-young’s media consciousness and the conversion of sensory subject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진리의 윤리학’과‘현대성’ 인식 양상
A study on ‘the ethics of truths’ and the epistemological attitude of ‘modernity’ in Kim, Soo-Yung’s poems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진리의 윤리학’과‘현대성’ 인식 양상
A study on ‘the ethics of truths’ and the epistemological attitude of ‘modernity’ in Kim, Soo-Yung’s poems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과 긴스버그 시의 비교 고찰 -부정의식의 구현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Kim Soo-Young and Ginsberg’ Poetry - Centered on the Realized Aspect of Negative Consciousness -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과 긴스버그 시의 비교 고찰 -부정의식의 구현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Kim Soo-Young and Ginsberg’ Poetry - Centered on the Realized Aspect of Negative Consciousness -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시선 연구
A study of seeing on women in kim, soo-young's poet
겨레어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시선 연구
A study of seeing on women in kim, soo-young's poet
겨레어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의 시와 근대 극복의 한 방식 - ‘책’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Kim Soo-Young’ Poetry and A Way of Overcoming Modernity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론의 숭고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lime in Kim Su-Yeong's Poetics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의 매체의식과 감각적 주체의 전환
Kim soo-young’s media consciousness and the conversion of sensory subject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의 매체의식과 감각적 주체의 전환
Kim soo-young’s media consciousness and the conversion of sensory subject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의 시 「눈」의 해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Kim Soo-young's "Snow"
아시아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김수영 초기시의 난해성과 ‘불가능성의 가능성’으로서의 시적 전략 ― 「토끼」 「공자의 생활난」에 대한 주석
The difficulty to understanding Kim, soo-young’s early poems and poetic strategy as the possibility of impossibility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