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계몽기 두뇌의 의미 변화 연구
The Study of Changing Meaning of Brain in Modern Times
한국문화연구 |
22 |
2012 |
기타인문학
최명익의 소설에 나타난 동양론의 전유와 변주
Appropriation and Variation of Discourse of the Orient in Choi Meong Ick’s Novels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후반의 전환기문학과 친일파시즘
The literature in transition, the late 1930s and Pro-japanese fascism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북한 청동기시대 형성과정 - 연해주와 연변 고고자료의 비교를 통해서 -
The Study of the Bronze Era of Eastern North Korea based on the Archaeological Data of Primorsky and Yanbian
동북아역사논총 |
32 |
2011 |
역사학
Changing Security Landscape of Northeast Asia in Transition : A View from Japan
격동기 동북아 안보정세 변화와 일본의 인식
전략연구 |
19 |
55 |
2012 |
정치외교학
전환기로서의 해방기 문학 연구 - 김남천의 신문연재장편소설 『1945년 8ㆍ15』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beration Period Literature as a Transition Period - Focusing on Namcheon Kim’s Newspaper Serial Feature Novel, -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전환기로서의 해방기 문학 연구 - 김남천의 신문연재장편소설 『1945년 8ㆍ15』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beration Period Literature as a Transition Period - Focusing on Namcheon Kim’s Newspaper Serial Feature Novel, -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統一新羅 開始期의 印花文土器 –曆年代 資料 確保를 위하여–
Pottery with Stamped Design from the Early Stage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for Ensuring Reverse Chronological Materials
한국고고학보 |
81 |
2011 |
역사학
전환기에 선 한국교회 목회 패러다임의 변화 - 지역사회 섬김을 위한 미래 목회 실천 방안 -
Paradigm Shift of the Korean Church Ministry in Transition
신학과 실천 |
31 |
2012 |
기독교신학
강원도 청동기문화 전개에 있어서 조기문제의 제기
Raising the Problem Of the Incipient Phase in the Bronze Age Culture of Gangwon Province
고고학 |
9 |
1 |
2010 |
역사학
강원도 청동기문화 전개에 있어서 조기문제의 제기
Raising the Problem Of the Incipient Phase in the Bronze Age Culture of Gangwon Province
고고학 |
9 |
1 |
2010 |
역사학
Die deutsche Literatur seit 1989 - Themen, Tendenzen, Tabubrüche
1989년 이후의 독일문학 - 주제, 경향, 금기의 위반
독어독문학 |
52 |
4 |
2011 |
독일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