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2년 전후 東아시아論의 形成과 朝鮮 지식인의 反應
The formation of East-Asia discussion around 1882and the reaction of a korean clerisy.
동방한문학 |
51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패설의 변환과 지향
The Change and the Pursuit of Paeseol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into modern times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윤치호의 기독교 사회윤리사상
The Christian Social Ethics Thought of Yun Chi-Ho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Times
기독교사회윤리 |
22 |
2011 |
기독교신학
근대전환기 기행체 서사와 근대소설 양식의 상관성 고찰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vel narrative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and the type of modern novel in Korea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전환기 몽유 양식의 창작방법의 변주 양상 - <晩河夢遊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arious Aspects of the Creative Methods for Dream Modes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 Centered on Manhamongyurok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전환기 몽유 양식의 창작방법의 변주 양상 - <晩河夢遊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arious Aspects of the Creative Methods for Dream Modes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 Centered on Manhamongyurok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역사․전기 단형서사의 언론 매체별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hort Narratives in the Newspapers and Journals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Era in Korea
문학교육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漢文小說의 성격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vels written in Chinese at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근대전환기 학회지 수록 몽유 서사 연구
Study on Mong-yu Narratives in Journals of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in Korea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규방가사 <시골여자 슬픈사연>의 성격과 여성화자의 자아인식 - <싀골색씨 설은타령>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s and female speaker's self - recognition in Gyubang - Gasa on Modernizing Period - focu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규방가사 <시골여자 슬픈사연>의 성격과 여성화자의 자아인식 - <싀골색씨 설은타령>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s and female speaker's self - recognition in Gyubang - Gasa on Modernizing Period - focu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골여자 슬픈사연>과 <녀자의 설음>에 나타난 근대전환기 구여성의 위기와 목소리
The Crisis and the voice of old fashioned woman during Modernizing Period in and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골여자 슬픈사연>과 <녀자의 설음>에 나타난 근대전환기 구여성의 위기와 목소리
The Crisis and the voice of old fashioned woman during Modernizing Period in and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