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계몽기

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클래스 : 기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02

STNet ID : 1000181

한자 : 近代啓蒙期

x02-02 기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계몽 운동 [ 啓蒙運動 ]

RT (관련어)

 

x02-02 기간 기간

과도기 [ 過渡期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혈의 누 () [ 血--淚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창가 [ 唱歌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최남선 () [ 崔南善 ]

RT (관련어)

 

x02-02 기간 기간

근대 전환기 [ 近代轉換期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근대 () [ 近代 ]

1920년대 작문교본, 『실지응용작문대방(實地應用作文大方)』 의 국한문체 글쓰기와 한문전통

Korean-Chinese Writing and the Editorial Process of a Rhetoric Manual, Siljiungyongjakmundaebang in 1920s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유길준의 국한문체 기획과 문화의 전환 : 신채호, 최남선과의 비교연구

Yu Giljun's Planning of Korean-Chinese Style and Cultural Transformation: Comparative Studies with Shin Chaeho and Choi Namseon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士小節』의 초학교재로의 변화과정 연구

A Study on Transition of Sasojeol to Textbook for Elementary Education

동양한문학연구 | 34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육용정의 「군인처모소사전」을 읽는 한 가지 방식

One Way to Read Gunincheomososajeon of Yook Yong-jeong

한국문화연구 | 19 | 2010 | 기타인문학

육용정의 「군인처모소사전」을 읽는 한 가지 방식

One Way to Read Gunincheomososajeon of Yook Yong-jeong

한국문화연구 | 19 | | 2010 | 기타인문학

「太息錄」을 통해 본 東山 柳寅植의 계몽의식

On the thought of enlightenment in Dongsan Ryu In-sik’s “Taesikrok”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3 | 2011 | 한문비평

비격식체 상대 높임 조사 ‘요’의 기능과 생성·변화 과정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Informal Polite Postpositional Word 'YO[요]'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장인걸전> 속 複數의 주체와 그 의미 ―중세적 慣性과 근대적 指向의 錯綜과 屈折을 중심으로

The Plural Subjects in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계몽기 외국인 여행서사의 표상체계와 문화상대주의 - 러시아 가린-미하일롭스키의 『한국, 만주, 랴오둥반도 기행』을 중심으로 -

The Image and Cultural―Relativism of Enlightenment period a foreigner travel―narrative - Focus in Garin―Mihajlovsky's 『Travel Accross Korea, Manchuria and Liaodung Peninsula』 -

한민족문화연구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외국인 여행서사의 표상체계와 문화상대주의 - 러시아 가린-미하일롭스키의 『한국, 만주, 랴오둥반도 기행』을 중심으로 -

The Image and Cultural―Relativism of Enlightenment period a foreigner travel―narrative - Focus in Garin―Mihajlovsky's 『Travel Accross Korea, Manchuria and Liaodung Peninsula』 -

한민족문화연구 |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이후 이순신 인물 서사 변화 과정의 의미 연구

The Process of Change about the Story of Admiral Lee Soonshin after the Modern Enlightenment Times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계몽기 교육학과 어문 교육

Pedagogy and Language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전반기, 이언진 문학의 호명 양상

The Pattern of Citation of Lee Eon jin’s Literature in the Early 21st Century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유학생집단의 시가 장르와 표기체계에 관한 인식 연구 ― '태극학보'를 중심으로

The relation of selection of poetic genre and writing system of ‘Taegeukhakbo’ in 1900’s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계몽기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향

The Trends relating to Studies of Textbooks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Times in Korea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내셔널리즘 이전의 인터내셔널 -「월남망국사」의 조선어 번역에 대하여-

International Prior to Nation -On Translation of “The History of the Fall of Vietnam” into Chôson Language-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한글 신문의 환상적 단형서사연구

A Study on the Fantastic Narratives of Early Modern Hangeul Paper

국학연구론총 | 9 | 2012 | 기타인문학

근대 유학생 잡지의 문체와 한글체 소설의 형성 과정-『여자계』를 중심으로-

The Role of Modern Korean Magazine YeoJaGae i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Narrative-Focus on Shifts in Writing Style-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유학생 잡지의 문체와 한글체 소설의 형성 과정-『여자계』를 중심으로-

The Role of Modern Korean Magazine YeoJaGae i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Narrative-Focus on Shifts in Writing Style-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The Actual State and Modern confron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Poetry -Mainly focused on Siga(詩歌) history's composition of cognition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The Actual State and Modern confron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Poetry -Mainly focused on Siga(詩歌) history's composition of cognition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지식, 여성, 글쓰기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Women, and Writing in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지식, 여성, 글쓰기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Women, and Writing in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해학(海鶴) 이기(李沂)의 한문 인식

Yi Ki's recognition of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Modern Enlightend age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계몽기 언문일치의 본질과 국한문체의 유형

The Essentials of 'Unification of Written' and 'the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독본, 수신 교과서의 우화 텍스트의 변화 양상

The Process of Change Regarding the Allegory Texts During the Pre-Modern Period in Korea

우리말글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계몽기 독본류 교과서의 교재 연구 — 역사 인물 텍스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Reading Textbooks in the Modern Enlightenment Times - Focus on the Historical Person's Units

동방학 | 24 | 2012 | 기타인문학

근대 계몽기 가족 내 부권의 변동과 외국 유학 - 신소설 『은세계』, 『혈의누』,『추월색』을 중심으로 -

Changing The Early Modern Period Family System and Studying Abroad in Sinsoseol: The Tear of blood, The Silver World, The Color of Moon in Fall.

한민족문화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계몽기 가족 내 부권의 변동과 외국 유학 - 신소설 『은세계』, 『혈의누』,『추월색』을 중심으로 -

Changing The Early Modern Period Family System and Studying Abroad in Sinsoseol: The Tear of blood, The Silver World, The Color of Moon in Fall.

한민족문화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