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가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52

STNet ID : 1000870

한자 : 唱歌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1910년대 () [ 一九一○年代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 시가 () [ 近代詩歌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신문학 [ 新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국 근대 문학 [ 韓國近代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시 [ 近代詩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개화 사상 () [ 開化思想 ]

isAffectedBy (영향요인)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개화 가사 () [ 開化歌辭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신체시 [ 新體詩 ]

RT (관련어)

 

x02-02 기간 기간

근대 계몽기 [ 近代啓蒙期 ]

RT (관련어)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갑오개혁 () [ 甲午改革 ]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서북계 개신교 엘리트 문화의 시론적 고찰-

The Meaning of Pyeongyang Images in Korean Modern Novels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서북계 개신교 엘리트 문화의 시론적 고찰-

The Meaning of Pyeongyang Images in Korean Modern Novels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제국기 開國紀元節 기념행사와 음악

The celebration events and music on the celebration day of national foundation(開國紀元節) during the Daehan Empire Period

공연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예술일반

문학사 교육과 문학 문화 -최남선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as a Culture Phenomenon -Focused on Choi, Nam-Sun-

국제어문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사 교육과 문학 문화 -최남선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as a Culture Phenomenon -Focused on Choi, Nam-Sun-

국제어문 |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The Actual State and Modern confron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Poetry -Mainly focused on Siga(詩歌) history's composition of cognition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The Actual State and Modern confron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Poetry -Mainly focused on Siga(詩歌) history's composition of cognition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文世의 장편 창가 <高麗寺歌> 연구

On the new works of Changga(唱歌),

한국시가문화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Songs of East Asia at the Turn of the Century: Why Do We Need to Study Primary Sources?

동아시아 근대 초기의 노래들: 왜 원전연구를 해야 하는가?

이화음악논집 | 16 | 1 | 2012 | 기타음악학

권상로의 불교시가 연구

A Study on Kwon Sang ro's Buddhist Poetry

한국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초 창가(唱歌)『한양노래』의 창작 동인과 ‘한양(漢陽)’ 표상의 특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th Century Changa, Hanyangnore, published by Shinmungwan in 1908, and the Representation of Hanyang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조학유의 <찬불가> 연구

A Study on Cho Hak-yoo's Chanbulga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일본의 ‘소리문화’와 창가(唱歌)-창가의 생성과 ‘음악조사계(音樂取調掛)’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culture of the voice" in modern Japan and a song

日本思想 | 19 | 2010 | 철학

근대일본의 ‘소리문화’와 창가(唱歌)-창가의 생성과 ‘음악조사계(音樂取調掛)’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culture of the voice" in modern Japan and a song

日本思想 | | 19 | 2010 | 철학

한국 근대가곡의 성립과 그 성격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Art Song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메이지(明治) 후기 국민교육에 관한 고찰 :창가(唱歌)를 통한 신민(臣民)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The Constitution of Nation-State and Education in the Late Period of the Meiji

아태연구 | 19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조선총독부 민족음악 통제에 관한 연구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A research of the musical control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focused on music textbook-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조선총독부 민족음악 통제에 관한 연구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A research of the musical control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focused on music textbook-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식민지 조선에서의 창가, 민요 개념 성립사 ―일본에서의 번역어 성립과 조선으로의 수용 과정 분석

A Formative History of the Concepts of Ch'angga and Minyo in Colonial Korea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조선에서의 창가, 민요 개념 성립사 ―일본에서의 번역어 성립과 조선으로의 수용 과정 분석

A Formative History of the Concepts of Ch'angga and Minyo in Colonial Korea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