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오개혁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사건명/회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95

STNet ID : 1000065

한자 : 甲午改革

y03-01 사건명/회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갑오경장 () [ 甲午更張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개혁운동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단발령 [ 斷髮令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황철 (사진가) [ 黃鐵 ]

affects (영향)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백정 [ 白丁 ]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구본신참 [ 舊本新參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서유견문 () [ 西遊見聞 ]

RT (관련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근대 경찰 (한국) [ 近代警察 ]

RT (관련어)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지방군 [ 地方軍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창가 [ 唱歌 ]

RT (관련어)

 

x02-03 시점 시점

갑오년 [ 甲午年 ]

RT (관련어)

관련제도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연좌제 [ 連坐制 ,緣坐制 ]

RT_Y (◄관련어)

관련 사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국문체 [ 國文體 ]

R2:기능적

isManagedBy (관리 주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길준 () [ 兪吉濬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아관파천 [ 俄館播遷 ]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광무 개혁 [ 光武 改革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갑신정변 [ 甲申政變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을미 개혁 [ 乙未改革 ]

大院君執政期 朝鮮社會의 變化와 發展 : James B. Palais의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에 대한 서평 논문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 Chosŏn Society in the Daewongun Period: A book review of the James B. Palais’s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

한국학연구 | 24 | 2011 | 기타인문학

Establishing the Rules of Engagement: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ies, the U.S. Legation, and the Chosŏn State, 1884-1900

1884-1900년 미국 선교사, 미국 공사, 조선정부 사이의 활동수칙 설립에 대한 연구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17 | 1 | 2012 | 기타역사일반

響山 李晩燾의 現實認識과 문학적 對應樣相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 of Hyangsan(響山) Lee Mando(李晩燾)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響山 李晩燾의 現實認識과 문학적 對應樣相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 of Hyangsan(響山) Lee Mando(李晩燾)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갑신정변과 갑오경장 시기의 사대와 독립의 의미

The meaning of 'sadae(事大)' and 'independence' in the era of 1884 Coup and Kabo Reform

한국학연구 | 34 | 2010 | 기타인문학

갑신정변과 갑오경장 시기의 사대와 독립의 의미

The meaning of 'sadae(事大)' and 'independence' in the era of 1884 Coup and Kabo Reform

한국학연구 | | 34 | 2010 | 기타인문학

개화기 군민동치 제도화 과정 및입헌군주제 수용 유형 연구

Institutionalization and Type of the Monarchial Constitutionalism after Enlightenment in Korea

헌법학연구 | 18 | 2 | 2012 | 헌법

조선시대 문과 연구의 동향과 전망

Trends and Prospects about Mungwa of Joseon Period Research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1890년대 후반 ‘문명’ 개념의 확산과 문명 인식

Spread of the Civilization Concept and Development of Theory of Civiliz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890s

한국사연구 | 149 | 2010 | 역사학

1890년대 후반 ‘문명’ 개념의 확산과 문명 인식

Spread of the Civilization Concept and Development of Theory of Civiliz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890s

한국사연구 | | 149 | 2010 | 역사학

고종 충신 민영달(1859~1924)의 정치활동과 민족운동

Youngdal Min: His Contributions to Political Activities and National Movement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3 | 2010 | 역사학

고종 충신 민영달(1859~1924)의 정치활동과 민족운동

Youngdal Min: His Contributions to Political Activities and National Movement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3 | 2010 | 역사학

한국 근대경찰의 창설배경과 조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and the Organization of Korea Modern Police

한국경찰연구 | 11 | 2 | 2012 | 사회과학

1890년대 후반 ‘문명’ 개념의 확산과 문명 인식

Spread of the Civilization Concept and Development of Theory of Civiliz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890s

한국사연구 | 149 | 2010 | 역사학

1890년대 후반 ‘문명’ 개념의 확산과 문명 인식

Spread of the Civilization Concept and Development of Theory of Civiliz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890s

한국사연구 | | 149 | 2010 | 역사학

영남대 소장본 『夙惠記略』 고찰

A study on Sukhyegiryak of Yeungnam University's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갑오경장기 지방제도와 군사제도의 개혁 그리고 지역 사회의 대응 -동래 관찰부 문서들에 기초한 사례 연구-

A Study of Reform of the Local Government and Military System and Local Society's Reaction to Kabo Reform of 1894 in Korea -A Case Study of Dongnae Local Government and Society through the Old Documents

영남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갑오개혁기 정부의 관리등용제도

The Appointment System of the Korean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 Gabo Reformation Period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4 | 2012 | 사회학

明治欽定憲法의 成立과 韓國開化派의 追從

Meiji Japan’s Influence on the Legal History and Legal Modernization in Korea

법철학연구 | 15 | 2 | 2012 | 법학

재일조선유학생들의 ‘국민론’과 ‘애국론’ -『親睦會會報』(1896~1898)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The Discourse on ‘Kungmin’ and ‘Patriotism’ of the Chosŏn Students Studying in the Japan(1896~189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6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