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체

연구분야 : A100200 인문학 > 문학 > 문학사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9005

한자 : 國文體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표준사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순국문체 [ 純國文體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체 () [ 文體 ]

R1:개념적

RT_X (관련어►)

관련 사건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갑오개혁 () [ 甲午改革 ]

R2:기능적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애국부인전 [ 愛國婦人傳 ]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재론

Sinsosel as a Modern Korean Novel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재론

Sinsosel as a Modern Korean Novel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김진구 야담의 형성과 문체

The Formation and Writing Style of Kim Jin-gu's Historical Tales

민족문화논총 | 51 | 2012 | 기타인문학

『대한민보』의 문체상황과 독자층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ndition of language style and the readers of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민보』의 문체상황과 독자층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ndition of language style and the readers of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민보』의 문체상황과 독자층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ndition of language style and the readers of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민보』의 문체상황과 독자층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ndition of language style and the readers of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매일신보』 소설 문체의 변화와 독자의 형성과정

The literal transformation of novels on in the 1910s and the formation of its reader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매일신보』 소설 문체의 변화와 독자의 형성과정

The literal transformation of novels on in the 1910s and the formation of its readers.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잡지 매체의 언어 선택과 근대독자의 형성과정

The literary style in the 1910s' magazine and the formation of modern readers.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