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 가사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763

STNet ID : 9001879

한자 : 開化歌辭
영어 : enlightened gasa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19세기 말 () [ 十九世紀末 ]

S:동의

UF (비우선어)

 

 

개화기 시가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농부가류가사 [ 農夫歌類歌辭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계몽가사 [ 啓蒙歌辭 ]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창가 [ 唱歌 ]

hasIssue (이슈/주제)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사회 변동 [ 社會變動 ]

hasIssue (이슈/주제)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정치 변동 [ 政治變動 ]

RT (관련어)

게재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잡지 () [ 雜誌 ]

RT (관련어)

게재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신문 [ 新聞 ]

근대계몽기 유학생집단의 시가 장르와 표기체계에 관한 인식 연구 ― '태극학보'를 중심으로

The relation of selection of poetic genre and writing system of ‘Taegeukhakbo’ in 1900’s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