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변동

연구분야 : B0809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변동/발전사회학

클래스 : 변천/과정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955

STNet ID : 9009844

한자 : 社會變動
영어 : social change

b02-04 변천/과정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사회 변화 [ 社會變化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변동 [ 變動 ]

N1:종류

hasKind (종류)

 

c01-01 경향/동향 경향/동향
c01-01 경향/동향 /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인구 고령화 () [ 人口高齡化 ]

hasKind (종류)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탈식민화 [ 脫植民化 ]

hasKind (종류)

 

B02 변화(변동) 변화(변동)

서구화 [ 西歐化 ]

hasKind (종류)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탈나치화 [ 脫--化 ]

hasKind (종류)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중앙 집권화 [ 中央集權化 ]

hasKind (종류)

 

 

[R] 베트남 사회 변화 () [ --社會變化 ]

hasKind (종류)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문명화 [ 文明化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근대화 () [ 近代化 ]

R1:개념적

affects (영향)

 

x03-05-01 원인/조건/요소 원인/조건/요소

디자인 변화 요인 [ --變化要因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기술결정론 [ 技術決定論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불안정성 [ 不安定性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개화 가사 () [ 開化歌辭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R] 법과 문화 () [ 法-- 文化 ]

RT (관련어)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코호트 [cohort]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사회 변혁 [ 社會變革 ]

RT (관련어)

 

 

국내적 변화 [ 國內的變化 ]

고려후기 거제 지역사회의 변동과 巨濟縣의 이동

The change of Geoje Community and the movement of GeojeHyeon(巨濟縣) in the late Coryeo Dynasty

석당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고려후기 거제 지역사회의 변동과 巨濟縣의 이동

The change of Geoje Community and the movement of GeojeHyeon(巨濟縣) in the late Coryeo Dynasty

석당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이행과 번역 - 한국사회의 근대성 이해를 위한 방법론적 소고

Transition and Translation - A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on Understanding Shadow Modernity

경제와 사회 | 89 | 2011 | 사회학

종교사회학과 ‘사회종교학’: 기독교사회학의 사회 변혁적 관점

Sociology of Religion and "Sociology of Society": Social Transformative Aspect of Christian Sociology

기독교사회윤리 | 22 | 2011 | 기독교신학

한국 초기 및 고대국가 성립에 관한 비교사적 검토 - 한국과 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review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Early and the Ancient state - Focusing on Korean and European Cases -

동북아역사논총 | 33 | 2011 | 역사학

북한 청소년 코호트(cohort)와 도덕교육적 함의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Unification through Research of North Youth Cohort

도덕윤리과교육 | 30 | 2010 | 교육학

북한 청소년 코호트(cohort)와 도덕교육적 함의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Unification through Research of North Youth Cohort

도덕윤리과교육 | | 30 | 2010 | 교육학

인도네시아 숨바섬의 거석묘 조영과 확산과정

Construction and Diffusion Process of the Megalithic Tomb in Sumba, Indonesia

고문화 | 76 | 2010 | 역사학

인도네시아 숨바섬의 거석묘 조영과 확산과정

Construction and Diffusion Process of the Megalithic Tomb in Sumba, Indonesia

고문화 | | 76 | 2010 | 역사학

Youth and Youth Leadership Program for Social Change in Filipino Community

필리핀 사회 변화에 있어서 청소년과 청소년리더십의 기여

청소년학연구 | 18 | 4 | 2011 | 기타사회과학

뉴에이지 운동과 종교사회학의 지평

A Study on the New Age Movement and Sociology of Religion

한국학연구 | 32 | 2010 | 기타인문학

뉴에이지 운동과 종교사회학의 지평

A Study on the New Age Movement and Sociology of Religion

한국학연구 | | 32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과 필리핀 시민사회의 경제 환경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Economic Environment of Philippine Civil Society and Korean Society

민주주의와 인권 | 10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국과 필리핀 시민사회의 경제 환경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Economic Environment of Philippine Civil Society and Korean Society

민주주의와 인권 | 10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근대중국 시민사회구조에서 하류계층의 분화와 변동: 軍閥時期를 중심으로

중소연구 | 34 | 4 | 2011 | 사회과학

근대 이후 한국 사회변동과 개신교 학교의‘종교교육’: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 문제를 중심으로

Social change in modern korea and protestant church: Concentrating on ‘Religious Education’in the christian schools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1 | 2012 | 원불교학

서구 ‘사회과학’의 역사적 고찰 ― 사회과학과 사회학 ―

Historical Research on the Western Social Science ― Social Science and Sociology ―

이화사학연구 | 44 | 2012 | 기타역사일반

사회변동과 형법의 과제

Social Change and the Assignment of Criminal Law

비교형사법연구 | 12 | 2 | 2010 | 법학

사회변동과 형법의 과제

Social Change and the Assignment of Criminal Law

비교형사법연구 | 12 | 2 | 2010 | 법학

사회변동의 맥락에서 본 <茶母傳>의 창작배경과 작가의식

The background of and writer's consciousness appeared the context of social change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사회변동의 맥락에서 본 <茶母傳>의 창작배경과 작가의식

The background of and writer's consciousness appeared the context of social change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