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식민화

연구분야 : A030102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 인식론

클래스 : 변천/과정
정치/국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392

STNet ID : 9002055

한자 : 脫植民化
영어 : Decolonization

b02-04 변천/과정

c03-05 정치/국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사회 변동 [ 社會變動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탈식민지주의 () [ 脫植民地主義 ]

20세기 총력전하 한국인의 정체성과 식민지주의

Korean Identity and colonialism In the Total War of the 20th Century

한국사연구 | 150 | 2010 | 역사학

20세기 총력전하 한국인의 정체성과 식민지주의

Korean Identity and colonialism In the Total War of the 20th Century

한국사연구 | | 150 | 2010 | 역사학

에메 세제르의 『크리스토프 왕의 비극』과 아이티의 역사

L'histoire de l'Haïti représentée dans La tragédie du roi Christophe d'Aimé Césaire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8 | 2011 | 프랑스문화학

에메 세제르의 『귀향수첩』에 나타나는 아나포라의 수사법

La rhétorique de l'anaphore dans Cahier d'un retour au pays natal

수사학 | 16 | 2012 | 기타인문학

에메 세제르의 "태풍"에 나타나는 식민 지배와 반식민 저항의 수사법

La stratégie rhétorique du colonialisme et celle de la lutte anticolonialiste dans Une Tempête d'Aimé Césaire

수사학 | 15 | 2011 | 기타인문학

Leprosy and Citizenship in Korea under American Occupation (1945~1948)

미군정기 한국에서의 한센병과 시민권(1945~48)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Leprosy and Citizenship in Korea under American Occupation (1945~1948)

미군정기 한국에서의 한센병과 시민권(1945~48)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에메 세제르의 『귀향수첩』에 나타나는 반식민적 의식화를 위한 현실 고발

Critique de la réalité des Noirs en Martinique pour leur prise de conscience dans Cahier d'un retour au pays natal d'Aimé Césaire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2010 | 프랑스문화학

에메 세제르의 『귀향수첩』에 나타나는 반식민적 의식화를 위한 현실 고발

Critique de la réalité des Noirs en Martinique pour leur prise de conscience dans Cahier d'un retour au pays natal d'Aimé Césaire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 2010 | 프랑스문화학

에두아르 글리상의 역사 의식

La conscience historique chez Édouard Glissant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9 | 2012 | 프랑스문화학

미군정기 남한과 일본의 문학으로서의 탈식민화 1945~1948 —『문학』과 『민주조선』의 두 사례

Munhak and Minshu Chōsen :Decolonization through Literature in US Military Occupied Southern Korea and Japan, 1945-1948

동악어문학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제국의 해체-영국과 프랑스의 ‘탈식민화’ 비교-

End of Empires: A Comparative Approach of British and French ‘Decolonization’

서양사론 | 106 | 2010 | 역사학

제국의 해체-영국과 프랑스의 ‘탈식민화’ 비교-

End of Empires: A Comparative Approach of British and French ‘Decolonization’

서양사론 | | 106 | 2010 | 역사학

영제국이 영국 본토에 끼친 문화적 영향 ―탈식민화(decolonization) 이전과 이후에 대한 연구 성향의 비교―

Cultural Influence of the British Empire on Britain ―A Comparison between Research Trends on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Decolonization―

영국연구 | 27 | 2012 | 역사학

Decolonizing Kate: D. H. Lawrence’s The Plumed Serpent as a Critique of Modern Western Individualism

D.H. 로렌스 연구 | 19 | 2 | 2011 | 영어와문학

‘프랑스어권문학’ - 탈식민화 기획과 실천의 가능성

Les littératures francophones - la possibilié de la pratique du projet de la décolonisation

불어불문학연구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프랑스어권문학’ - 탈식민화 기획과 실천의 가능성

Les littératures francophones - la possibilié de la pratique du projet de la décolonisation

불어불문학연구 |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인식의 경계로서 로컬리티와 탈식민화

Locality as a Border of Recognition and Decolonization

영미어문학 | 95 | 2010 | 영어와문학

인식의 경계로서 로컬리티와 탈식민화

Locality as a Border of Recognition and Decolonization

영미어문학 | | 95 | 2010 | 영어와문학

친일파인 자의 이름: 탈식민화와 고유명의 정치

The Name of Person called as Pro-Japanese : Decolonization Practice and Policitcs in Korea

민족문화연구 | 54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