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시

연구분야 : A110207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시(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269

한자 : 新體詩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신시 [ 新詩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시 [ 近代詩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R] 일본 신체시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자유시 () [ 自由詩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창가 [ 唱歌 ]

R3:시간적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후기 가사 () [ 後期歌辭 ]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사 교육과 문학 문화 -최남선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as a Culture Phenomenon -Focused on Choi, Nam-Sun-

국제어문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사 교육과 문학 문화 -최남선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as a Culture Phenomenon -Focused on Choi, Nam-Sun-

국제어문 |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The Actual State and Modern confron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Poetry -Mainly focused on Siga(詩歌) history's composition of cognition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The Actual State and Modern confron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Poetry -Mainly focused on Siga(詩歌) history's composition of cognition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신시(新詩)에서의 율(律)의 문제

The Birth of Modern Perception of Sound and Letter -Choi Nam-seon's sense of Rhythm for Sin-si-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신시(新詩)에서의 율(律)의 문제

The Birth of Modern Perception of Sound and Letter -Choi Nam-seon's sense of Rhythm for Sin-si-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