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시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8462

STNet ID : 1001157

한자 : 近代詩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1910년대 () [ 一九一○年代 ]

S:동의

UF (비우선어)

 

 

한국 근대시 [ 韓國近代詩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 문학 [ 近代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국시 [ 韓國詩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국 근대 문학 [ 韓國近代文學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창가 [ 唱歌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신체시 [ 新體詩 ]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주요한 (1900-1979) [ 朱耀翰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최남선 () [ 崔南善 ]

황석우 시의 자연과 생명의 가치 - 시집 『자연송』을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Nature and Life in Poems of Hwang-Seokwoo’s middle period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욕망으로서의 번역과 오역 사이 ― 타고르의 Gitanjali와 김억의 기탄자리 ―

Between translation and mistranslation as a desire ― Tagore's original Gitanjali and its translated version by Kim Uk ―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욕망으로서의 번역과 오역 사이 ― 타고르의 Gitanjali와 김억의 기탄자리 ―

Between translation and mistranslation as a desire ― Tagore's original Gitanjali and its translated version by Kim Uk ―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황석우의 초기 시와 시론의 위치 — 잡지 『삼광』소재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osition of Hwang, Sok–woo's early works and poetic theory in 1910'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詩魂」의 반(反)시론적 성격 연구

A Sy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 So-weol's Poetic Soul(詩魂)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 농민들의 문학의식과 농민시의 형성

Literature Consciousness of Peasants and Formation of Peasant Poetry in Korea Modern

한국문예비평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 농민들의 문학의식과 농민시의 형성

Literature Consciousness of Peasants and Formation of Peasant Poetry in Korea Modern

한국문예비평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문학에서 프로시의 위상과 가치

Prestige and Value of Proletariat-poetry in North Korean Literature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문학에서 프로시의 위상과 가치

Prestige and Value of Proletariat-poetry in North Korean Literature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의 근대시 인식과 시적 주체의 특성 연구: 초기시를 중심으로

The attitude to modern poetry and the characteristic of poetic subject in early works of Lee-KwangSu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華想譜」論: 日帝 末期 兪鎭午의 朝鮮主義와 敍事戰略

A Study on Hwasangbo(華想譜): Yu Jin-o's Nationalism and Narrative Strategy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華想譜」論: 日帝 末期 兪鎭午의 朝鮮主義와 敍事戰略

A Study on Hwasangbo(華想譜): Yu Jin-o's Nationalism and Narrative Strategy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유교에 나타난 전통과 근대의 불연속성 -儒敎資本主義論을 중심으로-

Continuity & Discontinuity of tradition and modernity in Korean main-stream Confucianism - A critical review on Korean confucian capitalism -

유학연구 | 23 | 2010 | 철학

한국유교에 나타난 전통과 근대의 불연속성 -儒敎資本主義論을 중심으로-

Continuity & Discontinuity of tradition and modernity in Korean main-stream Confucianism - A critical review on Korean confucian capitalism -

유학연구 | 23 | | 2010 | 철학

濯斯 崔炳憲의 ‘萬宗一臠’ 思想과 基督敎 辨證 - 「聖山明鏡」에 나타난 對 儒敎 論爭을 中心으로 -

Byeong-heon Choe’s Manjongillyeon and Christian Dialectic - Focused on the debate on Confucianism in 「Seongsanmyeonggyeong」 -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유학생집단의 시가 장르와 표기체계에 관한 인식 연구 ― '태극학보'를 중심으로

The relation of selection of poetic genre and writing system of ‘Taegeukhakbo’ in 1900’s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과 러시아 근대시에 나타난 윤리적 실존의 두 양상 - 알렉산드르 블로크와 윤동주

Два аспекта этической экзистенции в корейской и русской поэзии модерна - Александр Блок и Юн Донг Чжу

외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 초기 시론의 탈근대적 성격 ― 김억을 중심으로

Post-modern Characteristics of Early Modern Poetics ― From the viewpoint of Kim-Eok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부녀잡지(婦女雜志)≫(1920-1925)를 통해 본 신여성의 글쓰기

The Strategy of New Woman's Writing Against the Discourse of Male Domination ― The Ladies' Journal(1920-1925)

중국어문논총 | 49 | 2011 | 중국어와문학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그 후(それから)』와 이광수의『무정(無情)』에 나타난 근대적 개인의 형성 과정과 성격 비교 연구

韓日の近代的個人の形成過程と性格の比較研究 -夏目漱石の『それから』と李光洙の『無情』を中心に-

일본문화연구 | 39 | 2011 | 일본어와문학

해방기 시의 정전화 양상 -≪시집≫과 ≪현대조선명시선≫을 중심으로-

The Canonizing Features of the Poem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focusing on the and the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의 정전화 양상 -≪시집≫과 ≪현대조선명시선≫을 중심으로-

The Canonizing Features of the Poem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focusing on the and the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 종결 방식의 형성과 의미 - 1910년대 『학지광』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ignificance and Formation of the Ending Methods in Poetry - Focusing on Poetry in 『학지광Hakjigwang』 in the 1910s

한국시학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 종결 방식의 형성과 의미 - 1910년대 『학지광』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ignificance and Formation of the Ending Methods in Poetry - Focusing on Poetry in 『학지광Hakjigwang』 in the 1910s

한국시학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중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근대체험 양상 -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1』과 丁玲의 『母親』을 중심으로

韩中小说中的女性近代体验样像研究 - 以朴婉绪的『妈妈的木桩1』和丁玲的『母亲』为中心

세계문학비교연구 | 37 | 2011 | 문학

1920년대 인도 시인의 유입과 탈식민성의 모색

The Introduction of Indian Poets in the 1920s and Seeking Postcoloniality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시 문학사 교육의 모형 연구 : 1920년대 홍사용과 이상화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al Model about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Centered on the poems of Hong, Sayong and Lee, Sanghwa ―

교양교육연구 | 6 | 3 | 2012 | 학제간연구

주요한 시의 근대성과 반근대성

The modernity and the anti-modernity of Ju, Yo-han's poetry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의 미적 자율성 형성 과정 연구 ― 근대지식과의 결합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Forming of Aesthetic Autonomy in Modern Poetrys ― Focusing on the combination with modern knowledge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기 시인의 현실과 유행가요 창작의 의미

The reality of poet, meaning of writing popular song in modern Korea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