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초 한국의 문명전환과 번역 -重譯과 譯述의 문제를 중심으로-
Translation and Change in Civilization in Early 20th Century -Focusing on Problems of Translation From Translation and Paraphrase-
어문논집 |
63 |
2011 |
한국어와문학
각종 취지서, 선언서의 저자들과 그 의미
Authors of Several Prospectuses and Declaration and those Meanings
어문학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각종 취지서, 선언서의 저자들과 그 의미
Authors of Several Prospectuses and Declaration and those Meanings
어문학 |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각종 취지서, 선언서의 저자들과 그 의미
Authors of Several Prospectuses and Declaration and those Meanings
어문학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각종 취지서, 선언서의 저자들과 그 의미
Authors of Several Prospectuses and Declaration and those Meanings
어문학 |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Diaglossia and the Status of Korean Writing in the 1910s'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Diaglossia and the Status of Korean Writing in the 1910s'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Traduction en face de la modernité et du nationalisme : La post-colinialité en traduction et la transformation de l'écriture à l'époque de l'Ouverture au monde
모더니티와 내셔널리즘 앞에서 마주선 번역 - 개화기 에크리튀르의 변형과 번역에서의 탈식민지성
한국프랑스학논집 |
73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전반기, 이언진 문학의 호명 양상
The Pattern of Citation of Lee Eon jin’s Literature in the Early 21st Century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 조선민족성 담론의 형성 배경과 논의 방식
A Study on the Modernist Discourses of Koreans: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Chosǒn National Character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 초 조선민족성 담론의 형성 배경과 논의 방식
A Study on the Modernist Discourses of Koreans: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Chosǒn National Character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근대지식인의 유대인 이해
A Understanding on Jews of the Modern Korean Intellectuals
한국중동학회논총 |
30 |
3 |
2010 |
지역학
한국 근대지식인의 유대인 이해
A Understanding on Jews of the Modern Korean Intellectuals
한국중동학회논총 |
30 |
3 |
2010 |
지역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 온 톨스토이
Tolstoi Translated in Korean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 조선민족성 담론의 형성 배경과 논의 방식
A Study on the Modernist Discourses of Koreans: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Chosǒn National Character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 초 조선민족성 담론의 형성 배경과 논의 방식
A Study on the Modernist Discourses of Koreans: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Chosǒn National Character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근대불교의 불교문화재 인식
Korean Modern Buddhism and Buddhist Cultural Assets
보조사상 |
36 |
2011 |
종교학
근대시 형성기 시들의 형식과 변화 과정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Its Change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e Formative Period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A study on Tasan by Cheong Inbo, An Jaihong, Choi Ikh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A study on Tasan by Cheong Inbo, An Jaihong, Choi Ikh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독립선언서에 표상된 한(韓)과 조선 그리고 동양-부재하는 국가, 선언으로서의 민족, 개인의 희생
Representations of ‘Han(韓),’ ‘Joseon(朝鮮),’ and ‘the East(東洋)’ in The Proclamation of Independence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독립선언서에 표상된 한(韓)과 조선 그리고 동양-부재하는 국가, 선언으로서의 민족, 개인의 희생
Representations of ‘Han(韓),’ ‘Joseon(朝鮮),’ and ‘the East(東洋)’ in The Proclamation of Independence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진학문(秦學文)과 모파상 Maupassant - 1910년대의 프랑스 소설 번역에 대한 고찰
Jin Hak-Mun et Maupassant -Réflexions sur la traduction des romans français dans les années 1910
한국프랑스학논집 |
75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식민지 지식인의 ‘지조’ 지키기―동경삼재의 삶을 중심으로
Upholding Korean intellectuals' fidelity during the colonial period
역사비평 |
90 |
2010 |
역사학
식민지 지식인의 ‘지조’ 지키기―동경삼재의 삶을 중심으로
Upholding Korean intellectuals' fidelity during the colonial period
역사비평 |
|
90 |
2010 |
역사학
소통인문학의 정립을 위한 비판적 제언
A Critical Suggestion for the Foundation of Trans-Humanitie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소통인문학의 정립을 위한 비판적 제언
A Critical Suggestion for the Foundation of Trans-Humanitie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근대시 형성기 시들의 형식과 변화 과정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Its Change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e Formative Period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불교 전통의 재인식
Adoption of Modern Buddhist Study and New Understanding of Buddhist Tradition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불교 전통의 재인식
Adoption of Modern Buddhist Study and New Understanding of Buddhist Tradition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六書尋源』에 대한 近代漢文學界의 평가와 그 의미
On the meaning of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s estimation of Yukseoshimwon(六書尋源)
민족문화논총 |
47 |
2011 |
기타인문학
『六書尋源』에 대한 近代漢文學界의 평가와 그 의미
On the meaning of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s estimation of Yukseoshimwon(六書尋源)
민족문화논총 |
47 |
2011 |
기타인문학
진학문(秦學文)과 모파상 Maupassant - 1910년대의 프랑스 소설 번역에 대한 고찰
Jin Hak-Mun et Maupassant -Réflexions sur la traduction des romans français dans les années 1910
한국프랑스학논집 |
75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어린이 잡지 『아이들 보이』의 총 목차와 폐간호
THE COMPLETE TABLE OF CONTENTS AND THE FINAL NUMBER OF CHILDREN’S MAGAZINE “A-I-DEUL BO-I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린이 잡지 『아이들 보이』의 총 목차와 폐간호
THE COMPLETE TABLE OF CONTENTS AND THE FINAL NUMBER OF CHILDREN’S MAGAZINE “A-I-DEUL BO-I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사 교육과 문학 문화 -최남선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as a Culture Phenomenon -Focused on Choi, Nam-Sun-
국제어문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사 교육과 문학 문화 -최남선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as a Culture Phenomenon -Focused on Choi, Nam-Sun-
국제어문 |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철도창가와 문명의 향방-그 계몽성과 심미성 교육의 한 관점
A Study of Railroad Changgas and Destination of Civilization
민족문학사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철도창가와 문명의 향방-그 계몽성과 심미성 교육의 한 관점
A Study of Railroad Changgas and Destination of Civilization
민족문학사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철도창가와 문명의 향방-그 계몽성과 심미성 교육의 한 관점
A Study of Railroad Changgas and Destination of Civilization
민족문학사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철도창가와 문명의 향방-그 계몽성과 심미성 교육의 한 관점
A Study of Railroad Changgas and Destination of Civilization
민족문학사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Multiply-Translated Modernity in Korea: Samuel Smiles’ Self-Help and its Japanese and Korean Translations
중역된 근대: <자조론>번역을 중심으로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16 |
2 |
2011 |
기타역사일반
문학사 교육과 문학 문화 -최남선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as a Culture Phenomenon -Focused on Choi, Nam-Sun-
국제어문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사 교육과 문학 문화 -최남선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as a Culture Phenomenon -Focused on Choi, Nam-Sun-
국제어문 |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40년대 ‘동경삼재(홍명희, 최남선, 이광수)’의 일제 협력과 저항
Three Korean geniuses' activities in 1930~1940s between resistance and collaboration
한국인물사연구 |
14 |
2010 |
역사학
1930·40년대 ‘동경삼재(홍명희, 최남선, 이광수)’의 일제 협력과 저항
Three Korean geniuses' activities in 1930~1940s between resistance and collaboration
한국인물사연구 |
|
14 |
2010 |
역사학
『산수격몽요결(刪修擊蒙要訣)』 연구 ― 서구 격언과 일본 근대 행동규범의 번역을 통해 굴절된 한국 고전
A Study about Sansugyokmongyogyol - The Refraction of Korean Classics by the Translation of Western Quotations and Meiji Moral Code
코기토 |
69 |
2011 |
기타인문학
유길준의 국한문체 기획과 문화의 전환 : 신채호, 최남선과의 비교연구
Yu Giljun's Planning of Korean-Chinese Style and Cultural Transformation: Comparative Studies with Shin Chaeho and Choi Namseon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1900~10년대 최남선의 ‘고전/번역’ 활동과 전통에 대한 인식
Activity of ‘Translation of Classics’ and Acknowledgement of Tradition by Namsun Choi in 1900~10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1900~10년대 최남선의 ‘고전/번역’ 활동과 전통에 대한 인식
Activity of ‘Translation of Classics’ and Acknowledgement of Tradition by Namsun Choi in 1900~10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고전의 근대적 재생산과 최남선의 국한문체 글쓰기「조선광문회고백(朝鮮光文會告白)」 검토
The Modern Reproducing of Classics and Choe Namson’s Korean-Chinese Style: About Josongwangmunhoe Booklet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의 근대적 재생산과 최남선의 국한문체 글쓰기「조선광문회고백(朝鮮光文會告白)」 검토
The Modern Reproducing of Classics and Choe Namson’s Korean-Chinese Style: About Josongwangmunhoe Booklet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국내외 國學 연구의 동향
Research Trends in Korean Studies in 1910s
韓國史學史學報 |
21 |
2010 |
역사학
1910년대 국내외 國學 연구의 동향
Research Trends in Korean Studies in 1910s
韓國史學史學報 |
|
21 |
2010 |
역사학
1910년대 국내외 國學 연구의 동향
Research Trends in Korean Studies in 1910s
韓國史學史學報 |
21 |
2010 |
역사학
1910년대 국내외 國學 연구의 동향
Research Trends in Korean Studies in 1910s
韓國史學史學報 |
|
21 |
2010 |
역사학
『고본춘향전』 개작의 몇 가지 문제
On Adaptation of Gobon Chunhyangjeon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본춘향전』 개작의 몇 가지 문제
On Adaptation of Gobon Chunhyangjeon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문체時文體의 국어학적 분석
A Linguistic Approach to Writing Styles: Focus on the ‘Si-Mun-Che’ Writing Styl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한국학논집 |
46 |
2012 |
기타인문학
『산수격몽요결(刪修擊蒙要訣)』 연구 ― 서구 격언과 일본 근대 행동규범의 번역을 통해 굴절된 한국 고전
A Study about Sansugyokmongyogyol - The Refraction of Korean Classics by the Translation of Western Quotations and Meiji Moral Code
코기토 |
69 |
2011 |
기타인문학
최남선의 현실 인식과『소년』의 특성 변화:청년학우회 참여 전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oi, Nam-Seon’s Perception of Rea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Changes in the Magazine『So-Nyeon』: Focused on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Joining the Youth’s Student Association
한국언론학보 |
55 |
1 |
2011 |
신문방송학
『한동아집첩(漢衕雅集帖)』과 오세창의 시회활동(詩會活動) 연구
Study on Handong-ajipcheop(漢衕雅集帖) and Oh Sechang’s Poetic Gatherings
동양학 |
48 |
2010 |
기타인문학
『한동아집첩(漢衕雅集帖)』과 오세창의 시회활동(詩會活動) 연구
Study on Handong-ajipcheop(漢衕雅集帖) and Oh Sechang’s Poetic Gatherings
동양학 |
|
48 |
2010 |
기타인문학
闖入の歴史学、あるいは破綻する普遍 -崔南善の朝鮮史研究をめぐって-
A History of Irruption or the Collapse of Universality : On CHOI Nam-Sun and his Study Korean History
일어일문학 |
53 |
2012 |
일본어와문학
최남선의 계몽의 기획과 글쓰기 연구
A Study on writing and project of enlightenment of Choi Nam Sun's Poem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계몽의 기획과 글쓰기 연구
A Study on writing and project of enlightenment of Choi Nam Sun's Poem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국역의 양상과 한문고전의 형성 -최남선의 출판 활동을 중심으로
The Birth of National Cannon Translation : Publishing of Choe Nam-seon during the 1910s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1910년대, 국역의 양상과 한문고전의 형성 -최남선의 출판 활동을 중심으로
The Birth of National Cannon Translation : Publishing of Choe Nam-seon during the 1910s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신문관 간행 육전소설에 대한 연구
Study on “Six Coin Novel” issued by Shin-Mun-Gw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간행 육전소설에 대한 연구
Study on “Six Coin Novel” issued by Shin-Mun-Gw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조사의 편성 과정과 최남선의 시가 인식
Formation Process of Sijo History and Recognition of Choi Nam Seon on Classical Poetry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잡지 『소년(少年)』에 수록된 고시조와 최남선의 창작 시조에 대한 연속적 고찰
A serial speculation of old Sijo poems in 『Sonyeon(少年)』 and Choi Nam Seon's creative Sijo poems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단군과 만주, 아첨의 영웅주의: 최남선의 「자열서」 읽기
Tangun, Manchuria, and the Heroism of Flattery: Reading Choi Namsŭn's "Jayŭlsŭ(自列書)"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군과 만주, 아첨의 영웅주의: 최남선의 「자열서」 읽기
Tangun, Manchuria, and the Heroism of Flattery: Reading Choi Namsŭn's "Jayŭlsŭ(自列書)"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신시(新詩)에서의 율(律)의 문제
The Birth of Modern Perception of Sound and Letter -Choi Nam-seon's sense of Rhythm for Sin-si-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신시(新詩)에서의 율(律)의 문제
The Birth of Modern Perception of Sound and Letter -Choi Nam-seon's sense of Rhythm for Sin-si-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초기 지식편제와 교양으로서의 소설 - 최남선과 <소년>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knowledge and Project of ‘Buildung’- focusing on Choi Nam-seon」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백팔번뇌>에 나타난 조선적인 것의 의미
The Meaning of Joseon Found in Baek-pal-beon-noe by Choi, Nam-seon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소년』의 ‘영웅’ 서사와 동아시아적 맥락
Heroes in Sonyen(『少年』) and the East Asian Context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소년』의 ‘영웅’ 서사와 동아시아적 맥락
Heroes in Sonyen(『少年』) and the East Asian Context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최남선의 ‘자조론(自助論)’ 번역과 그 함의-'자조론(自助論)'(1918)의 변언(弁言)을 중심으로
The Translation of ‘Self-Help’ of Namsun Choi in 1910’s and Its Undertone
민족문학사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최남선의 ‘자조론(自助論)’ 번역과 그 함의-'자조론(自助論)'(1918)의 변언(弁言)을 중심으로
The Translation of ‘Self-Help’ of Namsun Choi in 1910’s and Its Undertone
민족문학사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불함문화론
The Study of Bulhammunhwaroneun by Choe, Nam Seon
仙道文化 |
11 |
2011 |
기타철학일반
1910년대 최남선의 『자조론』 번역과 ‘청년’의 ‘자조’
The meaning of Self-Help Translated by Choi Nam-Son in 1918
한국사상사학 |
39 |
2011 |
역사학
20세기 초 창가(唱歌)『한양노래』의 창작 동인과 ‘한양(漢陽)’ 표상의 특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th Century Changa, Hanyangnore, published by Shinmungwan in 1908, and the Representation of Hanyang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잡지『새별』 연구
Study on the 『Saebeol』, the magazine in 1910
한국아동문학연구 |
22 |
2012 |
아동문학
[엉클 톰스 캐빈]과 [검둥의 설움]의 간격
Gap between Uncle Tom’s Cabin and Geomdung ui Seorum (Sorrow of a Nigger)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국학의 이념과 근대시의 거절 - 최남선과 안확의 시조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Study’s Ideology and Refusal on Modern Poetry - Focusing on the Sijo theories of Choi Nam-Sun and An Whak -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신문관 간행 육전소설에 대한 연구
Study on “Six Coin Novel” issued by Shin-Mun-Gw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간행 육전소설에 대한 연구
Study on “Six Coin Novel” issued by Shin-Mun-Gw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학의 이념과 근대시의 거절 - 최남선과 안확의 시조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Study’s Ideology and Refusal on Modern Poetry - Focusing on the Sijo theories of Choi Nam-Sun and An Whak -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엉클 톰스 캐빈]과 [검둥의 설움]의 간격
Gap between Uncle Tom’s Cabin and Geomdung ui Seorum (Sorrow of a Nigger)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20세기 초 창가(唱歌)『한양노래』의 창작 동인과 ‘한양(漢陽)’ 표상의 특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th Century Changa, Hanyangnore, published by Shinmungwan in 1908, and the Representation of Hanyang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최남선의 『자조론(自助論)』 번역과 重譯된 ‘자조'의 의미 - 새뮤얼 스마일즈(Samuel Smiles)의 『자조(Self-Help)』, 나카무라 마사나오(中村正直)의 『서국입지편(西國立志編)』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Choi Namsun's a Korean-language Version of Self-Help and the Meaning of Retranslated 'Self-Help'
어문연구 |
65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자조론(自助論)』 번역과 重譯된 ‘자조'의 의미 - 새뮤얼 스마일즈(Samuel Smiles)의 『자조(Self-Help)』, 나카무라 마사나오(中村正直)의 『서국입지편(西國立志編)』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Choi Namsun's a Korean-language Version of Self-Help and the Meaning of Retranslated 'Self-Help'
어문연구 |
65 |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계몽의 기획과 글쓰기 연구
A Study on writing and project of enlightenment of Choi Nam Sun's Poem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계몽의 기획과 글쓰기 연구
A Study on writing and project of enlightenment of Choi Nam Sun's Poem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최남선의 문명・문화론과조선불교 인식
Ch’oe Nam-son's Understanding on Civilization, Culture and Korean Buddhism during 1910s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1910년대 최남선의 『자조론』 번역과 ‘청년’의 ‘자조’
The meaning of Self-Help Translated by Choi Nam-Son in 1918
한국사상사학 |
39 |
2011 |
역사학
Victor Hugo et la traduction de Ch’oe Namson - la double-traduction et la trans-formation de l’ écriture moderne du coréen
빅토르 위고와 최남선의 번역: 중역과 근대 글쓰기의 전환
통번역학연구 |
16 |
2 |
2012 |
통역번역학
辨證法的世界觀의 한 실현 방식 ―프랑스 ‘백과전서파’와 崔南善
A method to realize of the Dialectic Worldview
대동문화연구 |
69 |
2010 |
기타인문학
辨證法的世界觀의 한 실현 방식 ―프랑스 ‘백과전서파’와 崔南善
A method to realize of the Dialectic Worldview
대동문화연구 |
|
69 |
2010 |
기타인문학
최남선역 『自助論』의 번역한자어 연구 -일본어역의 수용과 창출-
崔南善訳 『自助論』の翻訳漢字語研究 -日本語訳の受け入れと訳語の創出-
일본어학연구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
최남선역 『自助論』의 번역한자어 연구 -일본어역의 수용과 창출-
崔南善訳 『自助論』の翻訳漢字語研究 -日本語訳の受け入れと訳語の創出-
일본어학연구 |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
육당 최남선의 시조정리사업과 그 의미 -『가곡선』과 『시조유취』를 중심으로
Choi Nam Seon's Sijo Rearrangement project and its meanings-Focused on "Gagokseon" and "Sijo-Youchui"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소년』의 ‘영웅’ 서사와 동아시아적 맥락
Heroes in Sonyen(『少年』) and the East Asian Context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소년』의 ‘영웅’ 서사와 동아시아적 맥락
Heroes in Sonyen(『少年』) and the East Asian Context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