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 문학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379

STNet ID : 1002774

한자 : 親日文學
영어 : Pro-Japanese Literature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전향 문학 [ 轉向文學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학 () [ 文學 ]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치진 [ 柳致眞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주요한 (1900-1979) [ 朱耀翰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광수 () [ 李光洙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최남선 () [ 崔南善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이중어 문학 () [ 二重語文學 ]

RT (관련어)

 

y03-03 행사/축제명 행사/축제명

대동아 문학자대회 [ 大東亞 文學者大會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암흑기 문학 [ 暗黑期文學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조선문인협회 [ 朝鮮文人協會 ]

RT_Y (◄관련어)

관련 개념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이중어 글쓰기 [ 二重語--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전선시집 [ 戰線詩集 ]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두 개의 전쟁, 하나의 인식 : 백철의 전후비평에 나타난 ‘한국전쟁’의 이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ek Chul's literary criticism after the Korean War: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n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Korean War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친일파인 자의 이름: 탈식민화와 고유명의 정치

The Name of Person called as Pro-Japanese : Decolonization Practice and Policitcs in Korea

민족문화연구 | 54 | 2011 | 기타인문학

多山 朴榮喆의 『아주기행』과 문학적 형상화

Dasan Park Young-chul’s 『AJu-GiHang』 and literary manifestation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多山 朴榮喆의 『아주기행』과 문학적 형상화

Dasan Park Young-chul’s 『AJu-GiHang』 and literary manifestation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박영철(朴榮喆)의『다산시고(多山詩稿)』와 친일시

Park Young-Cheol's 『Dasanshigo』 and his pro-Japanese poems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박영철(朴榮喆)의『다산시고(多山詩稿)』와 친일시

Park Young-Cheol's 『Dasanshigo』 and his pro-Japanese poems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아름다움’에 이르려는 방황: 임학수론

Wandering in Search of Beauty: The Theory of Im Hak Soo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日帝 强占期 漢詩 小考

The Study about the Chinese Poetry in the Japanese Ruling Era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日帝 强占期 漢詩 小考

The Study about the Chinese Poetry in the Japanese Ruling Era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내지’로 이동한 김종한 시 ─ 「원정(園丁)」과 「유년(幼年)」 사이 ─

Kim Jong-Han's poetry that moved to Japan

아시아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인문학

『아름다운 새벽』의 알레고리 연구

Allegory of The Beautiful Dawn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신체제 시기 최재서의 ‘국민문학론’

Ch’oe Chae-sŏ’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New Order Period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신체제 시기 최재서의 ‘국민문학론’

Ch’oe Chae-sŏ’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New Order Period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張赫宙의 『三曲線』 硏究

A Study on Jang Hyeok-ju's 『Samgokseo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張赫宙의 『三曲線』 硏究

A Study on Jang Hyeok-ju's 『Samgokseo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친일반민특별법 집행 연구: 문학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Law to Probe Pro-Japanese Collaborator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ocusing on Korean Literary Circles

국가정책연구 | 25 | 3 | 2011 | 정책학

일제말 이효석 문학과 우회적 저항

The Works of Lee Hyo-seok in Late Colonial Period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친일과 전향의 내적 논리 1 -주요한의 경우-

The Internal logic of Pro-Japanese activities and Conversion 1 : the case of Ju Yo-han

우리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문인협회 성립과정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