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진

연구분야 : G080400 예술체육 > 연극 > 극작가/희곡작가/대본
G080500 예술체육 > 연극 > 연극연출/연기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990

STNet ID : 1000689

한자 : 柳致眞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동랑 [ 東朗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구인회 [ 九人會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친일 문학 () [ 親日文學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조선연극협회 [ 朝鮮演劇協會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조선연극문화협회 [ 朝鮮演劇文化協會 ]

한국 역사극의 기원과 정착-역사소설/야담과의 교섭과 담론적 성격을 중심으로

The Origin and Establishment of Korean Historical Play : Its Interaction with Historical Novel/Romance and Discursive Characteristics

드라마 연구 | 32 | 2010 | 연극이론

일제 말 극단 현대극장의 국민연극 실천과 신극(新劇)의 딜레마

The ‘Gukmin-yeonguk' of The Theatre Hyundae-gukjang And The Josoen Modern Drama's Dilemma

어문학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말 극단 현대극장의 국민연극 실천과 신극(新劇)의 딜레마

The ‘Gukmin-yeonguk' of The Theatre Hyundae-gukjang And The Josoen Modern Drama's Dilemma

어문학 |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적 예술관으로서의 한국연극미학의 형성 —‘연극예술’과 ‘실재(현실)’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theatre aesthetics as modern views of the art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atre art' and 'reality’

드라마 연구 | 34 | 2011 | 연극이론

1930년대 한일 역사극의 담론지형 고찰 -유치진과 무라야마 도모요시를 중심으로

The Discursive Landscape of Korean and Japanese Historical Play after the 1930s - Focusing on Ryu Chi-Jin and Murayama Tomoyoshi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한일 역사극의 담론지형 고찰 -유치진과 무라야마 도모요시를 중심으로

The Discursive Landscape of Korean and Japanese Historical Play after the 1930s - Focusing on Ryu Chi-Jin and Murayama Tomoyoshi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论柳致真对≪雷雨≫的接受

중국과 중국학 | 14 | 2011 | 지역학일반

1930년대 후반 유치진 사실주의 작품의 특징과 변모 양상 연구 ―「제사」·「자매」·「도생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ramatic features and transformed patterns of Yoo Chi-Jin's realistic plays in the late 193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후반 유치진 사실주의 작품의 특징과 변모 양상 연구 ―「제사」·「자매」·「도생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ramatic features and transformed patterns of Yoo Chi-Jin's realistic plays in the late 193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중극 공연 양식으로서의 ‘막간’ 연구 ― 유치진의 ‘대중극’과 ‘막간’에 대한 견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akgan(intermission shows)’ as the acting skills of popular drama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중극 공연 양식으로서의 ‘막간’ 연구 ― 유치진의 ‘대중극’과 ‘막간’에 대한 견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akgan(intermission shows)’ as the acting skills of popular drama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후반기 유치진 희곡과 교화의 정치성

1940年代後半の柳致眞戯曲と教化の政治性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

역사적 사건의 기억, 재현, 그리고 공유 감각 -유치진의 <조국>, <흔들리는 지축>, <며느리>를 중심으로

Memory of Historical events,representation,and collected memo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18 | 2011 | 현대시(국문학)

1930년대 후반 유치진의 관객지향성 연극 연구- 「소」, 「마의태자」, 「자매1」을 중심으로 -

Study on Yu Chijin’s play consider an audience’s in late 1930’s- Concentrating on 「Cow」, 「Prince Maeui」, 「Sister-1」 -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유치진의 로맨티시즘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Romanticism of Yoo Chi-Jin

한국극예술연구 | 34 | 2011 | 예술체육학

유치진의 희곡 <소>에 미친 일본희곡 <말>의 영향

柳致眞の戯曲<ソ>に与えた日本戯曲<馬>の影響

한국극예술연구 | 32 | 2010 | 예술체육학

유치진의 희곡 <소>에 미친 일본희곡 <말>의 영향

柳致眞の戯曲<ソ>に与えた日本戯曲<馬>の影響

한국극예술연구 | | 32 | 2010 | 예술체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