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한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313

STNet ID : 1002757

한자 : 朱耀翰
음차어 : Ju Yo-Han
호(號) : 송아(頌兒)

y01-01 실존인물

시대

현대 (現代)

출생지

평양 (平壤)

저작

불놀이

아름다운 새벽

직업

시인 (詩人)

생몰년_t

1900-1979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친일 문학 () [ 親日文學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대한해운공사 () [ 大韓海運公社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대한일보사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경제과학심의회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시 [ 近代詩 ]

R1:개념적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건강성 [ 健康性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동인 () [ 金東仁 ]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Diaglossia and the Status of Korean Writing in the 1910s'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Diaglossia and the Status of Korean Writing in the 1910s'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후반 주요한의 소설 번역 연구 -학지광, 기독청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Joo-Yohan’s novel translations in the late 1910’s -Focusing on Hakjikwang and Gidok Cheongnyeon-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서북계 개신교 엘리트 문화의 시론적 고찰-

The Meaning of Pyeongyang Images in Korean Modern Novels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서북계 개신교 엘리트 문화의 시론적 고찰-

The Meaning of Pyeongyang Images in Korean Modern Novels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느 역 번역(Inverse Translation)의 시문학적 파동-주요한의 「朝鮮歌曲鈔」 소고-

A Poetical Waves of Inverse Translation-Some Thoughts on Chu Yo-han's Chosenkakyokusyu

일본연구 | 30 | 2011 | 일본어와문학

친일과 전향의 내적 논리 1 -주요한의 경우-

The Internal logic of Pro-Japanese activities and Conversion 1 : the case of Ju Yo-han

우리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시 속의 ‘베를렌的 눈물’ ― 김억과 주요한의 초기詩 중심으로

erlaine’s Tears in the Korean Modern Poetry ― Study focused on the early Uk Kim’s and Yohan Ju’s poem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주요한의 시적 언어 운용 방식―일본어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nagement Way of Poetic Language of Ju Yo Han: Focusing on the Japanese Poetry

비평문학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