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인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489

STNet ID : 1000206

한자 : 金東仁
한자 : 金東仁
기타 : Kim Dong-In
기타 : 김시어딤
호(號) : 춘사(春士)
호(號) : 금동인(琴童人)
호(號) : 금동(琴童)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창씨명

 

곤토 후미히토 [ 金東文仁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적 글쓰기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주요한 (1900-1979) [ 朱耀翰 ]

RT (관련어)

 

y03-04 수상명 수상명

동인문학상 () [ 東仁文學賞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동원 [ 金東元 ]

RT (관련어)

관련 인물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임학수 [ 林學洙 ]

R2:기능적

produces (대상 개념)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창조 (1919-1921) [ 創造 ]

雜歌 <배따라기>의 유형과 구성 원리

A Study on the : it's type and structure.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雜歌 <배따라기>의 유형과 구성 원리

A Study on the : it's type and structure.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공간 ‘신용’을 의심받는 사람들 : 인민의 ‘경험-지’ 상승과 문학자의 위상변화

Free Space 'Credit' for People Suspected, the Literary Shape

인문학연구 | 43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한문학연구의 문화적 지평과 그 연구 방향의 모색-김동인의 야담작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그 문학성-

A Review on the Kim, Dongin[金東仁]'s historical romance[野談]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서북계 개신교 엘리트 문화의 시론적 고찰-

The Meaning of Pyeongyang Images in Korean Modern Novels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서북계 개신교 엘리트 문화의 시론적 고찰-

The Meaning of Pyeongyang Images in Korean Modern Novels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비판의 세 양상 - 이광수, 김동인, 김동리의 경우

Three aspects of christianity denial in Korean modern novels

서강인문논총 | 27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비판의 세 양상 - 이광수, 김동인, 김동리의 경우

Three aspects of christianity denial in Korean modern novels

서강인문논총 | | 27 | 2010 | 기타인문학

1920년대 초기 김동인-염상섭 논쟁의 의미와 ‘자연’ 개념의 의미적 착종 양상

The meaning of the argument between Kim dong-in and Yeom sang-sub and the semantic confusion of the concept of ‘nature’ in early 1920’s

서강인문논총 | 28 | 2010 | 기타인문학

1920년대 초기 김동인-염상섭 논쟁의 의미와 ‘자연’ 개념의 의미적 착종 양상

The meaning of the argument between Kim dong-in and Yeom sang-sub and the semantic confusion of the concept of ‘nature’ in early 1920’s

서강인문논총 | | 28 | 2010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잡지에 나타난 장르분화와 언어의식 - 역사·허구의 분리와 근대 소설의 재현 관념을 중심으로

The Genre Division and Linguistic Consciousness in 1910s' Korean Magazine

석당논총 | 48 | 2010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잡지에 나타난 장르분화와 언어의식 - 역사·허구의 분리와 근대 소설의 재현 관념을 중심으로

The Genre Division and Linguistic Consciousness in 1910s' Korean Magazine

석당논총 | | 48 | 2010 | 기타인문학

사랑과 自然 ―1920년대 초기 김동인, 임노월의 작품에서‘신성한 연애’의 의미

Love and Nature ―Focused on the Meaning of 'Sacred Love' in the Literature ofKim Dong-In and Im No-Wol from Early 1920s.

한국민족문화 | 44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