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적 글쓰기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3637

STNet ID : 1005243

한자 :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최남선 () [ 崔南善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동인 () [ 金東仁 ]

RT (관련어)

 

 

근대 서간 양식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y02-01 문헌명 문헌명

시문독본 [ 時文讀本 ]

이태준의 언어의식과 근대적 글쓰기의 場

The Language Consciousness of Taejoon Lee and the field of Modern Writi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1900년대 사회비평서사와 근대적 글쓰기 -학회보를 중심으로-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and the influence on modern writings, based on the social critical description during the 1900s -Focus on the Journal of Academic Society-

겨레어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00년대 사회비평서사와 근대적 글쓰기 -학회보를 중심으로-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and the influence on modern writings, based on the social critical description during the 1900s -Focus on the Journal of Academic Society-

겨레어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문학적 글쓰기론의 전개 과정

The Development Process of Writing Theory about Literary Works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우리말글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문학적 글쓰기론의 전개 과정

The Development Process of Writing Theory about Literary Works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우리말글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의 서간(書簡)과 글쓰기교육 -독본ㆍ척독ㆍ서간집 텍스트를 중심으로-

Letter and Writing Education at the Early Modern Period -Focusing on letter texts of reader, cheokdok(尺牘), letter collection-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의 서간(書簡)과 글쓰기교육 -독본ㆍ척독ㆍ서간집 텍스트를 중심으로-

Letter and Writing Education at the Early Modern Period -Focusing on letter texts of reader, cheokdok(尺牘), letter collection-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조선어) 독본 수록 서간(書簡)의 존재양상과 사회적 의미

The Aspect of Existence and Social Meaning of Letters Containing Korean Readers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조선어) 독본 수록 서간(書簡)의 존재양상과 사회적 의미

The Aspect of Existence and Social Meaning of Letters Containing Korean Readers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서간(書簡)의 매체별 존재양상과 기능

Features and Functions for Each Medium of the Modern Letters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서간(書簡)의 매체별 존재양상과 기능

Features and Functions for Each Medium of the Modern Letters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