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의 역사적 기억과 배반, 그리고 계승을 둘러싼 이념정치 -3․1운동의 보편(주의)적 지평과 과소/과잉의 대표성-
Historical memory and betrayal of the 3.1 Movement, and ideological politics about it’s succession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아베 미츠이에(阿部充家)의 생애 기초 연구
阿部充家の生涯-基礎研究
한국학연구 |
25 |
2011 |
기타인문학
아베 미츠이에(阿部充家)의 생애 기초 연구
阿部充家の生涯-基礎研究
한국학연구 |
25 |
2011 |
기타인문학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Diaglossia and the Status of Korean Writing in the 1910s'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Diaglossia and the Status of Korean Writing in the 1910s'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1937~45) 청년학생층의 국내외 항일운동세력에 대한 인식
日帝末(1937~45)靑年學生層の國內外抗日運動勢力に對する認識
한국학논총 |
33 |
2010 |
역사이론
일제말(1937~45) 청년학생층의 국내외 항일운동세력에 대한 인식
日帝末(1937~45)靑年學生層の國內外抗日運動勢力に對する認識
한국학논총 |
33 |
|
2010 |
역사이론
3․1운동의 역사적 기억과 배반, 그리고 계승을 둘러싼 이념정치 -3․1운동의 보편(주의)적 지평과 과소/과잉의 대표성-
Historical memory and betrayal of the 3.1 Movement, and ideological politics about it’s succession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기 시인의 현실과 유행가요 창작의 의미
The reality of poet, meaning of writing popular song in modern Korea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영혼, 생명, 우주 - 1910년대, 제1차 세계대전의 충격과 '죽음'의 극복 -
The Individualized Form of Modern Time and Space — The Concepts of Spirit, Life, Universe in 1910s’ Korea—
개념과 소통 |
7 |
2011 |
역사학
영혼, 생명, 우주 - 1910년대, 제1차 세계대전의 충격과 '죽음'의 극복 -
The Individualized Form of Modern Time and Space — The Concepts of Spirit, Life, Universe in 1910s’ Korea—
개념과 소통 |
7 |
2011 |
역사학
욕망과 환상―「어린 벗에게」론
Desire and Fantasy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1937~45) 청년학생층의 국내외 항일운동세력에 대한 인식
日帝末(1937~45)靑年學生層の國內外抗日運動勢力に對する認識
한국학논총 |
33 |
2010 |
역사이론
일제말(1937~45) 청년학생층의 국내외 항일운동세력에 대한 인식
日帝末(1937~45)靑年學生層の國內外抗日運動勢力に對する認識
한국학논총 |
33 |
|
2010 |
역사이론
1930년대 후반 ‘좌파지식인’의 전체주의 인식과 한계 ― 서인식을 중심으로
The Perception of Totalitarianism and the Limit of Its Criticism Among Left Intellectuals in 1930s ― Focus on a case of Seo In-sik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1930년대 후반 ‘좌파지식인’의 전체주의 인식과 한계 ― 서인식을 중심으로
The Perception of Totalitarianism and the Limit of Its Criticism Among Left Intellectuals in 1930s ― Focus on a case of Seo In-sik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1930년대 후반 ‘좌파지식인’의 전체주의 인식과 한계 ― 서인식을 중심으로
The Perception of Totalitarianism and the Limit of Its Criticism Among Left Intellectuals in 1930s ― Focus on a case of Seo In-sik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1930년대 후반 ‘좌파지식인’의 전체주의 인식과 한계 ― 서인식을 중심으로
The Perception of Totalitarianism and the Limit of Its Criticism Among Left Intellectuals in 1930s ― Focus on a case of Seo In-sik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기억의 연금술 -이광수 문학의 자전적 성격 연구-
Alchemy of Memory -A study on Autobiographical Trait of Lee Kwang-Soo's Writings-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기억의 연금술 -이광수 문학의 자전적 성격 연구-
Alchemy of Memory -A study on Autobiographical Trait of Lee Kwang-Soo's Writings-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현진건 소설에서 체험의 문제
The issue of experience in Hyun Jin-gun's novels
대동문화연구 |
73 |
2011 |
기타인문학
식민지에서 ‘사회’와 ‘사회적’ 공공성의 궤적 - 1910년대 매일신보에서 이광수의 사회 담론의 의미
The Stance of Society and Social Publicity in the Colony -The Meaning of the Social Discussion of Kwangsoo Lee in Daily News (Mae-Il Sin-Bo) in the1910s
한국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에서 ‘사회’와 ‘사회적’ 공공성의 궤적 - 1910년대 매일신보에서 이광수의 사회 담론의 의미
The Stance of Society and Social Publicity in the Colony -The Meaning of the Social Discussion of Kwangsoo Lee in Daily News (Mae-Il Sin-Bo) in the1910s
한국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 형성기 시들의 형식과 변화 과정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Its Change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e Formative Period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 형성기 시들의 형식과 변화 과정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Its Change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e Formative Period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내선일체의 멜로드라마와 식민주의의 균열 - 이광수의 내선 연애⋅결혼 소설을 중심으로
All in one Korea-Japan(Nae-sun-il-che) Melodrama and the Rupture of Colonialism in Lee Kwang-su's Works of Korea-Japan Love and Marriage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청년’ 개념과 청년 담론 서사의 변화 양상
The Change Aspect of the ‘Cheong-nyeon(the Youth)’ Narratives
현대문학이론연구 |
50 |
2012 |
문학이론
근대 초 조선민족성 담론의 형성 배경과 논의 방식
A Study on the Modernist Discourses of Koreans: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Chosǒn National Character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 초 조선민족성 담론의 형성 배경과 논의 방식
A Study on the Modernist Discourses of Koreans: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Chosǒn National Character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욕망과 환상―「어린 벗에게」론
Desire and Fantasy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표준어의 이념과 ‘사투리’의 탄생 - 1920년대 문학에서 표준어와 방언의 문제 -
The idea of standard Language and the birth of ‘dialect'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창씨개명’과 친일 조선인의 협력
Imperialist Japanese Enforcing the Change of Surname in Joseon, and the Activities of Korean Collaborators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창씨개명’과 친일 조선인의 협력
Imperialist Japanese Enforcing the Change of Surname in Joseon, and the Activities of Korean Collaborators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
나카무라 겐타로(中村健太郞)의 「아베(阿部)무불옹(無佛翁)을 추모함」 - 해설 및 역문 자료
Nakamura Kentaro(中村健太郞)’s 「Cherishing the memory of Abe(阿部) Mubul-ong(無佛翁)」-Introduction and commentary-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나카무라 겐타로(中村健太郞)의 「아베(阿部)무불옹(無佛翁)을 추모함」 - 해설 및 역문 자료
Nakamura Kentaro(中村健太郞)’s 「Cherishing the memory of Abe(阿部) Mubul-ong(無佛翁)」-Introduction and commentary-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1930년대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파시즘 양상 연구
A Study of Fascism in Modern Korean Poems of the 1930's
한국사상과 문화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내선일체의 멜로드라마와 식민주의의 균열 - 이광수의 내선 연애⋅결혼 소설을 중심으로
All in one Korea-Japan(Nae-sun-il-che) Melodrama and the Rupture of Colonialism in Lee Kwang-su's Works of Korea-Japan Love and Marriage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인격’과 그 주체 표상 - <흙>을 중심으로 -
Personality represented in the novel of Lee, Gwangsoo and its Subject Symbol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체제하, 자국문학사의 수립이라는 난제 ― 안자산의 『조선문학사』가 놓인 동아시아 문학사의 맥락
The Conundrum of Establishment for National Literary History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 Context Analysis of ChosunMunhaksa(朝鮮文學史) by An Ja-san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Literary History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체제하, 자국문학사의 수립이라는 난제 ― 안자산의 『조선문학사』가 놓인 동아시아 문학사의 맥락
The Conundrum of Establishment for National Literary History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 Context Analysis of ChosunMunhaksa(朝鮮文學史) by An Ja-san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Literary History
국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나카무라 겐타로(中村健太郞)의 「아베(阿部)무불옹(無佛翁)을 추모함」 - 해설 및 역문 자료
Nakamura Kentaro(中村健太郞)’s 「Cherishing the memory of Abe(阿部) Mubul-ong(無佛翁)」-Introduction and commentary-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나카무라 겐타로(中村健太郞)의 「아베(阿部)무불옹(無佛翁)을 추모함」 - 해설 및 역문 자료
Nakamura Kentaro(中村健太郞)’s 「Cherishing the memory of Abe(阿部) Mubul-ong(無佛翁)」-Introduction and commentary-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체제하, 자국문학사의 수립이라는 난제 ― 안자산의 『조선문학사』가 놓인 동아시아 문학사의 맥락
The Conundrum of Establishment for National Literary History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 Context Analysis of ChosunMunhaksa(朝鮮文學史) by An Ja-san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Literary History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체제하, 자국문학사의 수립이라는 난제 ― 안자산의 『조선문학사』가 놓인 동아시아 문학사의 맥락
The Conundrum of Establishment for National Literary History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 Context Analysis of ChosunMunhaksa(朝鮮文學史) by An Ja-san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Literary History
국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비판의 세 양상 - 이광수, 김동인, 김동리의 경우
Three aspects of christianity denial in Korean modern novels
서강인문논총 |
27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비판의 세 양상 - 이광수, 김동인, 김동리의 경우
Three aspects of christianity denial in Korean modern novels
서강인문논총 |
|
27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 사소설과 한국의 자전적 소설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Japanese I-novel and the Korean Autobiographical Novel
한국현대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본 사소설과 한국의 자전적 소설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Japanese I-novel and the Korean Autobiographical Novel
한국현대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the Definitions of Korea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the Definitions of Korea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 온 톨스토이
Tolstoi Translated in Korean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지식인의 ‘지조’ 지키기―동경삼재의 삶을 중심으로
Upholding Korean intellectuals' fidelity during the colonial period
역사비평 |
90 |
2010 |
역사학
식민지 지식인의 ‘지조’ 지키기―동경삼재의 삶을 중심으로
Upholding Korean intellectuals' fidelity during the colonial period
역사비평 |
|
90 |
2010 |
역사학
1930·40년대 ‘동경삼재(홍명희, 최남선, 이광수)’의 일제 협력과 저항
Three Korean geniuses' activities in 1930~1940s between resistance and collaboration
한국인물사연구 |
14 |
2010 |
역사학
1930·40년대 ‘동경삼재(홍명희, 최남선, 이광수)’의 일제 협력과 저항
Three Korean geniuses' activities in 1930~1940s between resistance and collaboration
한국인물사연구 |
|
14 |
2010 |
역사학
일본 사소설과 한국의 자전적 소설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Japanese I-novel and the Korean Autobiographical Novel
한국현대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본 사소설과 한국의 자전적 소설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Japanese I-novel and the Korean Autobiographical Novel
한국현대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 온 톨스토이
Tolstoi Translated in Korean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친일지식인에대한 고등학생의역사인식
The High School Student's Historical Viewpoint about a Pro-Japanese group
역사교육연구 |
11 |
2010 |
역사교육
친일지식인에대한 고등학생의역사인식
The High School Student's Historical Viewpoint about a Pro-Japanese group
역사교육연구 |
|
11 |
2010 |
역사교육
강요된 협력, 분열된 텍스트 : 일제 말기 방송소설을 읽는 하나의 독법
Enforced Collaboration, Fragmented Writings: Reading the Broadcast Story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학지(文學知)’의 번역 : 이광수를 중심으로
The Translation of ‘Literary Knowledge’-On the basis of Lee, Kwang-Soo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학지(文學知)’의 번역 : 이광수를 중심으로
The Translation of ‘Literary Knowledge’-On the basis of Lee, Kwang-Soo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무정(無情)』의 근대성과 정육(情育)
A Study on Mujung(無情) and ‘educating emotions(情育)’
한국문화 |
54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 말 소설의 창작방법
A Study on the creation styles of korean novels in late colonial period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말 소설의 창작방법
A Study on the creation styles of korean novels in late colonial period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 소설의 대승불교 사상 연구
A Study of the Mahayana Buddhism in Lee Gwang-soo’s Novels
문학과 종교 |
17 |
2 |
2012 |
기타인문학
<꿈>의 각색과 그 의미 - 이광수의 소설, 오영진의 시나리오, 신상옥의 영화를 중심으로 -
The Adaptation of and It's Meanings
Journal of korean Culture |
19 |
2012 |
현대시(국문학)
이광수의 근대시 인식과 시적 주체의 특성 연구: 초기시를 중심으로
The attitude to modern poetry and the characteristic of poetic subject in early works of Lee-KwangSu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단군과 만주, 아첨의 영웅주의: 최남선의 「자열서」 읽기
Tangun, Manchuria, and the Heroism of Flattery: Reading Choi Namsŭn's "Jayŭlsŭ(自列書)"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군과 만주, 아첨의 영웅주의: 최남선의 「자열서」 읽기
Tangun, Manchuria, and the Heroism of Flattery: Reading Choi Namsŭn's "Jayŭlsŭ(自列書)"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설의 모델, 독자, 작가 ― 이희철(李熙喆)의 문학적 행보에 대한 고찰
小説のモデル、読者、作家-李熙喆(イ⋅ヒチョル)の文学的軌跡についての考察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무정(無情)』의 근대성과 정육(情育)
A Study on Mujung(無情) and ‘educating emotions(情育)’
한국문화 |
54 |
2011 |
기타인문학
春園의 시조의 自然律과 意的 構成에 관한 考察
A Study on 'natural order of sijos' & 'the meaningful composition of sijos' of Chunwon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루쉰, 춘원과 일본 근대초기의 사소설
Lu Xun, Chunwon and Japanese I-novels in the Beginning Period of Modern Times
아시아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엉클 톰스 캐빈]과 [검둥의 설움]의 간격
Gap between Uncle Tom’s Cabin and Geomdung ui Seorum (Sorrow of a Nigger)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이광수와 나혜석 문학의 대비적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Lee Kwanag Su’ & Na Hye Seok’s Literary Work in 1910’s
민족문학사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이광수와 나혜석 문학의 대비적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Lee Kwanag Su’ & Na Hye Seok’s Literary Work in 1910’s
민족문학사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꿈>의 각색과 그 의미 - 이광수의 소설, 오영진의 시나리오, 신상옥의 영화를 중심으로 -
The Adaptation of and It's Meanings
Journal of korean Culture |
19 |
2012 |
현대시(국문학)
1910년대 이광수 소설의 개인과 인류
Individual and Mankind in Yi Kwangsu’s Literature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농촌계몽소설에 나타난 농촌의 의미 - 이광수의 『흙』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a farm village presented in farmers-enlightening novels in 1930s - Mostly referring to Lee Gwang-soo's 『Earth』
한국문학논총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by Lee Kwang-soo And by Zhang Hen-shui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by Lee Kwang-soo And by Zhang Hen-shui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공/사 분할의 전치(轉置)와 문학적 주체의 정치성 —이광수 초기 문학, 문학론 재독(再讀)(1)—
Displacement of Public/private Division and Politics of Literary Agent in 1910 —Reread of early literature and comments on literature of Lee, Gwang-Soo(1)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 초기 논설에 나타난 '문학'과 '교육'의 의미
A Study on 'Literature' and 'Education' Featured in the Early Stage of Lee, Kwang-Soo′s Rhetorical Writing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 초기 논설에 나타난 '문학'과 '교육'의 의미
A Study on 'Literature' and 'Education' Featured in the Early Stage of Lee, Kwang-Soo′s Rhetorical Writing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출판시장에서 이광수의 위상
Yi Gwang-su's Positions and Values of Publication Market after Liberation to 1950.
민족문화연구 |
52 |
2010 |
기타인문학
해방기 출판시장에서 이광수의 위상
Yi Gwang-su's Positions and Values of Publication Market after Liberation to 1950.
민족문화연구 |
|
52 |
2010 |
기타인문학
대중과 민족 개조-박정희, 『우리 민족의 나갈 길』을 중심으로-
Public and National Convert-Park Jung-hee, “In the Way of Our People-Centric”
한국문화연구 |
21 |
2011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이광수 문학 연구
A Study about Lee, Kwang-Soo's Literary Works in 1910's
돈암어문학 |
23 |
2010 |
국문학사
1910년대 이광수 문학 연구
A Study about Lee, Kwang-Soo's Literary Works in 1910's
돈암어문학 |
23 |
|
2010 |
국문학사
이광수 후기 단편소설 인물들의 퇴행 연구
A Research on the Regress of Characters in Short Stories in the Late Period of Gwangsu Lee
동양예술 |
19 |
2012 |
기타미술
한국 역사소설 연구의 한 경향-이광수 역사소설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History of Study on the Historical Novels of Lee, Kwang-Soo
비평문학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역사소설 연구의 한 경향-이광수 역사소설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History of Study on the Historical Novels of Lee, Kwang-Soo
비평문학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공동체를 탈주하는 방랑과 죽음으로 귀환하는 여행 - 「어린 벗에게」, 『유정』 -
Wandering to escape the community and travel returning to death -To My Little Friend and Yujeong-
한국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의 장시에 나타난 서사성 연구 - 「옥중호걸」, 「곰」, 「극웅행」을 중심으로 -
A study of narrativity found in Yi Gwangsu's long poems - Focusing on Focusing on 「Okjunghoegeol」,「Gom」,「 Geukunghaeng」-
한국문예비평연구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이광수 문학의 자전적 글쓰기의 전략과 의미 - 『돌베개』와 『나의 고백』을 중심으로
The Strategy of 'The Autobiographical Writing' of the Liberation Lee Guang-su Literature and Meaning -focused on (돌베개) and (나의 고백)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와 야마사키 토시오, 그리고 기쿠치 칸 ― 「삼경인상기」에 씌어 있지 않은 것
李光洙と山崎俊夫、そして菊池寛 ― 「三京印象記」に書かれなかったこと―
사이間SAI |
11 |
2011 |
기타국문학
194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역사소설 『세조대왕』을 중심으로-
Aspect of Lee Guang-su's historical narration and nationalism discussion in 1940's -Focus on historical novel 'king Sejo' <세조대왕>-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역사소설 『세조대왕』을 중심으로-
Aspect of Lee Guang-su's historical narration and nationalism discussion in 1940's -Focus on historical novel 'king Sejo' <세조대왕>-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역사의 대중화, 문학의 대중화 -이광수 <마의태자>를 중심으로-
Popularization of History,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Focusing on Gwang-su Lee-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이광수 문학 연구
A Study about Lee, Kwang-Soo's Literary Works in 1910's
돈암어문학 |
23 |
2010 |
국문학사
1910년대 이광수 문학 연구
A Study about Lee, Kwang-Soo's Literary Works in 1910's
돈암어문학 |
23 |
|
2010 |
국문학사
1910년대 잡지에 나타난 장르분화와 언어의식 - 역사·허구의 분리와 근대 소설의 재현 관념을 중심으로
The Genre Division and Linguistic Consciousness in 1910s' Korean Magazine
석당논총 |
48 |
2010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잡지에 나타난 장르분화와 언어의식 - 역사·허구의 분리와 근대 소설의 재현 관념을 중심으로
The Genre Division and Linguistic Consciousness in 1910s' Korean Magazine
석당논총 |
|
48 |
2010 |
기타인문학
이광수 초기 논설에 나타난 '문학'과 '교육'의 의미
A Study on 'Literature' and 'Education' Featured in the Early Stage of Lee, Kwang-Soo′s Rhetorical Writing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 초기 논설에 나타난 '문학'과 '교육'의 의미
A Study on 'Literature' and 'Education' Featured in the Early Stage of Lee, Kwang-Soo′s Rhetorical Writing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이광수 문학의 기억 서사와 민족 담론의 양상
The Aspect of the Memory Narration of the Liberation Lee Guang-su Literature and Nation Discussion
현대문학이론연구 |
43 |
2010 |
문학이론
해방기 이광수 문학의 기억 서사와 민족 담론의 양상
The Aspect of the Memory Narration of the Liberation Lee Guang-su Literature and Nation Discussion
현대문학이론연구 |
|
43 |
2010 |
문학이론
이광수 논설에 나타난 ‘개인=민족’이라는 절대적 자아
An absolute Ego which may be interpreted ‘Individual=Nation’ in Lee Gwang-su's Editorials
인문과학연구논총 |
31 |
2010 |
기타인문학
이광수 논설에 나타난 ‘개인=민족’이라는 절대적 자아
An absolute Ego which may be interpreted ‘Individual=Nation’ in Lee Gwang-su's Editorials
인문과학연구논총 |
|
31 |
2010 |
기타인문학
역사의 대중화, 문학의 대중화 -이광수 <마의태자>를 중심으로-
Popularization of History,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Focusing on Gwang-su Lee-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학교와 조선인의 지적 욕망: 이광수의 1910년대 문학을 중심으로
Intellectual Appetite and the School in Modern Joseon-Concentrating on the Literature of Lee Gwangsu in Nineteen Tenths-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 초기 학교와 조선인의 지적 욕망: 이광수의 1910년대 문학을 중심으로
Intellectual Appetite and the School in Modern Joseon-Concentrating on the Literature of Lee Gwangsu in Nineteen Tenths-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by Lee Kwang-soo And by Zhang Hen-shui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by Lee Kwang-soo And by Zhang Hen-shui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殉敎者’ 像의 形成과 受容 -春園과 島山의 유대 관계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Kinship between Lee, Kwang-soo and Ahn, Chang-ho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殉敎者’ 像의 形成과 受容 -春園과 島山의 유대 관계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Kinship between Lee, Kwang-soo and Ahn, Chang-ho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론·문장론·문학사론에서의 전통의 문제 ― 이광수·이태준·임화를 중심으로 ―
Problems of Tradition on Literature, Prose and Literary History in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대중과 민족 개조-박정희, 『우리 민족의 나갈 길』을 중심으로-
Public and National Convert-Park Jung-hee, “In the Way of Our People-Centric”
한국문화연구 |
21 |
2011 |
기타인문학
문학론·문장론·문학사론에서의 전통의 문제 ― 이광수·이태준·임화를 중심으로 ―
Problems of Tradition on Literature, Prose and Literary History in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이광수의 문학론과 한국근대문학의 비(非)민족주의적 기원들
The Literary Theory of Lee Kwang Soo in 1910s and the Non‒nationalistic Origin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의 근대시 인식과 시적 주체의 특성 연구: 초기시를 중심으로
The attitude to modern poetry and the characteristic of poetic subject in early works of Lee-KwangSu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 식민지 근대 출판시장에서 이광수의 위상
The Position and Value of Yi Gwang-Su in Publication Market Under Japanese Colonialism
한국문화 |
50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 식민지 근대 출판시장에서 이광수의 위상
The Position and Value of Yi Gwang-Su in Publication Market Under Japanese Colonialism
한국문화 |
|
50 |
2010 |
기타인문학
1910년대, 공/사 분할의 전치(轉置)와 문학적 주체의 정치성 —이광수 초기 문학, 문학론 재독(再讀)(1)—
Displacement of Public/private Division and Politics of Literary Agent in 1910 —Reread of early literature and comments on literature of Lee, Gwang-Soo(1)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