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관 출판 활동의 구조적 측면 연구(2)-서적 목록과 광고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Side of Sinmungwan’s Publishing Activity(2)-focusing on the book’s catalog and advertisement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 활동의 구조적 측면 연구(2)-서적 목록과 광고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Side of Sinmungwan’s Publishing Activity(2)-focusing on the book’s catalog and advertisement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 활동의 구조적 측면 연구(2)-서적 목록과 광고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Side of Sinmungwan’s Publishing Activity(2)-focusing on the book’s catalog and advertisement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 활동의 구조적 측면 연구(2)-서적 목록과 광고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Side of Sinmungwan’s Publishing Activity(2)-focusing on the book’s catalog and advertisement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나카무라 겐타로(中村健太郞)의 「아베(阿部)무불옹(無佛翁)을 추모함」 - 해설 및 역문 자료
Nakamura Kentaro(中村健太郞)’s 「Cherishing the memory of Abe(阿部) Mubul-ong(無佛翁)」-Introduction and commentary-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나카무라 겐타로(中村健太郞)의 「아베(阿部)무불옹(無佛翁)을 추모함」 - 해설 및 역문 자료
Nakamura Kentaro(中村健太郞)’s 「Cherishing the memory of Abe(阿部) Mubul-ong(無佛翁)」-Introduction and commentary-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에서 ‘사회’와 ‘사회적’ 공공성의 궤적 - 1910년대 매일신보에서 이광수의 사회 담론의 의미
The Stance of Society and Social Publicity in the Colony -The Meaning of the Social Discussion of Kwangsoo Lee in Daily News (Mae-Il Sin-Bo) in the1910s
한국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에서 ‘사회’와 ‘사회적’ 공공성의 궤적 - 1910년대 매일신보에서 이광수의 사회 담론의 의미
The Stance of Society and Social Publicity in the Colony -The Meaning of the Social Discussion of Kwangsoo Lee in Daily News (Mae-Il Sin-Bo) in the1910s
한국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매체의 독자(讀者) 창작 참여 제도 연구(1)
近代媒体における読者創作参与制度についての研究(1)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每日申報》에 연재된 《紅樓夢》 飜譯과 敍事의 近代性
Modernity of Narrative and Translation in the Hong-lou-mong(紅樓夢) published serially in Mae-il-sin-bo(每日申報) in 1910's
중국어문학지 |
36 |
2011 |
중국어와문학
일제시기 소운송업 통제에 관한 국내 일간지의 보도경향
Trends in Daily Newspapers’ Reports Related to the Restriction on Minor Transportation Busines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숭실사학 |
28 |
2012 |
기타역사일반
동아시아 신해혁명의 기억 ―『申報』,『每日申報』,『讀賣新聞』기사분석을 중심으로 ―
东亚三国辛亥革命的记忆:对『申报』、『每日新闻』、『读卖新闻』』的内容分析
명청사연구 |
36 |
2011 |
역사학
근대 매체의 독자(讀者) 창작 참여 제도 연구(1)
近代媒体における読者創作参与制度についての研究(1)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기생 '백운선'을 콘텐츠로 한 스토리텔링의 가능성 고찰 -『매일신보』에 연재된 「백운선의 비밀」을 중심으로 -
Study on kisaeng Baekunseon possibilities of storytelling as a contents -『Maeilsinbo』serialize in Secrets of Baekunseon around
어문론집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생 '백운선'을 콘텐츠로 한 스토리텔링의 가능성 고찰 -『매일신보』에 연재된 「백운선의 비밀」을 중심으로 -
Study on kisaeng Baekunseon possibilities of storytelling as a contents -『Maeilsinbo』serialize in Secrets of Baekunseon around
어문론집 |
43 |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수관이 부른 노래는 판소리인가
Were the Songs Sung by Go SooGwan Pansori?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1920년대 국내언론에 보도된 임시정부 관련 기사의 분석과 독립운동의 경향 -국민대표회의와 재판관련 및 국내에서의 활동기사를 중심으로-
Korean domestic Press and anti-Japanese movements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1920s -In the case of the records of a trial and press in internal of National Representative Convention-
숭실사학 |
28 |
2012 |
기타역사일반
식민지 문화전략과 복고의 식민성 : 이해조를 중심으로
Colonial cultural strategy and colonialism of revivalism : focused on Lee Hae-jo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 파시즘기(1937~1945) 『매일신보』의 대중선동 양상과 논리 -지원병ㆍ징병제도를 중심으로-
Aspects and Logic of Mass Instigation by Maeil Shinbo(Daily News) during the Japanese Fascism Period(1937~1945) -focusing on the volunteer and conscription system-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9 |
2011 |
역사학
일제하 '조선미술전람회' 관련 신문보도에 나타난 일본의 오리엔탈리즘
Discourse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Chosun Art Exhibition in the Japanese Occupational Era
한국언론정보학보 |
54 |
2 |
2011 |
신문방송학
조선총독부의 사상동원과 만화매체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and Its Thought Control on Cartoon, 1940-1945
한중인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총독부의 사상동원과 만화매체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and Its Thought Control on Cartoon, 1940-1945
한중인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최남선의 문명・문화론과조선불교 인식
Ch’oe Nam-son's Understanding on Civilization, Culture and Korean Buddhism during 1910s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근대 서구식 극장 설립에 따른 기생공연의 변모 양상
A trend of Gisaengʼs dance performance on modern western theater establishment
무용역사기록학 |
19 |
2010 |
무용
근대 서구식 극장 설립에 따른 기생공연의 변모 양상
A trend of Gisaengʼs dance performance on modern western theater establishment
무용역사기록학 |
19 |
|
2010 |
무용
문학시장의 형성과 인쇄매체의 역할 (1): 1917년 전후의 문학사의 국면
FORMATION OF LITERARY MARKETPLACE AND ROLES OF PRINT MEDIA (1) :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ROUND 1917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학시장의 형성과 인쇄매체의 역할(2) - 1925년 전후의 문학사의 국면
Formation of Literary Marketplace and Roles of Print Media(2) -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round 1925
대동문화연구 |
78 |
2012 |
기타인문학
이해조의 <소양정>과 고전소설의 교섭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Negotiation Aspects of Yi Hae-Jo's and Chosun Dynasty-Novels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해조의 <소양정>과 고전소설의 교섭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Negotiation Aspects of Yi Hae-Jo's and Chosun Dynasty-Novels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시장의 형성과 인쇄매체의 역할(2) - 1925년 전후의 문학사의 국면
Formation of Literary Marketplace and Roles of Print Media(2) -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round 1925
대동문화연구 |
78 |
2012 |
기타인문학
근대 서구식 극장 설립에 따른 기생공연의 변모 양상
A trend of Gisaengʼs dance performance on modern western theater establishment
무용역사기록학 |
19 |
2010 |
무용
근대 서구식 극장 설립에 따른 기생공연의 변모 양상
A trend of Gisaengʼs dance performance on modern western theater establishment
무용역사기록학 |
19 |
|
2010 |
무용
문학시장의 형성과 인쇄매체의 역할 (1): 1917년 전후의 문학사의 국면
FORMATION OF LITERARY MARKETPLACE AND ROLES OF PRINT MEDIA (1) :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ROUND 1917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동아시아 신해혁명의 기억 ―『申報』,『每日申報』,『讀賣新聞』기사분석을 중심으로 ―
东亚三国辛亥革命的记忆:对『申报』、『每日新闻』、『读卖新闻』』的内容分析
명청사연구 |
36 |
2011 |
역사학
매일신보 소재 장형 서사물의 전개 구도 -192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每日申報における長型敍事物の展開構圖 -1920年代以降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매일신보』가 그려낸 1919년 감옥의 풍경
The Image of Prison in the year 1919, depicted by 'the Mae-il Shin Bo'
서울과 역사 |
80 |
2012 |
역사학
1910년대 『매일신보』 소설 문체의 변화와 독자의 형성과정
The literal transformation of novels on in the 1910s and the formation of its reader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매일신보』 소설 문체의 변화와 독자의 형성과정
The literal transformation of novels on in the 1910s and the formation of its readers.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태평양전쟁시기 제국일본의 군신만들기 -『매일신보』의 조선인특공대(‘神鷲’) 보도를 중심으로-
太平洋戦争時期における帝国日本の軍神作り -『毎日新報』の朝鮮人特攻隊(‘神鷲’)報道を中心に-
日本學硏究 |
37 |
2012 |
일본어와문학
매일신보 소재 장형 서사물의 전개 구도 -192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每日申報における長型敍事物の展開構圖 -1920年代以降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아시아 신해혁명의 기억 ―『申報』,『每日申報』,『讀賣新聞』기사분석을 중심으로 ―
东亚三国辛亥革命的记忆:对『申报』、『每日新闻』、『读卖新闻』』的内容分析
명청사연구 |
36 |
2011 |
역사학
일제시기 소운송업 통제에 관한 국내 일간지의 보도경향
Trends in Daily Newspapers’ Reports Related to the Restriction on Minor Transportation Busines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숭실사학 |
28 |
2012 |
기타역사일반
해방 직후 『每日申報』의 성격변화와 『서울신문』의 창간
Right after Korea’s Independence day, the image of 『Mai-il Shinbo(Korean Daily News)』 changing and the foundation of 『Seoul-Shinmoon(Seoul Daily New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3 |
2010 |
역사학
1910년대 『매일신보』에 비친 유교의 모습
從1910年代『每日申报』看日本儒教之面貌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20 |
2012 |
유교학
‘식민지 공공영역’으로서의 1910년대《每日申報》
‘The Maeil Sinbo’ as Colonial Public Spherein 1910s
한국언론학보 |
55 |
2 |
2011 |
신문방송학
1910년대 초 『매일신보』의 ‘가정’ 담론 생산과 글쓰기 특징-‘독자’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Producing the ‘family’ discour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in Maeilshinbo in 1910s-Focusing on the interaction with ‘readers’-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초 『매일신보』의 ‘가정’ 담론 생산과 글쓰기 특징-‘독자’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Producing the ‘family’ discour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in Maeilshinbo in 1910s-Focusing on the interaction with ‘readers’-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공공영역’으로서의 1910년대《每日申報》
‘The Maeil Sinbo’ as Colonial Public Spherein 1910s
한국언론학보 |
55 |
2 |
2011 |
신문방송학
근대 계몽기 한ㆍ일 번역문학과 근대 독자층 비교 - <장한몽>과 <해왕성>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nslated Novels and Modern Reader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 focused on Janghanmong and Haewangsung -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 초기 식민지 문화의 재편, 신문소설 삽화 <長恨夢>
The Reorganization of Culture during the Japanese early colonial period; Focus on Illustration of Serialized novel, Jang Han Mong
美術史論壇 |
31 |
2010 |
미술
일제강점 초기 식민지 문화의 재편, 신문소설 삽화 <長恨夢>
The Reorganization of Culture during the Japanese early colonial period; Focus on Illustration of Serialized novel, Jang Han Mong
美術史論壇 |
|
31 |
2010 |
미술
한국 근대 신년소설(新年小說)의 위상과 의미 -매일신보(每日申報)를 중심으로-
韓国近代における新年小説の位相と意味 -毎日申報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7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계몽기 한ㆍ일 번역문학과 근대 독자층 비교 - <장한몽>과 <해왕성>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nslated Novels and Modern Reader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 focused on Janghanmong and Haewangsung -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 초기 식민지 문화의 재편, 신문소설 삽화 <長恨夢>
The Reorganization of Culture during the Japanese early colonial period; Focus on Illustration of Serialized novel, Jang Han Mong
美術史論壇 |
31 |
2010 |
미술
일제강점 초기 식민지 문화의 재편, 신문소설 삽화 <長恨夢>
The Reorganization of Culture during the Japanese early colonial period; Focus on Illustration of Serialized novel, Jang Han Mong
美術史論壇 |
|
31 |
2010 |
미술
1920년대 식민지 동화정책과 <매일신보> 문학연구(1) -전반기 연재소설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Colony Assimilationism and [Maeilshinbo] Literature in 1920's (1) - Centered on the development of serial novel in the first half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매일신보」를 통해서 본 검도기사 연구
The study on Kumdo articles through 「Maeil shinbo」
대한무도학회지 |
12 |
2 |
2010 |
무도학
「매일신보」를 통해서 본 검도기사 연구
The study on Kumdo articles through 「Maeil shinbo」
대한무도학회지 |
12 |
2 |
2010 |
무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