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8461

STNet ID : 1001156

한자 : 無情
기타 : Mujeong

y02-02 예술작품명

저작자

이광수 (李光洙)

장르/유형

장편소설 (長篇小說)

이론/사상1

조선주의 (朝鮮主義)

저작년_t

1917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국 현대 소설 () [ 韓國現代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국 근대 문학 [ 韓國近代文學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 문학 [ 近代文學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 전환기 소설 () [ 近代轉換期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 소설 [ 近代小說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춘원연구 () [ 春園硏究 ]

RT (관련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매일신보 () [ 每日申報 ]

RT (관련어)

관련 작품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개화기 소설 () [ 開化期小說 ]

1910년대, 공/사 분할의 전치(轉置)와 문학적 주체의 정치성 —이광수 초기 문학, 문학론 재독(再讀)(1)—

Displacement of Public/private Division and Politics of Literary Agent in 1910 —Reread of early literature and comments on literature of Lee, Gwang-Soo(1)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魏晉風度에 나타난 情의 함의 :『世說新語』를 중심으로

The Meaning of Qing(情) in WeiJinFengDu(魏晉風度)

인문학연구 | 43 | 2012 | 기타인문학

1910년대, 공/사 분할의 전치(轉置)와 문학적 주체의 정치성 —이광수 초기 문학, 문학론 재독(再讀)(1)—

Displacement of Public/private Division and Politics of Literary Agent in 1910 —Reread of early literature and comments on literature of Lee, Gwang-Soo(1)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鄭律成의 생애와 항일민족운동

The Life of Jeung Yulseong and His Anti-Japanese Independent Movement

동국사학 | 51 | 2011 | 역사학

鄭律成의 생애와 항일민족운동

The Life of Jeung Yulseong and His Anti-Japanese Independent Movement

동국사학 | 51 | 2011 | 역사학

영화 <무정>의 각색에 나타난 박기채의 작가성 연구 -식민지 조선에서 ‘여성용 영화’의 형성과 부상하는 여성 독자․관객성을 중심으로-

Park Ki-chae's Authorship in the Adaptation of Heartlessness(Mu-jeong): The Formation of Woman's Film and the Emergent Female Reader-spectatorship in Colonial Chosun

영화연구 | 48 | 2011 | 영화

소설의 모델, 독자, 작가 ― 이희철(李熙喆)의 문학적 행보에 대한 고찰

小説のモデル、読者、作家-李熙喆(イ⋅ヒチョル)の文学的軌跡についての考察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by Lee Kwang-soo And by Zhang Hen-shui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by Lee Kwang-soo And by Zhang Hen-shui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소설에 투영된 개화기 담론의 재조명

A Reinterpretation on Discourse of Enlightenment Period Reflected in Novels of 1910s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의 감정론

Emotion Project of Lee, Kwang-Soo

상허학보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by Lee Kwang-soo And by Zhang Hen-shui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by Lee Kwang-soo And by Zhang Hen-shui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형성기 소설에 나타난 여행의 의미 - 「무정」, 「배따라기」, 「만세전」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meaning of Travel motif in Korean Modern Novels - focused on 「Moojeong」, 「Baetaragi」, 「Mansejeon」 -

시학과 언어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 형성기 소설에 나타난 여행의 의미 - 「무정」, 「배따라기」, 「만세전」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meaning of Travel motif in Korean Modern Novels - focused on 「Moojeong」, 「Baetaragi」, 「Mansejeon」 -

시학과 언어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무정(無情)』의 근대성과 정육(情育)

A Study on Mujung(無情) and ‘educating emotions(情育)’

한국문화 | 54 | 2011 | 기타인문학

『무정』을 통해 본 상품형식과 주체구성의 문제

Commodity-form and subjectification in Moojeo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무정(無情)』의 근대성과 정육(情育)

A Study on Mujung(無情) and ‘educating emotions(情育)’

한국문화 | 54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