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문학

연구분야 : A100200 인문학 > 문학 > 문학사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09

STNet ID : 1000183

한자 : 近代文學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c02-01 감정 감정

자유 연애 () [ 自由戀愛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학 () [ 文學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 시가 () [ 近代詩歌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시 [ 近代詩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 소설 [ 近代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신소설 [ 新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 전환기 소설 () [ 近代轉換期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서사적 논설 () [ 敍事的論說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현대문학 교육 () [ 現代文學敎育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탈식민성 [ 脫植民性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리얼리즘 () [ 寫實主義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무정 () [ 無情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혈의 누 () [ 血--淚 ]

문학과 정치 - 한설야의 「력사」의 개작과 평가의 문제성

Literature and Politics - The Problematic Adaptation and Evaluation of Han Sulya’s History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잡지 『삼광』 소재 시와 시론 연구

Research on the poetry and the artistic essay in the magazine, Sam―Kwang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끝에서 본 기원과 비평/문학 연구

The Origin Viewed from the End and Critic/Literary Study

상허학보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두 개의 전쟁, 하나의 인식 : 백철의 전후비평에 나타난 ‘한국전쟁’의 이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ek Chul's literary criticism after the Korean War: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n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Korean War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만세보』의 <독자투고란>과 근대 대중문학의 형성-이인직의『혈의 누』와『귀의 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 the Newspaper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Popular Literature - focused on Lee In-jik's novels, Tears on Blood or the Sound of Ghost -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사실주의’로의 이행 -‘해방후 평화적 민주건설시기’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기술 변화

Transition From Socialist Realism to Juche Realism. Evolution of the Description of Peaceful Democratic Construction Period After the Liberation in North Korea’s History of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사실주의’로의 이행 -‘해방후 평화적 민주건설시기’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기술 변화

Transition From Socialist Realism to Juche Realism. Evolution of the Description of Peaceful Democratic Construction Period After the Liberation in North Korea’s History of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문학의 한량 캐릭터와 한양

On the Hallyang Character and Hanyang in the Literature of Post-Joseon Dynasty

한국언어문화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문학의 한량 캐릭터와 한양

On the Hallyang Character and Hanyang in the Literature of Post-Joseon Dynasty

한국언어문화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 문학사의 조선 후기 서술 향방과 변화

A description of changes in direction of the Literary history in the late period chosun dynasty in north korea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표준어의 이념과 ‘사투리’의 탄생 - 1920년대 문학에서 표준어와 방언의 문제 -

The idea of standard Language and the birth of ‘dialect'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내지(內地)’의 논리와 근대 초기 조선의 글쓰기

The Logic of ‘Naeji’ and the Writings of the Early Modern Chosun

한국민족문화 | 37 | 2010 | 기타인문학

‘내지(內地)’의 논리와 근대 초기 조선의 글쓰기

The Logic of ‘Naeji’ and the Writings of the Early Modern Chosun

한국민족문화 | | 37 | 2010 | 기타인문학

문학관의 현황 및 인천문화재단이 만드는 한국근대문학관

The present condition of Literature Museum and The Museum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hich the IFAC prepares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가람, 시조, 문장

Garam, Sijo, Munjang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루쉰, 춘원과 일본 근대초기의 사소설

Lu Xun, Chunwon and Japanese I-novels in the Beginning Period of Modern Times

아시아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동아시아 근대와 고대문학의 기반 고찰

The Study on the Basement of the Old East Asian Literature

일본근대학연구 | 30 | 2010 | 일본문화학

동아시아 근대와 고대문학의 기반 고찰

The Study on the Basement of the Old East Asian Literature

일본근대학연구 | | 30 | 2010 | 일본문화학

근대 여성 잡지와 여성 독자의 형성 - 『신여성』을 중심으로-

192,30's Woman Magazine and The Formation of Woman Reader - focus on 『New Woman』(신여성)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여성 잡지와 여성 독자의 형성 - 『신여성』을 중심으로-

192,30's Woman Magazine and The Formation of Woman Reader - focus on 『New Woman』(신여성)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북 지역 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Current Situation and Task of Studies on the local Poetry in Chonbuk

국어문학 | 51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제도로서의 고백과 고백의 또 다른 존재 방식 -현진건의 <타락자>와 <그립은흘긴눈>을 중심으로-

Confession as a system and the other confession -Focus on Hyun Jin-gun's and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교육사의 관점에서 본 근대 초기 문학사 연구 서설

A Study o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he History of Education

고전문학과 교육 | 20 | 2010 | 인문학

교육사의 관점에서 본 근대 초기 문학사 연구 서설

A Study o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he History of Education

고전문학과 교육 | | 20 | 2010 | 인문학

1920년대 『조선문단』과 여성문학 섹션의 탄생

The magazine 『The Joseon Literary Circles(조선문단)』 in 1920s & the appearance of ‘women's literature’ section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긍정적 정체성으로서의 근대문학 서술과 근대성의 재의미화 - 1960년대~70년대 초반 문학비평에서의 전통과 근대성 -

The Narration of Modern Literature and the Reconstruction of Modernity as a Positive identity - Tradition and Modernity in the Literary Criticism of the 1960s~the Early 1970s -

우리말글 | 54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문학과 공동체, 그 이후 - ‘외부성의 공동체’를 위한 시론

Modern Literature and Community -An Essay in ‘Community of the Outsides’ external

상허학보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