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설

연구분야 :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223

STNet ID : 1000552

한자 : 新小說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1910년대 () [ 一九一○年代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 문학 [ 近代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신문학 [ 新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국 근대 문학 [ 韓國近代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소설 () [ 小說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근대 매체 [ 近代媒體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서유견문 () [ 西遊見聞 ]

isConceptOf (개념(전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개화기 소설 () [ 開化期小說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개화기 [ 開化期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영웅 소설 () [ 英雄小說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번안 () [ 飜案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번안 소설 () [ 飜案小說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장한몽 [ 長恨夢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해조 (1869-1927) [ 李海朝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두견성 [ 杜鵑聲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금수회의록 [ 禽獸會議錄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애국부인전 [ 愛國婦人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옥중화 [ 獄中花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모란병 () [ 牡丹屛 ]

정신과 육체의 길항 —1910년대 ‘부부애’의 번안/번역—

Mechanism of Physicality and Mentality ;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Marital Love in the 1910's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소양정>에서 새로운 여주인공의 등장과 군담소설 양식의 해체

The Appearance of New Heroine and The Deconstruction of War Novel i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송영의 근대단편소설 <아버지>를 통해 살펴본 활자본 소설의 향유 양상

An aspect of enjoyment of the printed fiction which is examined through the short story by Song Young

고전과 해석 | 10 | 2011 | 국문학사

근대전환기 漢文小說의 성격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vels written in Chinese at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식민지 대중문화와 ‘청춘’ 표상

The Representation of ‘Cheongchun’(youth) in Popular Culture in the Korean Colonial Period

한국학 | 34 | 3 | 2011 | 기타인문학

군담소설 양식의 계승으로 본 신작구소설 <방화수류정>

, a succession of war novels

고소설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소설’의 한 양상: ‘서사적논설’의 장형화 - 『셩산명경』을 중심으로 -

An Aspect of ‘new novel’:Lengthenization of 'Narrative Editorials' -with Reference to Sungsanmyungkyung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 초기 서사담론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혈의 루」, 「마상루」, 「절처봉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textuality in Korean Early Modern Narrative Discourse

우리어문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강명화 이야기의 소설적 변용

The study of variation the real story of Gang-Myounghwa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회진화론과 신소설 작가, 이해조와 이인직

Theory of Social Evolution and New-style Novelist, In-Jik Lee and Hae-Jo Lee

한국학연구 | 24 | 2011 | 기타인문학

겸양 대명사 ‘저’ 생성의 과정

A Study on the Causes of Appearance of ‘Jeo(저)’ as a Polite Pronoun

영남학 | 19 | 2011 | 기타인문학

신작 구소설 「이두충렬록」의 형성과정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process and meaning of Yiduchungyeulrok(이두충렬록) is published by new work ancient novel

국제어문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작 구소설 「이두충렬록」의 형성과정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process and meaning of Yiduchungyeulrok(이두충렬록) is published by new work ancient novel

국제어문 |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편의 시대와 신소설

Shinsoseol in the age of the postal systems

겨레어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편의 시대와 신소설

Shinsoseol in the age of the postal systems

겨레어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소설과 철도의 표상 : 이인직과 이해조의 소설을 중심으로

‘Sinsosoel’ and the Representation of Railroad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우편의 시대와 신소설

Shinsoseol in the age of the postal systems

겨레어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편의 시대와 신소설

Shinsoseol in the age of the postal systems

겨레어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사 자료로서의 ‘개화기 소설’-개화기 소설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list of Gae-hwa-gi's novel(開化期 小說) for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국어사 자료로서의 ‘개화기 소설’-개화기 소설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list of Gae-hwa-gi's novel(開化期 小說) for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신소설과 철도의 표상 : 이인직과 이해조의 소설을 중심으로

‘Sinsosoel’ and the Representation of Railroad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金玉緣> 연구

A study on the kumokyun(金玉緣)

동방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蔡瑞虹忍辱報仇와 明月亭의 相關性

Interrelationship of Myoungwaljeong(明月亭) and Chaeseohonginyokbogu(蔡瑞虹忍辱報仇)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蔡瑞虹忍辱報仇와 明月亭의 相關性

Interrelationship of Myoungwaljeong(明月亭) and Chaeseohonginyokbogu(蔡瑞虹忍辱報仇)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재론

Sinsosel as a Modern Korean Novel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재론

Sinsosel as a Modern Korean Novel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모란봉」에 나타난 근대 도시의 표상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Modern City Represented of Mo Ran Bong

국어문학 | 50 | 50 | 2011 | 한국어와문학

≪新小說≫: 매체, 소설과 정치

The New Novel(≪新小說≫): Media, Novel and politics

중국어문논총 | 53 | 2012 | 중국어와문학

신소설의 미신타파 담론과 그 함의

A Study on the Superstition Discourse and the Implication of Shinsoseol

현대문학이론연구 | 43 | 2010 | 문학이론

신소설의 미신타파 담론과 그 함의

A Study on the Superstition Discourse and the Implication of Shinsoseol

현대문학이론연구 | | 43 | 2010 | 문학이론

단행본의 ‘표제’ 분석을 통해서 살펴본 ‘신소설’의 양식화 가능성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shin-soseol" being used as literature type based on the analysis of book title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행본의 ‘표제’ 분석을 통해서 살펴본 ‘신소설’의 양식화 가능성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shin-soseol" being used as literature type based on the analysis of book title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연재소설에서 서적으로 —『호토토기스(不如歸)』의 매체 전환—

일본연구 | 14 | 2010 | 일본어와문학

신문연재소설에서 서적으로 —『호토토기스(不如歸)』의 매체 전환—

일본연구 | | 14 | 2010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