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안 소설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018

STNet ID : 1000406

한자 : 飜案小說
영어 : adapted novel
영어 : adaptation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소설 () [ 小說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번안 영화 소설 () [ 飜案映畵小說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신소설 [ 新小說 ]

RT (관련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번안극 [ 飜案劇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번안 () [ 飜案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두견성 [ 杜鵑聲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애국부인전 [ 愛國婦人傳 ]

hasInstance (사례)

 

 

박쥐우산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쌍옥적 [ 雙玉笛 ]

hasInstance (사례)

 

 

박천남전

'정탐소설' 출현의 소설적 환경과 추리소설로서의 특성-『쌍옥적(雙玉笛)』과『박쥐우산』을 중심으로

The Environmental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Jung-Tam Novels(偵探小說)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Detective Story

비평문학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탐소설' 출현의 소설적 환경과 추리소설로서의 특성-『쌍옥적(雙玉笛)』과『박쥐우산』을 중심으로

The Environmental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Jung-Tam Novels(偵探小說)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Detective Story

비평문학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내성 번안 추리소설에 나타난 공간의식 연구: 아서 코난 도일의 원작 속 공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perception in Nae-Seong Kim's detective novel adaptation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space in respect of Arthur Conan Doyle's original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매일신보 소재 장형 서사물의 전개 구도 -192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每日申報における長型敍事物の展開構圖 -1920年代以降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매일신보』 소설 문체의 변화와 독자의 형성과정

The literal transformation of novels on in the 1910s and the formation of its reader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매일신보』 소설 문체의 변화와 독자의 형성과정

The literal transformation of novels on in the 1910s and the formation of its readers.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번역·번안 추리소설의 수용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 in early modern era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번역·번안 추리소설의 수용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 in early modern era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금수회의록>의 번안에 관한 연구

Aspects of the Adaptation of Kŭmsu Hoeŭirok

국어국문학 | 157 | 2011 | 한국어와문학

<金玉緣> 연구

A study on the kumokyun(金玉緣)

동방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韓․中 소설에 있어서의 ‘江上-水賊殺夫占妻’ 서사유형의 變異樣相 - 「蘇知縣羅衫再合」과 한국 번안작품 「월봉산기」를 중심으로

A Transition Aspect of narrative type of Gangsang-sujeoksalbujeomcheo on Korean and Chinese novel - Focusing on Sojihyeonrasamjaehap and it's adapted Korean novel

비교문학 | 53 | 2011 | 인문학

<과학소설 비행선>이 그리는 과학 제국, 제국의 과학 - 실험실의 미친 과학자들(1) -

Empire of science, Science of Empire in

개신어문연구 | 34 | 2011 | 현대시(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