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 소설

연구분야 : A101000 인문학 > 문학 > 소설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237

STNet ID : 1000636

한자 : 英雄小說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a01-05-01 인간(재능) 인간(재능)

영웅 () [ 英雄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대하 소설 [ 大河小說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소설 () [ 小說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장편 영웅 소설 () [ 長篇英雄小說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남정팔난기 [ 南征八難記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신소설 [ 新小說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군담 소설 () [ 軍淡小說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애국부인전 [ 愛國婦人傳 ]

RT (관련어)

비교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희학 소설 () [ 戱謔小說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조웅전 [ 趙雄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임경업전 [ 林慶業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최고운전 () [ 崔孤雲傳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홍계월전 [ 洪桂月傳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성현공숙렬기 [ 聖賢公淑烈記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유충렬전 () [ 柳忠烈傳 ]

<손천사영이록>의 도교적 면모와 의미

Taoist Aspect & Significance of “Sohncheonsayoungierok”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손천사영이록>의 도교적 면모와 의미

Taoist Aspect & Significance of “Sohncheonsayoungierok”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설인귀전>의 소설사적 존재 의미

A Meaning of Existence on Novel History of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웅전의 인물 형상

A Study of Secondary Characters in ChoUng-Jeon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화국전> 연작의 작품 세계

The World of Series Works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백화국전> 연작의 작품 세계

The World of Series Works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고소설『박태보전』독자 수용 일고찰 - 처화의 마음에 자리한 도사 상(像)과 관련하여 -

A study about acceptance of reader of 『old Nobel paktaebojoen』 - in concern of a ascetic figuration in mind of cheohwa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3 | 2012 | 원불교학

<소양정>에서 새로운 여주인공의 등장과 군담소설 양식의 해체

The Appearance of New Heroine and The Deconstruction of War Novel i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작 구소설 「이두충렬록」의 형성과정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process and meaning of Yiduchungyeulrok(이두충렬록) is published by new work ancient novel

국제어문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작 구소설 「이두충렬록」의 형성과정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process and meaning of Yiduchungyeulrok(이두충렬록) is published by new work ancient novel

국제어문 |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낙성비룡>의 구성적 특징과 소설사적 위상 -<소대성전>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서-

Constructive way and position in novel history of

Journal of korean Culture | 18 | 2011 | 현대시(국문학)

<김태백전>의 영웅소설적 성격과 의미

Significance and charateristic of as a hero novel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태백전>의 영웅소설적 성격과 의미

Significance and charateristic of as a hero novel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女性英雄의 敍事的 傳統과 古小說에서의 受容과 變貌

The narrative tradition of heroines and its acceptance and changes in the old novels

우리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정난전>의 영웅소설적 성격 연구

A Study on Yijeongnan-jeon as a Hero Novel

새국어교육 | 87 | 2011 | 국어교육

<장인걸전> 속 複數의 주체와 그 의미 ―중세적 慣性과 근대적 指向의 錯綜과 屈折을 중심으로

The Plural Subjects in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설인귀 인식의 맥락과 문학적 반영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awareness about Seol-in-gwi and the reflection to literature in late Chosun dynast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웅전> 인물 형상의 분장(分場)

The character's image in Chowoong-Jun and its division of field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장태문전」의 性格과 筆寫本 古小說의 流通

The Character of 『Jangtaemunjun(장태문전)』 and Distribution of Copying Version Ancient Novel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태문전」의 性格과 筆寫本 古小說의 流通

The Character of 『Jangtaemunjun(장태문전)』 and Distribution of Copying Version Ancient Novel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영웅소설의 게임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game storytelling method of korea Heroic Novel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영웅소설의 게임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game storytelling method of korea Heroic Novel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충렬전>의 인물 구성과 서술적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 and the voice of narrator of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전우치전>으로 살펴본 영웅소설의 변화

The alteration of heroic romance on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영웅군담소설’의 연구사적 조망

Historical Prospect of 'Heroic Martial Novel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