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웅전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1360

한자 : 趙雄傳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영웅 소설 () [ 英雄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군담 소설 () [ 軍淡小說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조웅

이해조의 <소양정>과 고전소설의 교섭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Negotiation Aspects of Yi Hae-Jo's and Chosun Dynasty-Novels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해조의 <소양정>과 고전소설의 교섭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Negotiation Aspects of Yi Hae-Jo's and Chosun Dynasty-Novels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웅전>의 가상희 화소 수용과 그 의미

Acceptance of Gasanghui motif of and the meaning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고소설『박태보전』독자 수용 일고찰 - 처화의 마음에 자리한 도사 상(像)과 관련하여 -

A study about acceptance of reader of 『old Nobel paktaebojoen』 - in concern of a ascetic figuration in mind of cheohwa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3 | 2012 | 원불교학

<조웅전> 인물 형상의 분장(分場)

The character's image in Chowoong-Jun and its division of field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웅전의 인물 형상

A Study of Secondary Characters in ChoUng-Jeon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