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소설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980

STNet ID : 1002713

한자 : 古典小說
영어 : classical novel
영어 : classic novel
영어 : Korean classical novel
동의어(UF) : 고대 소설(古代小說)
동의어(UF) : 고소설(古小說)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전 문학 () [ 古典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전 산문 [ 古典散文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소설 () [ 小說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계모형 가정 소설 () [ 繼母型家庭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규방 소설 () [ 閨房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야담계 소설 () [ 野譚系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송사 소설 () [ 訟事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문 소설 () [ 漢文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가정 가문 소설 () [ 家庭家門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군담 소설 () [ 軍淡小說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책장수 [a bookseller]

RT_Y (◄관련어)

관련 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여담 [ 餘談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안락국전 () [ 安樂國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흥부전 [ 興夫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토끼전 () [ --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장화홍련전 () [ 薔花紅蓮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홍길동전 [ 洪吉童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금오신화 () [ 金鰲新話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춘향전 () [ 春香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현몽쌍룡기 [ 現夢雙龍記 ]

養馬모티프의 變遷과 文學的 意味

A Study on the Meaning of Breed a Horse Motive in Korean Narrative

한국언어문학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養馬모티프의 變遷과 文學的 意味

A Study on the Meaning of Breed a Horse Motive in Korean Narrative

한국언어문학 |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숙향전>의 정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 in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북한의 고전문학 자료 현황과 연구동향

The Classical literature materials and research trend of North Korea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북한의 고전문학 자료 현황과 연구동향

The Classical literature materials and research trend of North Korea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불륜담’의 시대적 변전 양상 고찰 - 조선 후기 문학과 현대문학의 비교

On Study about Periodical Changing Aspect of ‘A Story of Infidelity’

비교문학 | 52 | 2010 | 인문학

‘불륜담’의 시대적 변전 양상 고찰 - 조선 후기 문학과 현대문학의 비교

On Study about Periodical Changing Aspect of ‘A Story of Infidelity’

비교문학 | | 52 | 2010 | 인문학

『한국어문학 여성주제어 사전』의 체제와 내용 -고전소설 분야를 중심으로-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of Feminist Theme Words in Korean Literature - Focused on Classical Korean Novel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전소설의 비판적 읽기를 통한 창의적 독서 결과 표현 연구 -<심청전>의 개작본 <몽금도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ult of the Creative Reading through Critical Reading Korean Classical Novel -Aimed at Monggeumdo-geon one of the new versions Shimchung-geon-

독서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전소설의 근대적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The Modern Reperception and Canoniz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

민족문화연구 | 55 | 2011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에 나타난 삽입문의 교육적 활용 가치

Educational use value of inserted prose on 『Keumoshinhwa』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幾點翻譯研究方法論的省思― 以朝鮮時代中國小說翻譯《第一奇諺》為例

번역 연구 방법론에 대한 몇 가지 성찰

중국어문논역총간 | 29 | 2011 | 중국어와문학

고등학교 교과서로 본 고전소설 교육의 문제와 제언

Issues and Appeals on Education of Classical Novels based on High School Textbooks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교과서로 본 고전소설 교육의 문제와 제언

Issues and Appeals on Education of Classical Novels based on High School Textbooks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번역의 관점으로 본 한글 고전소설 현대어화의 실제 - 낙선재본 고전소설을 중심으로

The moderniz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s on the view of translation

돈암어문학 | 24 | 2011 | 국문학사

고전소설의 다시쓰기 출판물 연구 시론

Research Approach to Rewriting Classic Novels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소설의 다시쓰기 출판물 연구 시론

Research Approach to Rewriting Classic Novels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웅전>의 가상희 화소 수용과 그 의미

Acceptance of Gasanghui motif of and the meaning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여성 해방 공간, 옥연동

Okyeondong- A liberating Space for Women in SukyeongNangjaJeon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

고전소설에 나타난 악승의 양상과 문학적 의미

The aspect and literary function of Rouge buddhists the classical novel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고전소설에 나타난 악승의 양상과 문학적 의미

The aspect and literary function of Rouge buddhists the classical novel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해방 후 문학사가의 고전소설 이해 양상 -이명선을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of revolution and the classic novel –by novel understanding of the pattern of Myung-Sun Lee

고전과 해석 | 12 | 2012 | 국문학사

불경계 서사의 소설적 변용과 그 의미

A Study on the Aspect of Novel Writing and Acculturation in Narration of Buddhist Scriptures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전소설의 인물 비평 교육 연구 서설 -인물 비평의 개념, 위상, 방법-

An Introduction to Character Criticism Education in Korean Classical Novels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전소설의 현재적 가치 모색과 교양교육

The Contemporary Value of Classical Novels in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고전소설의 현재적 가치 모색과 교양교육

The Contemporary Value of Classical Novels in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쌍천기봉> 여성수난담의 특징과 그 의미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Sufferings Formed in Ssangcheongibong(쌍천기봉)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쌍천기봉> 여성수난담의 특징과 그 의미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Sufferings Formed in Ssangcheongibong(쌍천기봉)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소설 연구의 대중화 방안 - 디지털 매체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The Measure of Popularization in Studying the Classic Novels - centrally on relations with digital media -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새 자료 <정향전>의 자료적 특성과 가치

The Status and the Value of a New Text, Chunghyangjeon(정향전) that Professor Park Sunho Possesses

동양고전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새 자료 <정향전>의 자료적 특성과 가치

The Status and the Value of a New Text, Chunghyangjeon(정향전) that Professor Park Sunho Possesses

동양고전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토끼전」의 동화화 과정

Transformations of 「Tokki-jeon」 into Fairy Tales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6 | 1 | 2012 | 국어교육

대하소설의 환상성의 특징과 의미

Features and Meanings of Fantasy in River-Novels

고전문학과 교육 | 20 | 2010 | 인문학

대하소설의 환상성의 특징과 의미

Features and Meanings of Fantasy in River-Novels

고전문학과 교육 | | 20 | 2010 | 인문학

고전소설의 환상적 수사와 미감

The Fantastic Rhetoric and Esthetic Sense of Classic Novels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소설의 환상적 수사와 미감

The Fantastic Rhetoric and Esthetic Sense of Classic Novels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운명과 초월의 서사 -<임씨삼대록> 여성수난담의 성격-

Narrative of Fate and Transcendence -Characteristics of the Story of Female Sufferings in LimSsiSamdaerok-

고소설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우치전>의 현대적 다시쓰기와 그 의미 - 아동용 출판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Modern Rewritings in Jeonwoochi - Focusing on Publications for Children -

인문학연구 | 39 | 1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