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부전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108

STNet ID : 1001073

한자 : 興夫傳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놀부전 [ --傳 ]

UF (비우선어)

 

 

흥보전 [ 興甫傳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전 소설 () [ 古典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판소리계 소설 () [ --系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설화 소설 () [ 說話小說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흥보가 [ 興甫歌 ]

RT (관련어)

 

 

방이 설화 ()

판소리계 소설을 통해 본 돈에 대한 욕망-<춘향전><흥부전><심청전>을 중심으로-

Desire for Money Analysed through Pansori Novels -Centering on and -

고전과 해석 | 9 | 2010 | 국문학사

판소리계 소설을 통해 본 돈에 대한 욕망-<춘향전><흥부전><심청전>을 중심으로-

Desire for Money Analysed through Pansori Novels -Centering on and -

고전과 해석 | 9 | | 2010 | 국문학사

판소리계 소설을 통해 본 돈에 대한 욕망-<춘향전><흥부전><심청전>을 중심으로-

Desire for Money Analysed through Pansori Novels -Centering on and -

고전과 해석 | 9 | 2010 | 국문학사

판소리계 소설을 통해 본 돈에 대한 욕망-<춘향전><흥부전><심청전>을 중심으로-

Desire for Money Analysed through Pansori Novels -Centering on and -

고전과 해석 | 9 | | 2010 | 국문학사

제1차 조선교육령기 『普通學校朝鮮語及漢文讀本』 수록 제재 연구― 「흥부전」을 중심으로

Chosuneo Language Textbooks used in primary school in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and HeungbooJeon

돈암어문학 | 23 | 2010 | 국문학사

제1차 조선교육령기 『普通學校朝鮮語及漢文讀本』 수록 제재 연구― 「흥부전」을 중심으로

Chosuneo Language Textbooks used in primary school in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and HeungbooJeon

돈암어문학 | 23 | | 2010 | 국문학사

흥부전의 아이러니와 웃음

Ironies and Humors in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흥부전의 아이러니와 웃음

Ironies and Humors in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흥부전의 아이러니와 웃음

Ironies and Humors in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흥부전의 아이러니와 웃음

Ironies and Humors in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의각』 장면․재담․서술의 독서 효과 —1910년대 통속소설 독서경험 구성을 위한 한 사례로서

A study on the effects of scenes․jokes․narrations of 『Yeonuigak(燕의脚)』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흥부전의 현대적 수용

A Modern Perspective of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흥부전의 현대적 수용

A Modern Perspective of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의각』 장면․재담․서술의 독서 효과 —1910년대 통속소설 독서경험 구성을 위한 한 사례로서

A study on the effects of scenes․jokes․narrations of 『Yeonuigak(燕의脚)』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놀부박사설의 성격과 화폐경제인식 ― 퇴장화폐 문제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 of Nolbubag-saseol and monetary economy - in the case of hoarding money -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놀부박사설의 성격과 화폐경제인식 ― 퇴장화폐 문제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 of Nolbubag-saseol and monetary economy - in the case of hoarding money -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흥부전의 현대적 수용

A Modern Perspective of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흥부전의 현대적 수용

A Modern Perspective of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