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전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465

한자 : --傳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별주부전 [ 鼈主簿傳 ]

UF (비우선어)

 

 

토생원전 [ 兎生員傳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우화 소설 () [ 寓話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전 소설 () [ 古典小說 ]

R1:개념적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귀토 설화 () [ 龜兎設話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수궁가 [ 水宮歌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유성준 바디 수궁가 [ 劉成俊--水宮歌 ]

R3:시간적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근원설화

 

귀토지설 [ 龜兎之說 ]

국문학 연구에서 문화연구의 적용과 한계

The application of cultural studies to Korean literature, and its merits and demerits

국어국문학 | 158 | 2011 | 한국어와문학

<玉浦洞奇玩錄>의 작품 창작 방식 연구 -기존 작품을 재구성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eption aspects of materials and aesthetic modification of Okpodonggiwannok

고소설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 <수궁가> 醫學記事에 내포된 역사성과 조선후기 민중 의학지식의 보급 -김연수 창본 수궁가의 사설을 대상으로-

Historicity Included in Pansori Sugungga and Spreading of Folk Remedial Knowledge in Late Joseon -Around the Narration of Sugungga adapted by Kim Yeon-Su-

호남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판소리 <수궁가> 醫學記事에 내포된 역사성과 조선후기 민중 의학지식의 보급 -김연수 창본 수궁가의 사설을 대상으로-

Historicity Included in Pansori Sugungga and Spreading of Folk Remedial Knowledge in Late Joseon -Around the Narration of Sugungga adapted by Kim Yeon-Su-

호남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수궁가」에 내재된 의학지식 ― 김연수 창본 수궁가의 사설을 대상으로

Medical knowledge implied in "Sugungga" ― Focusing on the article of Kim, Yeon Soo-Changbon Sugungga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