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화 소설

연구분야 : A101000 인문학 > 문학 > 소설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1271

STNet ID : 9002282

한자 : 寓話小說
영어 : Allegorical Novels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계몽 () [ 啓蒙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소설 () [ 小說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D04 기법/전략 기법/전략

의인법 [ 擬人法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토끼전 () [ --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장끼전 [ --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두껍전 [ --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서대주전 [ 鼠大州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로빈슨 크루소 [Robinson Crusoe]

국문 창작 가전체소설 <花王本記>와 그 한문번역본

A study on the Hwayangbongi, an Anthropomorphosized Korean Novel, and its Chinese Translation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문 창작 가전체소설 <花王本記>와 그 한문번역본

A study on the Hwayangbongi, an Anthropomorphosized Korean Novel, and its Chinese Translation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One Aspect in ‘Knowledg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 in ‘Knowledge’ of 19C Novel - Centering on Aspect of Enjoying ‘Knowledge’ Shown in -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One Aspect in ‘Knowledg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 in ‘Knowledge’ of 19C Novel - Centering on Aspect of Enjoying ‘Knowledge’ Shown in -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여용국전" 연구

A Study of "Yeoyongguk-Jun(女容國傳)"

영남학 | 17 | 2010 | 기타인문학

"여용국전" 연구

A Study of "Yeoyongguk-Jun(女容國傳)"

영남학 | | 17 | 2010 | 기타인문학

‘錯綜’의 관점에서 본 19세기 소설 속 서사 흐름에 대한 인식

Recognition on the Flow of Description in 19th Century Novel Seen in Viewpoint of ‘Complication’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소설 속 餘談의 성격

The Character of Digression in 19th Century Novel

고전과 해석 | 11 | 2011 | 국문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