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몽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A110201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국문학사

클래스 : 교육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4

STNet ID : 1000089

한자 : 啓蒙
영어 : enlightenment
독일어 : Aufklärung

b01-02 교육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계몽성 [ 啓夢性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농촌 계몽 운동 () [ 農村啓蒙運動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지원병 [Volunteer]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계몽 운동 [ 啓蒙運動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우화 소설 () [ 寓話小說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문화영화 () [ 文化映畵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애국부인전 [ 愛國婦人傳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신문관 [ 新文館 ]

RT (관련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소년 [ 少年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근대적 정치권력 () [ 近代的政治權力 ]

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환기의 사상, 리얼리즘의 조건-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을 중심으로

Thought of the turning point and the condition of realism-focusing on An Aquarium of Love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환기의 사상, 리얼리즘의 조건-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을 중심으로

Thought of the turning point and the condition of realism-focusing on An Aquarium of Love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생 잡지 『학원』의 성격과 의의 -195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Hakwon, as a youngsters magazine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생 잡지 『학원』의 성격과 의의 -195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Hakwon, as a youngsters magazine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근대와 '취미' 개념의 형성

Colonial Modernity and the Concept of“ Taste(趣味)”

개념과 소통 | 7 | 2011 | 역사학

조선 예학사상의 근대적 해석에 관한 小考 − 호르크하이머의 사회철학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Study of Rites in the Joseon Dynasty - With Focus on the Social Philosophy of Adorno and Horkheimer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조선 예학사상의 근대적 해석에 관한 小考 − 호르크하이머의 사회철학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Study of Rites in the Joseon Dynasty - With Focus on the Social Philosophy of Adorno and Horkheimer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1950년대 후반 라디오연속극의 영화화 경향 연구

A Study on the Cinematization of Radio Soap Operas in the late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후반 라디오연속극의 영화화 경향 연구

A Study on the Cinematization of Radio Soap Operas in the late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변화된 시간 감각과 내면의 표정들 -식민지 시기 소설에 나타난 '일요일'을 중심으로-

Changed Time Sense and the Inside Expressions : Focusing on ‘Sunday’ appeared in the Novels of the Colonial Period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변화된 시간 감각과 내면의 표정들 -식민지 시기 소설에 나타난 '일요일'을 중심으로-

Changed Time Sense and the Inside Expressions : Focusing on ‘Sunday’ appeared in the Novels of the Colonial Period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이광수의 근대시 인식과 시적 주체의 특성 연구: 초기시를 중심으로

The attitude to modern poetry and the characteristic of poetic subject in early works of Lee-KwangSu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본의 침략주의와 문명론의 아포리아 : 福澤諭吉의 『文明論之槪略』과 그 동아시아적 계기

福澤諭吉與在東亞的文明論的悖論

한국학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세속사회에서 포스트세속사회로- 헤겔과 하버마스 철학에서 ‘신앙과 지식’의 관계 -

Von der säkularen zur postsäkularen Gesellschaft- das Problem von ‘Glauben und Wissen’ bei Hegel und Habermas -

철학연구 | 119 | 2011 | 철학

해방기 이광수 문학의 자전적 글쓰기의 전략과 의미 - 『돌베개』와 『나의 고백』을 중심으로

The Strategy of 'The Autobiographical Writing' of the Liberation Lee Guang-su Literature and Meaning -focused on (돌베개) and (나의 고백)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칸트가 제시한 평화에로의 길: 주체적인 삶

The Path to the Peace Suggested by Kant: The Subjective Life

대동철학 | 51 | 2010 | 철학

칸트가 제시한 평화에로의 길: 주체적인 삶

The Path to the Peace Suggested by Kant: The Subjective Life

대동철학 | | 51 | 2010 | 철학

20세기 초 창가(唱歌)『한양노래』의 창작 동인과 ‘한양(漢陽)’ 표상의 특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th Century Changa, Hanyangnore, published by Shinmungwan in 1908, and the Representation of Hanyang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대한제국기 근대국가형성의 세 가지 구상

Three conceptions of modern state formation in Taehan Empire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대한제국기 근대국가형성의 세 가지 구상

Three conceptions of modern state formation in Taehan Empire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晩淸 소설의 서사주의와 매체 ― ≪繡像小說≫을 중심으로

Narrativism in Late Qing Fiction and Media

중국어문논총 | 49 | 2011 | 중국어와문학

박완서 소설의 대중성 연구-1980년대 여성문제 소설 다시 읽기

Study on the Popularity in Park Wanseo’s Novels the Re-reading of Park Wanseo’s Feminism Novels in 198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서양철학의 수용과 언어의 문제 – 이규호의 언어철학을 중심으로 -

Die Aufnahme der europaeischen Philosophie in Korea und das Problem der Sprache

철학논집 | 29 | 2012 | 철학

고려인문학의 성격과 전개 양상 -1940∼60년대 『레닌기치』 문예면에 나타난 고려인문학의 특징 고찰-

The Personality and Development Process of Soviet-Korean Literature -Consider the Feature of Soviet-Korean Literature Appearing from a Literature Point of View in 『Lenin Gichi』 in 1940~60s-

현대소설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인문학의 성격과 전개 양상 -1940∼60년대 『레닌기치』 문예면에 나타난 고려인문학의 특징 고찰-

The Personality and Development Process of Soviet-Korean Literature -Consider the Feature of Soviet-Korean Literature Appearing from a Literature Point of View in 『Lenin Gichi』 in 1940~60s-

현대소설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공/사 분할의 전치(轉置)와 문학적 주체의 정치성 —이광수 초기 문학, 문학론 재독(再讀)(1)—

Displacement of Public/private Division and Politics of Literary Agent in 1910 —Reread of early literature and comments on literature of Lee, Gwang-Soo(1)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 초기 논설에 나타난 '문학'과 '교육'의 의미

A Study on 'Literature' and 'Education' Featured in the Early Stage of Lee, Kwang-Soo′s Rhetorical Writing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 초기 논설에 나타난 '문학'과 '교육'의 의미

A Study on 'Literature' and 'Education' Featured in the Early Stage of Lee, Kwang-Soo′s Rhetorical Writing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비판이론에 나타난 ‘비판’ 개념의 의미 연구

Eine Untersuchung des Begriffs der ‘Kritik’ in der Kritischen Theorie

가톨릭철학 | 18 | 2012 | 철학

아도르노 철학의 유토피아적 모티브

Die utopische Motive der Philosophie Theodor W. Adornos

동서철학연구 | 65 | 2012 | 철학

일본의 침략주의와 문명론의 아포리아 : 福澤諭吉의 『文明論之槪略』과 그 동아시아적 계기

福澤諭吉與在東亞的文明論的悖論

한국학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신채호 소설의 정치적 가능성

The Political Possibility of Shin Chae-ho’s the Novel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스위트홈(Sweet Home) 이데올로기 비판 ― 루쉰(魯迅)의 <幸福的家庭>論

Lu Xun(魯迅)'s Novel Xingfude Jiating(<幸福的家庭>)

중국어문논총 | 51 | 2011 | 중국어와문학

중국의 近代性 敍事에 대한 반성적 고찰 ― 최근 辛亥革命, 五四 그리고 魯迅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 74 | 2012 | 중국어와문학

한말 일본 유학 지식인의 ‘근대 사회과학’ 수용과정과 특징 ― ‘정치’에 대한 인식과 ‘입헌정치론’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of ‘Modern Social Science’ by Intellectuals Studying in Japan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 A focus on the awareness of ‘politics’ and ‘constitutional government theory’ ―

이화사학연구 | 44 | 2012 | 기타역사일반

《帝國新聞》에 나타난 美國 留學과 留學生 寄書(便紙) 硏究 -近代啓蒙談論의 樣相과 글쓰기의 變化를 中心으로-

A Study on Studying in the U.S. and Letters by Korean Students Studying in the U.S. in 《Jeguk-Shinmun》 -Focusing on Aspects of Discourse on Modern Enlightenment and Changes in Writing-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帝國新聞》에 나타난 美國 留學과 留學生 寄書(便紙) 硏究 -近代啓蒙談論의 樣相과 글쓰기의 變化를 中心으로-

A Study on Studying in the U.S. and Letters by Korean Students Studying in the U.S. in 《Jeguk-Shinmun》 -Focusing on Aspects of Discourse on Modern Enlightenment and Changes in Writing-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70년대 이전의 노인교육 발전과정 연구

The study of Developmental Process of Education for Old Adult before 1970s.

교육연구논총 | 32 | 1 | 2011 | 교육사회학

근대 한ㆍ중 연애 담론의 형성 -엘렌 케이(Ellen Key) 연애관의 수용을 중심으로-

近代韓ㆍ中戀愛話語的形成 -以愛倫凱(Ellen Key)戀愛觀的接受爲中心考察-

중국사연구 | 79 | 2012 | 동양사

1930년대 신계몽주의자의 “五四” 기억

May 4 Memories of New Enlightenmentalists in the 1930s

역사문화연구 | 37 | 2010 | 역사학

1930년대 신계몽주의자의 “五四” 기억

May 4 Memories of New Enlightenmentalists in the 1930s

역사문화연구 | | 37 | 2010 | 역사학

한국 근대 新語 연구(1920년~1936년) -일상·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Research of modern neologism in Korea(1920~1936) - Centered on daily life & cultural context -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한국 근대 新語 연구(1920년~1936년) -일상·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Research of modern neologism in Korea(1920~1936) - Centered on daily life & cultural context -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근대 한ㆍ중 연애 담론의 형성 -엘렌 케이(Ellen Key) 연애관의 수용을 중심으로-

近代韓ㆍ中戀愛話語的形成 -以愛倫凱(Ellen Key)戀愛觀的接受爲中心考察-

중국사연구 | 79 | 2012 | 동양사

후스胡適의 사상을 통해 ‘의무가 되어버린 개인의 권리’ 찾기

胡適の思想による「義務になってしまう個人の権利」の探し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새로운 이성에 대한 현대적 탐구의 여정들-냉소적 이성비판과 횡단이성 그리고 과정으로서의 이성을 중심으로-

Des traites de recherches sur une nouvelle Raison-autour de la critique de la raison cynique, raison transversale et raison comme processus-

시대와 철학 | 23 | 3 | 2012 | 철학

근대 중국 혁명파 잡지 ≪覺民≫에 게재된 소설⋅희곡의 현실인식 연구

A Study on Reality Awareness of Novel & Drama of Revolutionary Group Journal ≪JUEMIN≫ in Modern China

중국학논총 | 32 | 2011 | 중국어와문학

삶의 재정향을 위한 성찰과 실천 - 격몽과 입지를 중심으로 -

The Reflection and Practice for Reorientation of Life -Focusing on the concepts of the 'Gyeokmong' and 'Ipgi'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삶의 재정향을 위한 성찰과 실천 - 격몽과 입지를 중심으로 -

The Reflection and Practice for Reorientation of Life -Focusing on the concepts of the 'Gyeokmong' and 'Ipgi'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권리와 자격의 공동체에서 욕구와 연대의 공동체로- 하버마스 실천이론의 근원적 기획과 그 한계에 대한 연구 -

From the community of rights and entitlements to the community of needs and solidarity - On the basic project of Habermas' practical hilosophy and its limits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권리와 자격의 공동체에서 욕구와 연대의 공동체로- 하버마스 실천이론의 근원적 기획과 그 한계에 대한 연구 -

From the community of rights and entitlements to the community of needs and solidarity - On the basic project of Habermas' practical hilosophy and its limits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辨證法的世界觀의 한 실현 방식 ―프랑스 ‘백과전서파’와 崔南善

A method to realize of the Dialectic Worldview

대동문화연구 | 69 | 2010 | 기타인문학

辨證法的世界觀의 한 실현 방식 ―프랑스 ‘백과전서파’와 崔南善

A method to realize of the Dialectic Worldview

대동문화연구 | | 69 | 2010 | 기타인문학

미셀 푸코의 '근대'와 '계몽'

‘Moderne’ et Aufklärung chez Michel Foucault

근대 철학 | 5 | 2010 | 철학

미셀 푸코의 '근대'와 '계몽'

‘Moderne’ et Aufklärung chez Michel Foucault

근대 철학 | 5 | | 2010 | 철학

계몽과 현대성 - 중국 신좌파의 현실인식과 지향

Enlightenment and Modernity: Chinese New-left’s Understanding the realities of society and moving toward

한국철학논집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계몽과 현대성 - 중국 신좌파의 현실인식과 지향

Enlightenment and Modernity: Chinese New-left’s Understanding the realities of society and moving toward

한국철학논집 |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최남선의 계몽의 기획과 글쓰기 연구

A Study on writing and project of enlightenment of Choi Nam Sun's Poem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계몽의 기획과 글쓰기 연구

A Study on writing and project of enlightenment of Choi Nam Sun's Poem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표면에서의 오디세이 혹은 계몽의 신화 ― 카프카의 『소송』

독어독문학 | 51 | 3 | 2010 | 독일어와문학

표면에서의 오디세이 혹은 계몽의 신화 ― 카프카의 『소송』

독어독문학 | 51 | 3 | 2010 | 독일어와문학

진보의 맥락에서 본 아동중심교육

Progressivism and the Idea of Child-Centeredness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진보의 맥락에서 본 아동중심교육

Progressivism and the Idea of Child-Centeredness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계몽과 해방의 미시사 -정비석의 『자유부인』-

A Micro-history on Enlightenment and Liberation -Jeong, Bi-seok's Madame Freedom(Jayu-Buin)-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아도르노 철학에서의 이성의 파괴 -계몽의 변증법에 대한 정치철학적 비판-

Destruction of Reason in Adorno’s Philosophy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욕망과 환상―「어린 벗에게」론

Desire and Fantasy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계몽에서 야만으로의 추락 - 괴테의 『이피게니에』에서 호프만스탈의 『엘렉트라』로

Der Sturz von der Aufklärung in die Barbarei - Goethes Iphigenie und Hofmannsthals Elektra

독어독문학 | 52 | 3 | 2011 | 독일어와문학

주체의 시선과 타자 경험의 정치학 -이석훈 소설의 내적 논리

The eye of the subject and Experience of others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노신과 김학철 문학 비교 -노예성 탐구를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f Luxun and Jinxuetie's Literature

한중인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공공성(公共性)의 역사철학 - 칸트 역사철학에 대한 하나의 해석

A Philosophy of History of Public Sphere - An Interpretation of Kant's Philosophy of History

칸트연구 | 26 | 2010 | 철학

공공성(公共性)의 역사철학 - 칸트 역사철학에 대한 하나의 해석

A Philosophy of History of Public Sphere - An Interpretation of Kant's Philosophy of History

칸트연구 | | 26 | 2010 | 철학

계몽의 변증법에서 변증법의 계몽으로 - 아도르노의 부정 사유(negatives Denken)의 비판이론적 함축

Von der Dialektik der Aufklärung zur Aufklärung der Dialektik: Kritische Implikationen des negativen Gedankens von Th. Adorno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계몽의 변증법에서 변증법의 계몽으로 - 아도르노의 부정 사유(negatives Denken)의 비판이론적 함축

Von der Dialektik der Aufklärung zur Aufklärung der Dialektik: Kritische Implikationen des negativen Gedankens von Th. Adorno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