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전쟁직후 한일(韓日) 소설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비교 연구 - 박노갑의 「歡」과 우메자키 하루오의 「櫻島」를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y of Remembering ‘the War’ in Korean and Japanese Novels just after the Pacific War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태평양전쟁직후 한일(韓日) 소설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비교 연구 - 박노갑의 「歡」과 우메자키 하루오의 「櫻島」를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y of Remembering ‘the War’ in Korean and Japanese Novels just after the Pacific War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조선영화에 나타난 가족 이데올로기 연구-<미몽><지원병><조선해협>의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A Study of Family Ideology in Korean Cinem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female image in Sweet Dream (Mimong), Volunteer (Ji―wonbyeong), and Straits of Joseon (Joseonhaehyeob)
한민족문화연구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영화 '사랑과 맹서(愛と誓ひ)'와 오영진의 취재기 「젊은 용의 고향(若い龍の鄕)」비교 연구
Movie 'Love and Oath (愛と誓ひ)' and O Yeong-jin report of a 'The home of a young dragon(若い龍の鄕)' Comparative study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국의 호명, 빗나간 응답 -영화 <지원병>과 ‘내선일체’의 문제-
Calling of Imperial, Missed Answer -On The Cinema Jiwonbyoung and The Problem of 'Naseon Ilchea'-
한국극예술연구 |
31 |
2010 |
예술체육학
제국의 호명, 빗나간 응답 -영화 <지원병>과 ‘내선일체’의 문제-
Calling of Imperial, Missed Answer -On The Cinema Jiwonbyoung and The Problem of 'Naseon Ilchea'-
한국극예술연구 |
|
31 |
2010 |
예술체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