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온 톨스토이
Tolstoi Translated in Korean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1900~10년대 최남선의 ‘고전/번역’ 활동과 전통에 대한 인식
Activity of ‘Translation of Classics’ and Acknowledgement of Tradition by Namsun Choi in 1900~10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1900~10년대 최남선의 ‘고전/번역’ 활동과 전통에 대한 인식
Activity of ‘Translation of Classics’ and Acknowledgement of Tradition by Namsun Choi in 1900~10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엉클 톰스 캐빈]과 [검둥의 설움]의 간격
Gap between Uncle Tom’s Cabin and Geomdung ui Seorum (Sorrow of a Nigger)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Diaglossia and the Status of Korean Writing in the 1910s'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Diaglossia and the Status of Korean Writing in the 1910s'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초 창가(唱歌)『한양노래』의 창작 동인과 ‘한양(漢陽)’ 표상의 특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th Century Changa, Hanyangnore, published by Shinmungwan in 1908, and the Representation of Hanyang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신문관 간행 육전소설에 대한 연구
Study on “Six Coin Novel” issued by Shin-Mun-Gw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간행 육전소설에 대한 연구
Study on “Six Coin Novel” issued by Shin-Mun-Gw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국내외 國學 연구의 동향
Research Trends in Korean Studies in 1910s
韓國史學史學報 |
21 |
2010 |
역사학
1910년대 국내외 國學 연구의 동향
Research Trends in Korean Studies in 1910s
韓國史學史學報 |
|
21 |
2010 |
역사학
1910년대 미성년 독서물의 한글 글쓰기 양상 연구 -신문관 발행 정기간행물을 중심으로-
Hangeul Writing Portrayed in 1910's Readings for Adolescents - with reference to the periodicals of Shinmunkwan -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최남선의 문명・문화론과조선불교 인식
Ch’oe Nam-son's Understanding on Civilization, Culture and Korean Buddhism during 1910s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회동서관의 활자본 고전소설 간행 양상
Publication Aspect of 'The Published Classical Novel' in HoeDongSeoGuan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회동서관의 활자본 고전소설 간행 양상
Publication Aspect of 'The Published Classical Novel' in HoeDongSeoGuan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회동서관의 활자본 고전소설 간행 양상
Publication Aspect of 'The Published Classical Novel' in HoeDongSeoGuan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회동서관의 활자본 고전소설 간행 양상
Publication Aspect of 'The Published Classical Novel' in HoeDongSeoGuan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국내외 國學 연구의 동향
Research Trends in Korean Studies in 1910s
韓國史學史學報 |
21 |
2010 |
역사학
1910년대 국내외 國學 연구의 동향
Research Trends in Korean Studies in 1910s
韓國史學史學報 |
|
21 |
2010 |
역사학
신문관 출판 활동의 구조적 측면 연구(2)-서적 목록과 광고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Side of Sinmungwan’s Publishing Activity(2)-focusing on the book’s catalog and advertisement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 활동의 구조적 측면 연구(2)-서적 목록과 광고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Side of Sinmungwan’s Publishing Activity(2)-focusing on the book’s catalog and advertisement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린이 잡지 『아이들 보이』의 총 목차와 폐간호
THE COMPLETE TABLE OF CONTENTS AND THE FINAL NUMBER OF CHILDREN’S MAGAZINE “A-I-DEUL BO-I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린이 잡지 『아이들 보이』의 총 목차와 폐간호
THE COMPLETE TABLE OF CONTENTS AND THE FINAL NUMBER OF CHILDREN’S MAGAZINE “A-I-DEUL BO-I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