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관 출판 활동의 구조적 측면 연구(2)-서적 목록과 광고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Side of Sinmungwan’s Publishing Activity(2)-focusing on the book’s catalog and advertisement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 활동의 구조적 측면 연구(2)-서적 목록과 광고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Side of Sinmungwan’s Publishing Activity(2)-focusing on the book’s catalog and advertisement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의 타고르 시집 「기탄자리」 번역 시편 - 1923년 1월 발간된 「휘문」 창간호를 중심으로 -
On Jeong, Ji-Yong's Translation of Tagore's Poems in Gitanjali - Focusing on School Magazine Hwimoon First Published in January 1923. -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新文舘の出版活動の構造的特性に関する研究(1)ー印刷部と販売部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청년 穆旦, 자아와 현실 탐험 ― 시집 ≪탐험대 探險隊≫를 중심으로
Mu Dan's The Expedition(≪探險隊≫)
중국어문논총 |
50 |
2011 |
중국어와문학
현해탄의 청춘공화국-「정지용시집」(1935)을 중심으로
A Republic of Youth Soaring over the Strait Hyunhaetan-Focused on the Jeong Jee-Yong’S Collection of Poems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해탄의 청춘공화국-「정지용시집」(1935)을 중심으로
A Republic of Youth Soaring over the Strait Hyunhaetan-Focused on the Jeong Jee-Yong’S Collection of Poems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전반기, 이언진 문학의 호명 양상
The Pattern of Citation of Lee Eon jin’s Literature in the Early 21st Century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리다자오(李大釗)의 민족주의적 정치철학
Li Da-Zhao's Political Philosophy of Nationalism
민족사상 |
5 |
1 |
2011 |
한국정치사상
1910년대 잡지 매체의 언어 선택과 근대독자의 형성과정
The literary style in the 1910s' magazine and the formation of modern readers.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시대적 반성과 창작방법의 모색 - 1930년대 중ㆍ후반의 시문학을 중심으로
A Historical Reflection and Pursuit of Methods for Creating Korean Poetry from the Mid to Late 1930s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시대적 반성과 창작방법의 모색 - 1930년대 중ㆍ후반의 시문학을 중심으로
A Historical Reflection and Pursuit of Methods for Creating Korean Poetry from the Mid to Late 1930s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조선인의 타자의 몸에 대한 시선 고찰 - 잡지 <청춘>, <학지광>을 중심으로 -
A study of Korean’s viewpoint on the body of “the Other” in 1910s
한국문화 |
49 |
2010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조선인의 타자의 몸에 대한 시선 고찰 - 잡지 <청춘>, <학지광>을 중심으로 -
A study of Korean’s viewpoint on the body of “the Other” in 1910s
한국문화 |
|
49 |
2010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조선인의 타자의 몸에 대한 시선 고찰 - 잡지 <청춘>, <학지광>을 중심으로 -
A study of Korean’s viewpoint on the body of “the Other” in 1910s
한국문화 |
49 |
2010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조선인의 타자의 몸에 대한 시선 고찰 - 잡지 <청춘>, <학지광>을 중심으로 -
A study of Korean’s viewpoint on the body of “the Other” in 1910s
한국문화 |
|
49 |
2010 |
기타인문학
문학시장의 형성과 인쇄매체의 역할 (1): 1917년 전후의 문학사의 국면
FORMATION OF LITERARY MARKETPLACE AND ROLES OF PRINT MEDIA (1) :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ROUND 1917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韓日 근대시의 청춘과 하늘 - 윤동주와 나카하라 츄야(中原中也) 비교
Youth and the sky in the modern Korean and Japanese poetry - Comparison between Dongju Yoon and Nakahara Chuya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韓日 근대시의 청춘과 하늘 - 윤동주와 나카하라 츄야(中原中也) 비교
Youth and the sky in the modern Korean and Japanese poetry - Comparison between Dongju Yoon and Nakahara Chuya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시장의 형성과 인쇄매체의 역할 (1): 1917년 전후의 문학사의 국면
FORMATION OF LITERARY MARKETPLACE AND ROLES OF PRINT MEDIA (1) :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ROUND 1917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국역의 양상과 한문고전의 형성 -최남선의 출판 활동을 중심으로
The Birth of National Cannon Translation : Publishing of Choe Nam-seon during the 1910s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1910년대, 국역의 양상과 한문고전의 형성 -최남선의 출판 활동을 중심으로
The Birth of National Cannon Translation : Publishing of Choe Nam-seon during the 1910s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식민지 대중문화와 ‘청춘’ 표상
The Representation of ‘Cheongchun’(youth) in Popular Culture in the Korean Colonial Period
한국학 |
34 |
3 |
2011 |
기타인문학
잡지 『청춘』을 통해 본 최남선의 고시조(古時調) 인식 방향과 그 의미
Choi Nam Sun's Perception of Kosijo (古時調) and its Significance Represented in the Magazine Chungchun (靑春)
한국시가문화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