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영화

연구분야 : G099900 예술체육 > 영화 > 기타영화

클래스 : 공연예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476

STNet ID : 9006347

한자 : 文化映畵

e01-05 공연예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교양 () [ 敎養 ]

hasPurpose (목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계몽 () [ 啓蒙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영화 () [ 映畵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다큐멘터리 () [documentary]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계몽 영화

냉전시대 미국의 민족국가 형성 개입과 헤게모니 구축의 최전선 : 주한미공보원 영화

The Intervention of the United States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State and the Frontline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Hegemony During the Cold War Er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films produced by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Service in Korea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한국전쟁 후 냉전의 논리와 식민지 기억의 재구성 : 1950년대 문화영화에서 구축된 ‘이승만 서사’를 중심으로

The Logic of Cold War and Reconstruction of Colonial Memory in Post-War Korea

기억과 전망 | 23 | 2010 | 사회학

한국전쟁 후 냉전의 논리와 식민지 기억의 재구성 : 1950년대 문화영화에서 구축된 ‘이승만 서사’를 중심으로

The Logic of Cold War and Reconstruction of Colonial Memory in Post-War Korea

기억과 전망 | | 23 | 2010 | 사회학

주한미국공보원(USIS) 영화선전의 표상과 담론 ― 1950년대, 국가 재건과 자립 한국인의 주체성 ―

(Re)Presentations and Discourses in the USIS-Korea’s Film Propaganda ― The Rehabilitated Self in Rebuilding the Nation in the 1950s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5 | 2012 | 사회학

초창기 일본 단편 애니메이션의 특징 연구

A study on features of the early Japanese short-animations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9 | 3 | 2011 | 예술일반

1960년대 문화영화의 선전 전략

The Propaganda Strategy of Culture Films in the 1960s

한국근현대사연구 | 52 | 2010 | 역사학

1960년대 문화영화의 선전 전략

The Propaganda Strategy of Culture Films in the 1960s

한국근현대사연구 | | 52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