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연구분야 : B1201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학일반

클래스 : 교육활동
능력/힘/에너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07

STNet ID : 1000136

한자 : 敎養
독일어 : Bildung
영어 : culture
영어 : refinement

b01-02 교육활동

c01-04 능력/힘/에너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교양 교육 () [ 敎養敎育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교양 수업 [ 敎養授業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문화영화 () [ 文化映畵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인격 형성 () [ 人格形成 ]

1950년대 대학의 국문학 강독 강좌와 학회지를 통해 본 국어국문학 고전연구방법론의 형성과 확산 - 고전 텍스트 연구로서의 ‘이본’ 연구와 ‘정전’ 형성의 맥락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the Academic Journals and Reading Classes Organiz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Universities during 1950's - focusing on the Text research and the formation of Canon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1950년대 대학의 국문학 강독 강좌와 학회지를 통해 본 국어국문학 고전연구방법론의 형성과 확산 - 고전 텍스트 연구로서의 ‘이본’ 연구와 ‘정전’ 형성의 맥락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the Academic Journals and Reading Classes Organiz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Universities during 1950's - focusing on the Text research and the formation of Canon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1950년대 여성잡지에 나타난 계몽과 수치심의 관계 고찰 - 잡지 「여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enlightenment which is shown on the women's magazine writing in the 1950' - with 「yeowon」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1950년대 대학의 ‘국어국문학’ 과목 편제와 ‘고전강독’ 강좌의 탄생

Historical Process of Class Organization 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Forming ‘Class of Reading Classic’ in the university during 1950's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1950년대 대학의 ‘국어국문학’ 과목 편제와 ‘고전강독’ 강좌의 탄생

Historical Process of Class Organization 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Forming ‘Class of Reading Classic’ in the university during 1950's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헵번 스타일’, 욕망/교양의 사회, 미국영화와 신문소설

‘Hepburn Style’, Desire/culture, American Film and A Serial Story in the Newspaper

현대문학의 연구 | 47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70년대 초 농촌근대화 담론과 그 소설적 굴절 -이병주와 이문구를 중심으로

THE DISCOURSE OF THE RURAL MODERNIZATION IN THE EARLY 1970’S AND THE REFRACTION OF THE DISCOURSE THROUGH NOVELS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70년대 초 농촌근대화 담론과 그 소설적 굴절 -이병주와 이문구를 중심으로

THE DISCOURSE OF THE RURAL MODERNIZATION IN THE EARLY 1970’S AND THE REFRACTION OF THE DISCOURSE THROUGH NOVELS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5장 북한의 사회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통일전략 | 11 | 1 | 2011 | 북한정치/통일

대학의 변화와 ‘지금-여기’의 인문학

The Change of Universities and the Humanities of 'Here and Now'

대동철학 | 57 | 2011 | 철학

학생 잡지 『학원』의 성격과 의의 -195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Hakwon, as a youngsters magazine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생 잡지 『학원』의 성격과 의의 -195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Hakwon, as a youngsters magazine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학에서 교양 역사 강좌로서 ‘문화사’ 교재의 현황과 역사인식(1945~1960)

The Current Status of "History of Civilization" Textbooks Utilized at History Classes at Universities and Historical Perception

한국근현대사연구 | 53 | 2010 | 역사학

대학에서 교양 역사 강좌로서 ‘문화사’ 교재의 현황과 역사인식(1945~1960)

The Current Status of "History of Civilization" Textbooks Utilized at History Classes at Universities and Historical Perception

한국근현대사연구 | | 53 | 2010 | 역사학

중국에서의 노동교양제도 연구

Study on the reeducation through labor system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비교형사법연구 | 13 | 1 | 2011 | 법학

국교에서 교양으로: 한국의 사회변동과 유교

From State Religion to Humanities(Bildung): Confucianism and Korean Social Change during 1910~2010

사회이론 | 38 | 2010 | 사회학

국교에서 교양으로: 한국의 사회변동과 유교

From State Religion to Humanities(Bildung): Confucianism and Korean Social Change during 1910~2010

사회이론 | | 38 | 2010 | 사회학

최재서의 ‘맥아더’ -맥아더 표상을 통해 본 한 친일엘리트의 해방전후

Choe Jae-seo's ‘MacArthur’ :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in Pro-Japanese Elites Seen through the MacArthur Symbol

동악어문학 | 59 | 2012 | 한국어와문학

니체의 인간관과 교육철학 - 종말인(der letzte Mensch)비판과 위버멘쉬의 교육철학적 의의를 중심으로

니체연구 | 21 | 2012 | 철학

1930년대 후반 同人詩誌 연구

A Study on Poetry Magazine of Literary Coterie of the latter half of 1930s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안수길의 신문연재 소설에 나타난 연애와 풍속 -『제2의 청춘』과 『부교』를 중심으로-

Dating and Custom in Ahn Soo-kil's Novels -the case of "The Second Youth" and "Byogyo"-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제도로서의 문학: 1950년대 ‘교양’으로서의 「대학국어」

Literature as an Institution: Korean Study as a ‘Culture’ in Universities in 1950’s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인격’과 그 주체 표상 - <흙>을 중심으로 -

Personality represented in the novel of Lee, Gwangsoo and its Subject Symbol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여성작가의 지식/지성 생산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

The Genealogical Inquiry of Modern Women Writers' Production of Knowledge/Intellect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여성작가의 지식/지성 생산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

The Genealogical Inquiry of Modern Women Writers' Production of Knowledge/Intellect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60년대 "여원" ‘여류현상문예’와 교양 · 과학화 담론

Research on ‘YoryuHyonsangMunYe’(1956-1970) of the magazine "Yeowon" in the 1950-60s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2 | 1 | 2011 | 기타인문학

괴테의 소설에서 주관성의 극복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과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를 중심으로

Die Überwindung der Subjektivität des Helden in Goethes Roman - In 'Die Leiden des jungen Werther und Wilhelm Meisters Lehrjahre'

독일언어문학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괴테의 소설에서 주관성의 극복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과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를 중심으로

Die Überwindung der Subjektivität des Helden in Goethes Roman - In 'Die Leiden des jungen Werther und Wilhelm Meisters Lehrjahre'

독일언어문학 |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헤겔에게서 민족, 국가와 세계사

Hegels Ansicht von Volk, Staat und Weltgeschichte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University and “Cultured” Readers in the 1950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University and “Cultured” Readers in the 1950s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고전문학전집의 간행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Critical Review on Publication Trends of Collections of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고전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적 자연 체험과 교양 담론

Modern Experience of Nature and Culture Discourse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교양 유학(儒學)’ 교재 개발에 관한 제언-성균관대학교 교양 유학 강의 운영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A Suggestion on the Textual Contents and Textbook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fucianism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9 | 2011 | 유교학

이병주 소설의 역사성과 탈역사성

A study on the Historicity and De-historicity of Lee Byung-ju’s Novel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니체의 역사이해

Nietzsches Historieverstehen

니체연구 | 20 | 2011 | 철학

근대초기 지식편제와 교양으로서의 소설 - 최남선과 <소년>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knowledge and Project of ‘Buildung’- focusing on Choi Nam-seon」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인간의 교양과 취미

Die Bildung des Menschen und Geschmack

인문학연구 | 43 | 2012 | 기타인문학

파시즘기 외국문학의 존재방식과 교양 - <인문평론>을 중심으로

The Existential Mode of Foreign Literature and Culture(Bildung) the Fascist Period Focusing on In Mun Pyung Lon -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교양론과 출판문화-교양의 제도화와 출판문화로 본 교양붐-

Culture Discourse and Publishing Culture: Systemized Culture and Culture Boom from a Publishing Cultural Point of View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교양론과 출판문화-교양의 제도화와 출판문화로 본 교양붐-

Culture Discourse and Publishing Culture: Systemized Culture and Culture Boom from a Publishing Cultural Point of View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교양 과목으로서의 세계 문화사 교육-진주 산업대학교를 중심으로-

The Education of History of the World Civilization as a Liberal Art Subject -especially on Jinju National University-

대구사학 | 100 | 2010 | 역사학

교양 과목으로서의 세계 문화사 교육-진주 산업대학교를 중심으로-

The Education of History of the World Civilization as a Liberal Art Subject -especially on Jinju National University-

대구사학 | 100 | | 2010 | 역사학

1960년대 초기 여성잡지에 나타난 여성의 ‘교양화’ 연구 -『 가정생활』의 연애 · 결혼담론과 박경리의 <암흑의 사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 Family Life』 in 1960's and Love as ‘A Social Code’ Indicated in Park Gyeongni's

현대소설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니체의 슈트라우스 비판과 그 대안

Nietzsches Kritik an die Gedanken von David Strauss und sein Gegenvorschlag

헤겔연구 | 27 | 2010 | 철학

니체의 슈트라우스 비판과 그 대안

Nietzsches Kritik an die Gedanken von David Strauss und sein Gegenvorschlag

헤겔연구 | | 27 | 2010 | 철학

독일 고전주의 문학의 교양교육적 의미 - 빌헬름 폰 훔볼트의 문학이론『미학적 시도 괴테의 헤르만과 도로테아』를 중심으로 -

Cultural-Educational Significances of German Classical Literature in Humboldts sthetische Versuche ber Goethes Hermann und Dorothea

교양교육연구 | 4 | 1 | 2010 | 학제간연구

독일 고전주의 문학의 교양교육적 의미 - 빌헬름 폰 훔볼트의 문학이론『미학적 시도 괴테의 헤르만과 도로테아』를 중심으로 -

Cultural-Educational Significances of German Classical Literature in Humboldts sthetische Versuche ber Goethes Hermann und Dorothea

교양교육연구 | 4 | 1 | 2010 | 학제간연구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의 과제

The Task of Liberal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itizenship

윤리연구 | 1 | 84 | 2012 | 학제간연구

大學 敎養 漢字敎育의 現況과 方向-원광대학교 교육현황을 중심으로-

동방한문학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大學 敎養 漢字敎育의 現況과 方向-원광대학교 교육현황을 중심으로-

동방한문학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Bildung’과 ‘sensus communis’의 상관성에 따른 교육철학의 제 문제-가다머의 『진리와 방법』을 중심으로

Die Probleme der pädagogischen Philosophi in der hermeneutischen Differenz der ‘Bildung’: angesichts der Beziehung auf ‘sensus communis’

해석학연구 | 28 | 2011 | 철학

초기 니체의 청년교육론

Studien zu Früh-Nietzsches Theorie der Jugendbildung

니체연구 | 19 | 2011 | 철학

1950년대 실존주의 수용사 연구-'교양'으로서의 실존주의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Acceptance history of Existentialism in the 1950s- Focusing on existentialism as "culture"(Bildung)

헤겔연구 | 27 | 2010 | 철학

1950년대 실존주의 수용사 연구-'교양'으로서의 실존주의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Acceptance history of Existentialism in the 1950s- Focusing on existentialism as "culture"(Bildung)

헤겔연구 | | 27 | 2010 | 철학

1960년대 박경리 문학에 나타난 ‘연애 교양’ 연구

A study on aspects and meanings Falling in love of culture in Park Gyeong-ni’s literature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2 | 기타국문학

교양교육으로서의 동양철학

教養教育としての東洋哲学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