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껍전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3113

한자 : --傳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섬동지전 [ 蟾同知傳 ]

UF (비우선어)

 

 

노섬상좌기 [ 老蟾上座記 ]

UF (비우선어)

 

 

금섬전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우화 소설 () [ 寓話小說 ]

N1:종류

hasKind (종류)

 

 

쟁좌형 두껍전

hasKind (종류)

 

 

일월형 두껍전 [ 日月型-- ]

hasKind (종류)

 

 

선관형 두껍전

조선시대 서사 속의 말과 그 문화적 의미

The talking in the narratives of Chosun dynasty and its cultural meaning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One Aspect in ‘Knowledg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 in ‘Knowledge’ of 19C Novel - Centering on Aspect of Enjoying ‘Knowledge’ Shown in -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One Aspect in ‘Knowledg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 in ‘Knowledge’ of 19C Novel - Centering on Aspect of Enjoying ‘Knowledge’ Shown in -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玉浦洞奇玩錄>의 작품 창작 방식 연구 -기존 작품을 재구성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eption aspects of materials and aesthetic modification of Okpodonggiwannok

고소설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