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홍련전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553

한자 : 薔花紅蓮傳
기타 : Changhwa Hongryon Jeon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가정 소설 () [ 家庭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계모형 가정 소설 () [ 繼母型家庭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송사 소설 () [ 訟事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전 소설 () [ 古典小說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계모 [ 繼母 ]

<김인향전>의 인물형상화와 작품지향성의 관계 - <장화홍련전>과의 비교를 토대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guration of Character and the Inclination of Theme in - on the base of Comparison with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김인향전>의 인물형상화와 작품지향성의 관계 - <장화홍련전>과의 비교를 토대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guration of Character and the Inclination of Theme in - on the base of Comparison with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김인향전>의 인물형상화와 작품지향성의 관계 - <장화홍련전>과의 비교를 토대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guration of Character and the Inclination of Theme in - on the base of Comparison with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김인향전>의 인물형상화와 작품지향성의 관계 - <장화홍련전>과의 비교를 토대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guration of Character and the Inclination of Theme in - on the base of Comparison with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근세기 한일 여성 괴담(怪談) 비교 연구 -『장화홍련전(薔花紅蓮伝)』과 가사네(累) 괴담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women ghost story at Korea and Japan in the pre-modern era -through『Changhwa Honryon Jeon(薔花紅蓮伝)』and -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