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신화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025

STNet ID : 1002720

한자 : 金鰲新話

y02-02 예술작품명

저작자

김시습 (金時習)

시대1

조선 전기 (朝鮮前期)

저작년_t

15세기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문 소설 () [ 漢文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괴담 소설 () [ 怪談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전기 소설 () [ 傳奇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전 소설 () [ 古典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방외인 문학 () [ 方外人文學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용궁부연록 [ 龍宮赴宴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취유부벽정기 [ 醉遊浮碧亭記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이생규장전 () [ 李生窺牆傳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만복사저포기 [ 萬福寺樗蒲記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남염부주지 [ 南炎浮洲志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혼사 장애 () [ 婚事障礙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전등신화 [ 剪燈新話 ]

『금오신화』의 구조미학: 相違와 疏通의 ‘遊’

Aesthetic structures of Geumosinhwa-‘Strolling’ between mutual disturbance and communication-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금오신화』의 구조미학: 相違와 疏通의 ‘遊’

Aesthetic structures of Geumosinhwa-‘Strolling’ between mutual disturbance and communication-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금오신화』의 구조미학: 相違와 疏通의 ‘遊’

Aesthetic structures of Geumosinhwa-‘Strolling’ between mutual disturbance and communication-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금오신화』의 구조미학: 相違와 疏通의 ‘遊’

Aesthetic structures of Geumosinhwa-‘Strolling’ between mutual disturbance and communication-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매월당 사유록의 南原 시문과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

Namwon poetry of Maewol-dang Sayou-rok and the local color of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매월당 사유록의 南原 시문과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

Namwon poetry of Maewol-dang Sayou-rok and the local color of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이생규장전」의 특징과 그 의미

The feature and the meaning of 「Leesaeg-gyujang-jeon」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

人文科學硏究 | 28 | 2010 | 기타인문학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이생규장전」의 특징과 그 의미

The feature and the meaning of 「Leesaeg-gyujang-jeon」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

人文科學硏究 | 28 | | 2010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 <이생규장전>의 비극성과 그 미학적 기제 − 낭만성과 비분강개의 비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gic characters and Its Aesthetic Frame in Yiseng-guijang-jeon of Geumoh-sinhwa - Centering on romanticism and tragic of sorrowful indignation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로 본 한국애정비극의 특성 -동아시아적 사유와 서양적 사유의 차이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Korean Love Tragedies by Studying Geumoh-sinhwa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ental and the Western reasons-

아태연구 | 17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금오신화』로 본 한국애정비극의 특성 -동아시아적 사유와 서양적 사유의 차이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Korean Love Tragedies by Studying Geumoh-sinhwa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ental and the Western reasons-

아태연구 | 17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한‧일‧베트남에서 『剪燈新話』의 전파와 수용

Propagation and Acceptance of ‘Jeondeungsinhwa’ in Korea, Japan and Vietnam

일본연구 | 17 | 2012 | 일본어와문학

한‧일‧베트남에서 『剪燈新話』의 전파와 수용

Propagation and Acceptance of ‘Jeondeungsinhwa’ in Korea, Japan and Vietnam

일본연구 | 17 | 2012 | 일본어와문학

「李生窺墻傳」의 揷入詩로 본 人物과 作品의 構造

Characters and the Structure of the Work through the Inserted Poems of 「Yiseng-gyujang-jeon」

인문과학연구 | 31 | 2011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Creation Methods and Tragic Romanticism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Geumo-sinhwa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Creation Methods and Tragic Romanticism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Geumo-sinhwa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醉遊浮碧亭記」에 나타난 金時習의 詩世界

A Study of Kim Si-seup's Poetry - Focusing on the poetry of Chwi-yu-bu-byuck-jeong-gi

인문과학연구 | 27 | 2010 | 기타인문학

「醉遊浮碧亭記」에 나타난 金時習의 詩世界

A Study of Kim Si-seup's Poetry - Focusing on the poetry of Chwi-yu-bu-byuck-jeong-gi

인문과학연구 | | 27 | 2010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Creation Methods and Tragic Romanticism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Geumo-sinhwa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Creation Methods and Tragic Romanticism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Geumo-sinhwa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에 나타난 삽입문의 교육적 활용 가치

Educational use value of inserted prose on 『Keumoshinhwa』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금오신화≫의 세 여성과 서사적 특징

A Study on three women of ≪Geumosinwha≫ and Narrative features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