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소설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261

STNet ID : 1002752

한자 : 傳奇小說
기타 : romance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전기적 소설 ()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사실 소설 () [ 寫實小說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괴담 소설 () [ 怪談小說 ]

RT (관련어)

 

 

전기 () [ 傳奇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금오신화 () [ 金鰲新話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금방울전 [ 金鈴傳 ]

唐宋 寓言의 變化 樣相 小考 ― 古文家들의 寓言 創作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Changing Aspects of Fables in the Tang-Song Dynasty period

중국소설논총 | 35 | 2011 | 중국어와문학

전기소설에 나타난 환상적 경계공간의 양상과 의미

A study on the Cheongil novels in fantastic borderline space aspects and meanings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전기소설에 나타난 환상적 경계공간의 양상과 의미

A study on the Cheongil novels in fantastic borderline space aspects and meanings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김영철전>의 서사적 특징과 서술 시각

A study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and views of Gimyeongcheoljeon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버클리대 소장 한문소설집 『白湖話談』에 대하여

About the Baehohwadam(白湖話談) that is Chinese writing novel's collection in transcription, UC Berkeley Uni.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버클리대 소장 한문소설집 『白湖話談』에 대하여

About the Baehohwadam(白湖話談) that is Chinese writing novel's collection in transcription, UC Berkeley Uni.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버클리대 소장 한문소설집 『白湖話談』에 대하여

About the Baehohwadam(白湖話談) that is Chinese writing novel's collection in transcription, UC Berkeley Uni.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버클리대 소장 한문소설집 『白湖話談』에 대하여

About the Baehohwadam(白湖話談) that is Chinese writing novel's collection in transcription, UC Berkeley Uni.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瞿佑와 金時習의 創作動機比較

瞿佑和金时习创作動機比较研究

민족문화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瞿佑와 金時習의 創作動機比較

瞿佑和金时习创作動機比较研究

민족문화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傳奇漫錄』에 나타난 宗敎性과 敍事技法 — 傳奇小說의 特性 立場에서

Religiousness and epic technique in Jeongimanlok(『傳奇漫錄』) — Romance(傳奇小說) characteristics

비교문학 | 56 | 2012 | 인문학

<金現感虎>를 통해 본 전기소설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

Formation processes of early novels and their characteristic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現感虎>를 통해 본 전기소설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

Formation processes of early novels and their characteristic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기소설과 화본소설 비교연구- 문체와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傳奇小說與話本小說比較硏究 ―以文體和人物形象爲主

중국어문논역총간 | 28 | 2011 | 중국어와문학

<金現感虎>를 통해 본 전기소설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

Formation processes of early novels and their characteristic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現感虎>를 통해 본 전기소설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

Formation processes of early novels and their characteristic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文小說 「龍宮赴宴錄」의 公演藝術로의 試案

A Proposal on Performing Arts of Chinese Novel, YongGungBuYonRok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南炎浮洲志」에 그려진 理想世界 - 儒學者 朴生을 中心으로-

The Ideal World of ≪Nam-Yem-Bu-Ju-Gee≫ :On the Confucian scholar, Park Saeng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