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신화

연구분야 : A120206 인문학 > 중국어와문학 > 중문학 > 중국소설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262

STNet ID : 1002753

한자 : 剪燈新話

y02-01 문헌명

저작자

구우

시대1

명대 문학 (明代文學)

장르/유형

단편 소설 (短篇小說)

저작년_t

1378~?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멱등인화 [ 覓燈因話 ]

affects (영향)

 

 

전등여화 [ 剪燈餘話 ]

affects (영향)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금오신화 () [ 金鰲新話 ]

originatesFrom (기원/근원)

 

y02-01 문헌명 문헌명

수신기 [ 搜神記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만복사저포기 [ 萬福寺樗蒲記 ]

R3:시간적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경덕전등록 [ 景德傳燈錄 ]

『太平廣記』 이후 神仙說話의 變貌樣相 考察

중국어문학논집 | 61 | 2010 | 중국어와문학

『太平廣記』 이후 神仙說話의 變貌樣相 考察

중국어문학논집 | | 61 | 2010 | 중국어와문학

異本을 통해 본 「剪燈新話句解」의 전파 양상과 그 함의

Social History shown in the Novel of Jeondeungshinhwaguhae viewed through a Different Version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異本을 통해 본 「剪燈新話句解」의 전파 양상과 그 함의

Social History shown in the Novel of Jeondeungshinhwaguhae viewed through a Different Version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剪燈新話』와 『聊齋志異』의 韓日에의 전래 그 변화와 수용의 軌跡

Traces of Transmission, Changes, and Reception of Jeongdeungshinhwa and Yojaejiee in Korea and Japa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剪燈新話』와 『聊齋志異』의 韓日에의 전래 그 변화와 수용의 軌跡

Traces of Transmission, Changes, and Reception of Jeongdeungshinhwa and Yojaejiee in Korea and Japa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한‧일‧베트남에서 『剪燈新話』의 전파와 수용

Propagation and Acceptance of ‘Jeondeungsinhwa’ in Korea, Japan and Vietnam

일본연구 | 17 | 2012 | 일본어와문학

한‧일‧베트남에서 『剪燈新話』의 전파와 수용

Propagation and Acceptance of ‘Jeondeungsinhwa’ in Korea, Japan and Vietnam

일본연구 | 17 | 2012 | 일본어와문학

<전등신화>의 조선 시대 번역본의 변역(變譯)연구 -서울대학교와 서강대학교 소장본을 중심으로 -

<剪灯新话>朝鲜朝译本的变译研究 -以首尔大学和西江大学藏本为中心-

Journal of korean Culture | 21 | 2012 | 현대시(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