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복사저포기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2942

STNet ID : 1003038

한자 : 萬福寺樗蒲記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만복사 [ 萬福寺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금오신화 () [ 金鰲新話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명혼 소설 () [ 冥婚小說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전등신화 [ 剪燈新話 ]

<최척전>의 창작 배경과 열녀 담론

Background of Choecheokjeon and the discourse on virtuous women in Choecheokjeo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최척전>의 창작 배경과 열녀 담론

Background of Choecheokjeon and the discourse on virtuous women in Choecheokjeo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만복사저포기」를 활용한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교육 방안 - 문학치료적 효과를 중심으로 -

Method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Immigrant women using「Manboksajeopogi」 - focussing on effects of literary therapy -

한국문예비평연구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만복사저포기」를 활용한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교육 방안 - 문학치료적 효과를 중심으로 -

Method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Immigrant women using「Manboksajeopogi」 - focussing on effects of literary therapy -

한국문예비평연구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금오신화』로 본 한국애정비극의 특성 -동아시아적 사유와 서양적 사유의 차이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Korean Love Tragedies by Studying Geumoh-sinhwa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ental and the Western reasons-

아태연구 | 17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금오신화』로 본 한국애정비극의 특성 -동아시아적 사유와 서양적 사유의 차이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Korean Love Tragedies by Studying Geumoh-sinhwa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ental and the Western reasons-

아태연구 | 17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최치원>의 형상화 방식과 남․녀 주인공의 성적․사회적 욕망

Study on the desire of 's hero and heroine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금오신화≫의 세 여성과 서사적 특징

A Study on three women of ≪Geumosinwha≫ and Narrative features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매월당 사유록의 南原 시문과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

Namwon poetry of Maewol-dang Sayou-rok and the local color of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Creation Methods and Tragic Romanticism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Geumo-sinhwa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Creation Methods and Tragic Romanticism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Geumo-sinhwa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의 세 여성과 서사적 특징

A Study on three women of ≪Geumosinwha≫ and Narrative features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매월당 사유록의 南原 시문과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

Namwon poetry of Maewol-dang Sayou-rok and the local color of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최치원>의 형상화 방식과 남․녀 주인공의 성적․사회적 욕망

Study on the desire of 's hero and heroine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인물의 내면소설로서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의 독법

How to Read “Manboksajeopogi” and “Isaenggyujangjeon” as Inner Side Oriented Novels on Characters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만복사저포기>의 ‘입산채약’과 비극성 재론

The Review of 'Mountaineering gathering-herbs' and Tragic Nature in

문학치료연구 | 20 | 2011 | 문학교육

인물의 내면소설로서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의 독법

How to Read “Manboksajeopogi” and “Isaenggyujangjeon” as Inner Side Oriented Novels on Characters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