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습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5297

STNet ID : 1002568

한자 : 金時習
기타 : Kim Si-seup
시호(諡號) : 청간(淸簡)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Capital (수도)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생육신 () [ 生六臣 ]

S:동의

UF (비우선어)

법호

 

설잠 [ 雪岑 ]

UF (비우선어)

 

열경 [ 悅卿 ]

UF (비우선어)

 

췌세옹 [ 贅世翁 ]

UF (비우선어)

 

벽산청은 [ 碧山淸隱 ]

UF (비우선어)

 

동봉 [ 東峰 ]

UF (비우선어)

 

청한자 [ 淸寒子 ]

UF (비우선어)

 

매월당 [ 梅月堂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방외형 문인 [ 方外型文人 ]

해인사 백련암 소장『십현담요해』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

海印寺白蓮菴所藏 『十玄談要解』 についての書誌學的考察

동아시아고대학 | 22 | 2010 | 기타인문학

해인사 백련암 소장『십현담요해』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

海印寺白蓮菴所藏 『十玄談要解』 についての書誌學的考察

동아시아고대학 | | 22 | 2010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Creation Methods and Tragic Romanticism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Geumo-sinhwa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Creation Methods and Tragic Romanticism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Geumo-sinhwa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Creation Methods and Tragic Romanticism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Geumo-sinhwa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Creation Methods and Tragic Romanticism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Geumo-sinhwa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佛國寺 題詠詩 硏究

Literary traits of Chinese poetry about Bul-guk-sa(佛國寺) temple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退溪의 「和陶集飮酒二十首」에 나타난陶淵明 수용 양상

Toegye's following the rhymes of Dojam's “Drinking Wine” poems - Compared with Sodongpa and Maewoldang

동방한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和陶集飮酒二十首」에 나타난陶淵明 수용 양상

Toegye's following the rhymes of Dojam's “Drinking Wine” poems - Compared with Sodongpa and Maewoldang

동방한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活字本 古小說 「蓮花夢」 硏究

A Study on the Printed Book Ancient Novel “Yeonhwamong”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불교계의 유불교섭과 철학적 담론

The Exchanges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f Buddhist Society In Joseon Dynasty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버클리大學 아사미文庫 所藏 六臣墓碑 拓本을 통해 본 金時習 六臣墓 造成 傳說의 定着 過程

A Study on the Rubbed Copy of the Epitaph of Dead Six Faithful Retainers Housed in the Asami Collection at U.C. Berkele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Tradition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Graves and Gim, Siseup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용궁부연록>의 환상 체험 연구

A Study on the Illusory Experience in Yonggungbuyeonrok

한국학 | 34 | 3 | 2011 | 기타인문학

『금오신화』, <이생규장전>의 비극성과 그 미학적 기제 − 낭만성과 비분강개의 비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gic characters and Its Aesthetic Frame in Yiseng-guijang-jeon of Geumoh-sinhwa - Centering on romanticism and tragic of sorrowful indignation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매월당 김시습의 寓言詩 고찰

A Study on the Fable Poetry of Maeweoldang Kim Si-seup

동양문화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버클리大學 아사미文庫 所藏 六臣墓碑 拓本을 통해 본 金時習 六臣墓 造成 傳說의 定着 過程

A Study on the Rubbed Copy of the Epitaph of Dead Six Faithful Retainers Housed in the Asami Collection at U.C. Berkele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Tradition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Graves and Gim, Siseup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韓國八景詩의 전개에 있어서 金時習의 역할

The role of Kim si-seup(金時習) in Korean Palgeongsi(韓國八景詩)

열상고전연구 | 31 | 2010 | 기타국문학

韓國八景詩의 전개에 있어서 金時習의 역할

The role of Kim si-seup(金時習) in Korean Palgeongsi(韓國八景詩)

열상고전연구 | | 31 | 2010 | 기타국문학

김시습의 경주기행과 문학창작의 현장

Kim Si Seup's Gyeongju trip and the spot of literary creation

시학과 언어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韓國八景詩의 전개에 있어서 金時習의 역할

The role of Kim si-seup(金時習) in Korean Palgeongsi(韓國八景詩)

열상고전연구 | 31 | 2010 | 기타국문학

韓國八景詩의 전개에 있어서 金時習의 역할

The role of Kim si-seup(金時習) in Korean Palgeongsi(韓國八景詩)

열상고전연구 | | 31 | 2010 | 기타국문학

김시습 한시에 구현된 불교생태학적 세계관

Study on the Eco-Buddhism worldview in Kim, Si-Sup’s Chinese Poetry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南炎浮洲志」의 지옥 형상에 대한 몇 가지 단상

Several short thoughts on appearance of hell shown in 「Namyeombujujj」

개신어문연구 | 34 | 2011 | 현대시(국문학)

김시습의 경주기행과 문학창작의 현장

Kim Si Seup's Gyeongju trip and the spot of literary creation

시학과 언어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매월당 김시습의 寓言詩 고찰

A Study on the Fable Poetry of Maeweoldang Kim Si-seup

동양문화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김시습의 「雜著」 연구

On the Japjeo written by Kim Siseup

불교학보 | 61 | 2012 | 기타불교학

김시습의 「雜著」 연구

On the Japjeo written by Kim Siseup

불교학보 | 61 | 2012 | 기타불교학

김시습을 원천서사로 한 스토리텔링 방안

A Way of Making Storytelling By Using Si-Seup Kim As A Source

동아시아고대학 | 27 | 2012 | 기타인문학

김시습의 호남기행과 문학창작의 현장

Kim Si Seup's Honam-Gihaeng and Places of Literature Creation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李生窺墻傳」의 揷入詩로 본 人物과 作品의 構造

Characters and the Structure of the Work through the Inserted Poems of 「Yiseng-gyujang-jeon」

인문과학연구 | 31 | 2011 | 기타인문학

김시습의 호남기행과 문학창작의 현장

Kim Si Seup's Honam-Gihaeng and Places of Literature Creation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